극 (무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극(戟)은 창과 부의 혼합형으로 시작된 고대 중국의 보병 및 기병 무기이다. 송나라 시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극이 등장했으며, 청룡극과 방천극 등이 대표적이다. 극은 다양한 공격 수단을 갖추고 있었으며, 자루, 측면 날, 창날, 후면 균형추 등을 활용하여 공격했다. 극은 삼국지연의 등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등장하며, 여포의 방천화극, 관우의 청룡언월도 등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병무기 - 창
창은 긴 자루에 날카로운 촉을 붙인 무기이자 도구로, 구석기 시대부터 현대까지 사냥, 전쟁, 의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신화 속 상징으로도 등장한다. - 장병무기 - 모르겐슈테른 (무기)
모르겐슈테른은 뾰족한 머리가 달린 중세 시대 무기로, 14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으며, 플랜지 철퇴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군사용, 농민용, 장식용으로 나뉜다. - 중국의 무기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무기 - 쇠뇌
쇠뇌는 활을 가로로 얹어 활시위를 고정하는 장치와 방아쇠를 갖춘 활의 일종으로, 활시위를 당긴 상태 유지가 용이하고 훈련 없이도 사용 가능하여 군사적, 사냥, 스포츠, 특수 목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극 (무기) | |
---|---|
무기 정보 | |
![]() | |
종류 | 창, 도끼, 낫의 복합 무기 |
사용 시기 | 중국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됨 |
기원 | 중국 |
명칭 | |
한자 | 戟 |
로마자 표기 | Ji |
병음 | jǐ |
웨이드-자일스 | chi3 |
한국어 (음독) | 극 |
일본어 | 戟 (げき, geki) |
베트남어 | kích |
특징 | |
구조 | 날카로운 창날, 도끼날 또는 초승달 모양의 칼날 부착 |
용도 | 찌르기, 베기, 당기기, 묶기 등 다양한 공격 가능 |
역사 | |
기원 | 고대 중국에서 창과 도끼의 장점을 결합하여 개발 |
발전 |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발전 |
사용 | 보병과 기병 모두 사용; 무술 훈련 및 의장용으로도 사용 |
종류 | |
특징에 따른 분류 | 청동극: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극 철극: 철기 시대에 사용된 극 방천화극: 화려한 장식이 있는 극, 주로 의장용 단극: 짧은 극 쌍극: 두 개의 극을 동시에 사용하는 무술 |
문화적 의미 | |
상징 | 힘, 용맹, 권위의 상징 |
예술 | 그림, 조각, 문학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 등장 |
무술 | 중국 무술의 중요한 무기 중 하나 |
2. 역사
극(戟)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사용된 무기로, 처음에는 창과 도끼의 혼합형이었다. 이는 보병뿐만 아니라 기병과 전차병도 사용했던 흔한 무기였다. 송나라 시대에는 창에서 발전된 다양한 형태의 극이 등장했는데, 한쪽에만 날이 있는 청룡극과 양쪽에 날이 있는 방천극이 대표적이다.[2][3] 극은 창날, 측면 날, 균형추 등 다양한 공격 수단을 갖추고 있어, 자루로 타격하거나 측면 날로 걸어 당기거나 칼날 면으로 상대를 쳐서 말에서 떨어뜨리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2. 1. 고대 중국
''지(Ji)''는 처음에는 창과 부의 혼합형이었다. 이는 고대 중국에서 비교적 흔한 보병 무기였으며, 기병과 전차병에게도 사용되었다.송나라 시대에는 여러 무기가 ''지''라고 불렸지만, 고대 ''지''가 아닌 창에서 발전했다. 한 종류는 '청룡극'(青龍戟|청룡극중국어)이라고 불렸으며, 한쪽에 초승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날을 가지고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은 '방천극'(方天戟|방천극중국어)으로, 양쪽에 초승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날을 가지고 있었다.[2][3] 측면 날 또는 날, 창날, 그리고 종종 상대를 타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후면 균형추 등 다양한 공격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측면 날이 자루에 고정되는 방식은 다양했지만, 보통 자루와 측면 날 사이에 빈 공간이 있었다. 무기를 든 사람은 자루로 타격하고, 측면 날로 걸어 끌어당길 수 있었으며, 또는 칼날의 평평한 면으로 상대를 쳐서 말에서 떨어뜨릴 수도 있었다.
2. 2. 송나라 ~ 명나라



극(戟)은 처음에는 창과 부의 혼합형이었다. 이는 고대 중국에서 비교적 흔한 보병 무기였으며, 기병과 전차병에게도 사용되었다.
송나라 시대에는 여러 무기가 극이라고 불렸지만, 고대 극이 아닌 창에서 발전했다. 한 종류는 '청룡극'(青龍戟|cerulean dragon ji중국어)이라고 불렸으며, 한쪽에 초승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날을 가지고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은 '방천극'(方天戟|square sky ji중국어)으로, 양쪽에 초승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날을 가지고 있었다.[2][3] 측면 날 또는 날, 창날, 그리고 종종 상대를 타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후면 균형추 등 다양한 공격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측면 날이 자루에 고정되는 방식은 다양했지만, 보통 자루와 측면 날 사이에 빈 공간이 있었다. 무기를 든 사람은 자루로 타격하고, 측면 날로 걸어 끌어당길 수 있었으며, 또는 칼날의 평평한 면으로 상대를 쳐서 말에서 떨어뜨릴 수도 있었다.
