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도끼 은도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도끼 은도끼'는 정직한 나무꾼이 도끼를 연못에 빠뜨린 후, 헤르메스(혹은 산신령)가 나타나 금도끼, 은도끼, 쇠도끼 중 진짜 도끼를 고르도록 하는 이야기이다. 나무꾼이 정직하게 쇠도끼가 자신의 것이라고 말하자, 헤르메스는 세 도끼를 모두 주고, 이웃 나무꾼이 욕심을 부려 거짓말을 하자 도끼를 주지 않는다. 이 이야기는 정직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변형되어 전해진다. 또한, 도끼는 권력의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회화, 도자기, 우표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솝 우화 - 토끼와 거북이
    토끼와 거북이는 이솝 우화에서 유래되어 전 세계적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로, 빠른 토끼와 느린 거북이의 경주를 통해 꾸준한 노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문화적 배경에 따라 거북이의 행동에 대한 비판적 해석도 존재한다.
  • 이솝 우화 - 개미와 베짱이
    개미와 베짱이는 근면함과 부주의에 대한 교훈을 담은 우화로, 겨울을 대비하는 개미와 여름을 즐기는 베짱이의 대비를 통해 교훈을 전달하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금도끼 은도끼
개요
제목정직한 나무꾼
다른 제목머큐리와 나무꾼
황금 도끼
아르네-톰프슨 유형 분류ATU 729 (도끼가 개울에 빠지다)
기원
국가그리스
지역전 세계
관련 정보
관련 항목이솝 우화

2. 줄거리

옛날, 가난하지만 마음씨 착한 나무꾼이 살았다. 어느 날, 나무꾼은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실수로 연못에 도끼를 빠뜨렸다. 나무꾼이 슬퍼하자 산신령(한국에서는 헤르메스가 산신령으로 바뀜)이 나타나 금도끼, 은도끼를 차례로 보여주며 잃어버린 도끼가 맞는지 물었지만, 나무꾼은 자신의 낡은 쇠도끼가 아니라고 정직하게 대답했다.[22][23] 이에 감탄한 산신령은 세 도끼를 모두 나무꾼에게 주었다.

이웃집에 사는 욕심 많은 나무꾼은 이 이야기를 듣고 일부러 연못에 도끼를 빠뜨린 후, 산신령에게 금도끼가 자기 것이라고 거짓말을 했다. 하지만 산신령은 그의 속셈을 알아채고 도끼를 돌려주지 않았다.

이 이야기의 교훈은 '정직이 최선의 방책'이라는 것이다.[3]

2. 1. 기본 줄거리

옛날, 가난하지만 마음씨 착한 나무꾼이 병든 부모님을 모시고 살았다. 어느 날, 나무꾼은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실수로 연못에 도끼를 빠뜨렸다. 도끼를 건지려 했지만 실패하고 낙심하던 중, 연못에서 빛이 나며 산신령(한국에서는 헤르메스가 산신령으로 바뀜)이 나타났다.[22][23] 산신령은 “이 금도끼가 네 도끼냐?”라고 물었지만, 나무꾼은 “아닙니다.”라고 대답했다. 산신령이 다시 “이 은도끼가 네 도끼냐?”라고 물었지만, 나무꾼은 또 “아닙니다. 제 도끼는 낡은 쇠도끼입니다.”라고 정직하게 답했다.

이에 산신령은 나무꾼의 정직함에 감탄하여 금도끼, 은도끼, 쇠도끼 세 개를 모두 주었다. 이 소식을 들은 욕심 많은 이웃 나무꾼은 일부러 연못에 도끼를 빠뜨리고 같은 상황을 연출하려 했지만, 산신령은 그의 거짓말을 간파하고 꾸짖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리스 버전에서는 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 신이 등장한다. 도끼를 강에 빠뜨린 정직한 나무꾼에게 금도끼, 은도끼, 쇠도끼를 모두 주고, 욕심 많은 이웃은 자신의 도끼마저 잃게 된다는 내용으로 한국판과 거의 같다.

2. 2. 욕심 많은 이웃 나무꾼

그리스 버전의 이야기에서는 도끼를 실수로 강에 빠뜨린 한 나무꾼이 등장한다. 그는 생계를 유지할 유일한 수단이었던 도끼를 잃어버려 슬픔에 잠겨 울었다. 이를 불쌍히 여긴 신 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가 강물 속으로 들어가 금도끼를 가지고 나왔다. 헤르메스는 나무꾼에게 "이것이 네가 잃어버린 것이냐?"라고 물었지만, 나무꾼은 아니라고 답했다. 은도끼가 나왔을 때도 같은 대답을 했다. 자신의 도끼가 나오고 나서야 비로소 그것이 자기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정직함에 감동한 신은 세 도끼를 모두 가질 수 있도록 허락했다.

이 나무꾼의 행운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욕심 많은 이웃은 자신의 도끼를 강에 던지고 돌려달라고 울부짖었다. 헤르메스가 나타나 그에게 금도끼를 건네자, 이웃은 탐욕스럽게 그것을 차지하려 했다. 하지만 그는 금도끼는 물론 자신의 도끼마저 얻지 못했다.[3]

3. 다양한 판본

이 이야기는 나이지리아[10], 태국[11], 티베트[12], 일본[13] 등 여러 지역에서 변형된 판본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주요 줄거리는 유럽에서 유래된 이솝 버전과 동일하다. 이 우화는 유대교 성경에 나오는 엘리사의 도끼 기적 이야기와도 유사성을 보인다.[14] 엘리사는 강에 빠진 도끼 날을 물 위로 떠오르게 했다.[15]

라 퐁텐의 우화시에서는 제5권 제1화 "나무꾼과 메르퀴르"Le Bûcheron et Mercure프랑스어로 수록되어 있다. 이 판본에서는 정직한 나무꾼의 소문을 들은 다른 나무꾼들이 금도끼를 원하자, 메르퀴르가 도끼 대신 그들의 머리를 때린다.

3. 1. 한국 판본

옛날에 가난하고 마음씨 착한 나무꾼이 병든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나무꾼은 산에서 나무를 하던 중 실수로 연못에 도끼를 빠뜨렸다. 나무꾼이 도끼를 건지려 했지만 실패하고 낙심하고 있을 때, 연못에서 빛이 나며 산신령이 나타났다. 산신령은 "이 금도끼가 네 도끼냐?"라고 물었지만, 나무꾼은 아니라고 대답했다. 산신령이 다시 "이 은도끼가 네 도끼냐?"라고 물었지만, 나무꾼은 또 아니라고 대답하며, "제 도끼는 낡아빠진 쇠도끼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러자 산신령은 나무꾼의 정직함에 감탄하며 도끼 세 개를 모두 주었다. 이웃집의 욕심 많은 나무꾼이 이 소식을 듣고 금도끼와 은도끼를 얻으려 했지만, 산신령은 그의 꾀를 알아채고 꾸짖었다는 내용이 추가되기도 한다. 이 이야기는 개화기 학생들의 교과서에 번역되어 실리면서 한국적인 이야기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22][23]

3. 2. 그리스 판본

옛날에 가난하고 마음씨 착한 나무꾼이 실수로 연못에 도끼를 빠뜨렸는데, 헤르메스가 나타나 금도끼와 은도끼를 보여주며 잃어버린 도끼인지 물었다. 나무꾼은 아니라고 답했고, 낡은 쇠도끼를 돌려받자 헤르메스는 정직함에 감동하여 세 도끼를 모두 주었다. 욕심 많은 이웃은 이를 따라 하려 했지만, 헤르메스는 그의 꾀를 알아채고 꾸짖었다.[22][23]

이 이야기의 교훈은 '정직이 최선의 방책'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중세 비잔틴 격언에는 '강은 항상 도끼를 가져다주지는 않는다'라는 말이 있었는데,[3] 이는 어떤 사람도 항상 일관되게 행동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이야기의 적용과는 거리가 있다.

프랑수아 라블레의 16세기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에는 이 우화의 풍자적 재현이 등장한다. 여기서는 벌목꾼의 울음소리가 신들의 수장을 방해하고, 머큐리가 내려보내 세 도끼로 남자를 시험하고 잘못 선택하면 머리를 베라는 지시를 받는다. 벌목꾼은 시험을 통과하고 부자가 되지만, 그의 방식을 따라 한 사람들은 목이 잘린다. 라 퐁텐의 우화 (V.1)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오지만, 머큐리는 흉내 낸 사람들의 목을 베는 대신 강한 타격을 가한다.[4]