3. 종류
지는 창과 부를 합쳐 만든 무기로, 고대 중국에서 보병, 기병, 전차병이 사용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여러 무기를 '지'라고 불렀지만, 이는 고대의 지와는 달리 창에서 발전한 것이다. '청룡극'(青龍戟|청룡극중국어)은 창날 한쪽에 초승달 모양의 날이 달렸고, '방천극'(方天戟|방천극중국어)은 양쪽에 초승달 모양의 날이 달렸다.[2][3] 이 무기는 창날, 측면 날, 후면 균형추 등 다양한 공격 수단을 갖추고 있었다. 측면 날은 자루에 고정되었는데, 보통 자루와 측면 날 사이에 빈 공간이 있었다. 사용자는 자루로 타격하거나, 측면 날로 걸어 당기거나, 칼날의 평평한 면으로 상대를 쳐서 말에서 떨어뜨릴 수 있었다.
3. 1. 시대에 따른 분류
'''지(Ji)'''는 처음에는 창과 부의 혼합형으로, 고대 중국에서 비교적 흔한 보병 무기였으며, 기병과 전차병에게도 사용되었다.
송나라 시대에는 여러 무기가 '''지'''라고 불렸지만, 이는 고대의 '''지'''가 아닌 창에서 발전한 것이었다. 한 종류는 '청룡극'(青龍戟|청룡극중국어)이라고 불렸으며, 한쪽에 초승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날을 가지고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은 '방천극'(方天戟|방천극중국어)으로, 양쪽에 초승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날을 가지고 있었다.[2][3] 이 무기는 측면 날 또는 날, 창날, 그리고 종종 상대를 타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후면 균형추 등 다양한 공격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측면 날이 자루에 고정되는 방식은 다양했지만, 보통 자루와 측면 날 사이에 빈 공간이 있었다. 무기를 든 사람은 자루로 타격하고, 측면 날로 걸어 끌어당길 수 있었으며, 또는 칼날의 평평한 면으로 상대를 쳐서 말에서 떨어뜨릴 수도 있었다.
4. 대중문화 속 극
극은 삼국지연의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역사 기록상 무장 여포가 사용한 '방천화극'()이 대표적이다. 이것이 작가 나관중의 문학적 장치였는지는 불분명하다. 소설이 송나라 시대 묘사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송나라 시대 장병기는 소설 속 여포의 무기와 유사하거나 이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을 수 있다. 이는 관우()가 사용한 청룡언월도(偃月刀|언월도중국어)의 반신화적 기원 설화와 유사하다. 언월도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는 군사 교범 ''무경총요''()의 11세기 삽화에서 찾을 수 있다. '언월도'는 소설에서 관우가 사용하면서 '관도'로도 알려지게 되었다.
4. 1.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에서 극이 가장 처음 등장한 것은 역사 기록상 무장 여포에게 귀속된 '방천화극'()이다. 이것이 작가인 나관중이 사용한 문학적 장치였는지는 알 수 없다. 이 소설은 송나라 시대의 초기 묘사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송나라 시대의 장병기는 이 유명한 소설 속 여포에게 귀속된 무기와 유사하거나 그 무기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을 수 있다.[1] 관우()가 휘두른 청룡언월도('언월도', 偃月刀중국어; lit. "기울어진 달 칼날")의 유명한 반신화적 기원 설화와 유사하다. 이 장병기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또는 고고학적 증거는 군사 교범인 ''무경총요''()에 실린 11세기 삽화에서 찾을 수 있다.[2] '언월도'는 소설 전체에서 관우가 이 무기를 휘두른 덕분에 그 발명이 시대를 거슬러 관우 자신에게 귀속되면서 '관도'로 알려지게 되었다.4. 2. 기타
극의 가장 초기에 알려진 등장은 역사 기록상 무장 여포에게 귀속된 '방천화극'()이다. 이것이 작가인 나관중이 사용한 문학적 장치였는지는 알 수 없다. 이 소설은 송나라 시대의 초기 묘사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송나라 시대의 장병기는 이 유명한 소설 속 여포에게 귀속된 무기와 유사하거나 그 무기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을 수 있다. 이는 또 다른 소설 속 인물이며 실존 인물인 관우()가 휘두른 청룡언월도('언월도', 偃月刀|언월도중국어; lit. "기울어진 달 칼날")의 유명한 반신화적 기원 설화와 유사하다. 이 장병기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또는 고고학적 증거는 군사 교범인 ''무경총요''()에 실린 11세기 삽화에서 찾을 수 있다. '언월도'는 소설 전체에서 관우가 이 무기를 휘두른 덕분에 그 발명이 시대를 거슬러 관우 자신에게 귀속되면서 '관도'로 알려지게 되었다.5. 갤러리
참조
[1]
서적
Chinese art: a guide to motifs and visual imagery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2
[2]
서적
Chinese weapons dictionary
[3]
서적
Dictionary of the Weapon
[4]
웹사이트
鉞戟:鉞 [yuè]戟 [jǐ](axe一halberd)中國古代一種把 -百科知識中文網
https://www.easyatm.[...]
[5]
문서
Note: Yueji is a term used in the present time to differentiate this weapon from the regular j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