3. 3. 일본 판본

나카츠카사 테츠로에 따르면, 물에 빠진 도끼 이야기는 같은 종류의 민담이 전 세계에 퍼져 있으며, 일본의 금도끼 이야기에 대해서는 민담의 전파가 일본에 미친 것인지, 아니면 이솝 우화가 옛날이야기화된 것인지 판정할 수 없다고 한다.[16]

일본에서는 처음 헤르메스 신을 수신으로 번역했기 때문인지, 아동서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여신으로 묘사된다.[17]

메이지 시대의 번역본에서는 와타나베 아츠시의 『통속 이소푸 이야기』 중 "벌목꾼과 산령의 이야기"[18]나 사토 키요시의 『정역 이소푸 이야기』 중 "수신과 벌목꾼"[19]에서는 성별이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우에다 카즈토시의 『신역 이소푸 이야기』 중 "수신과 벌목꾼"에서는 삽화가 여성으로 되어 있으며[20], 이와야 사잔나미의 『이솝 옛날 이야기』 중 "쇠도끼와 금도끼"에서는 확실히 "여신"이라고 명시하고 있다.[21]

4. 상징과 해석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는 여러 가지 상징과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끼는 파스케스로서 '권력'의 상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기득권층이나 권력자들이 권력의 집중을 받을 자격으로 '자기 분수를 알고 권력의 균형을 조화시킬 의지'를 갖춘 자를 인식하고 있다는 전제를 함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 버전의 이야기는 도끼를 실수로 강에 빠뜨린 벌목꾼이 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를 만나 금도끼, 은도끼, 쇠도끼를 얻게 되는 과정을 통해 정직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중세 비잔틴 격언은 '강은 항상 도끼를 가져다주지는 않는다'였다.[3] 이는 어떤 사람도 항상 일관되게 행동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이야기와는 거리가 있다. 이 우화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질투심 많은 이웃의 논리적 격차를 드러낸다. 그는 부를 얻기 위한 근접 원인(도끼를 강에 빠뜨리는 것)은 관찰했지만, 궁극적인 원인(철저한 정직함)은 간과했다.

프랑수아 라블레의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에는 이 우화의 풍자적 재현이 등장한다. 벌목꾼의 울음소리가 신들의 수장의 심기를 건드렸고, 머큐리를 내려보내 시험하고 잘못 선택하면 머리를 베라는 지시를 내렸다. 벌목꾼은 시험을 통과하고 부자가 되었지만, 그의 방식을 따라한 사람들은 목이 잘린다. 라블레는 우리의 욕망에 절제가 필요하다고 결론짓는다. 라 퐁텐의 우화 (V.1)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오지만, 머큐리는 벌목꾼을 흉내 낸 사람들에게 강한 타격을 줄 뿐이다.[4]

4. 1. 도끼의 상징

'금도끼 은도끼'에 대한 또 다른 해석으로는 도끼(파스케스)를 '권력'의 상징으로 제시한다. 이는 기득권자들이나 권력의 합의적 총화(總和)의 입장에 있는 자들이 권력의 집중을 받을 자격으로 '자기 분수를 알고 권력의 균형을 조화시킬 의지'를 갖춘 자를 인식하고 있다는 전제를 함의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4. 2. 정직과 욕심

옛날에 가난하고 마음씨 착한 나무꾼이 병든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나무꾼은 산에서 나무를 하던 중 실수로 도끼를 연못에 빠뜨렸다. 나무꾼은 도끼를 건지려 했지만 실패하고 낙심하여 울고 있었다. 이때 연못에서 빛이 나며 헤르메스가 나타나 “이 금도끼가 네 도끼냐?”라고 물었다. 나무꾼은 “아닙니다.”라고 대답했다. 헤르메스는 다시 “이 은도끼가 네 도끼냐?”라고 물었지만, 나무꾼은 또 “아닙니다.”라고 대답하며 “제 도끼는 낡아빠진 쇠도끼입니다.”라고 말했다. 헤르메스는 나무꾼의 정직함에 감동하여 도끼 세 개를 모두 주었다.[22][23]

이 소식을 들은 욕심 많은 이웃 나무꾼은 금도끼와 은도끼를 얻으려고 같은 행동을 했지만, 헤르메스는 그의 꾀를 알아채고 꾸짖었다는 내용이 추가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헤르메스가 산신령으로 바뀌었으며, 개화기 학생들의 교과서에 번역, 수록되면서 한국적 이야기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22][23]

이 이야기의 교훈은 '정직이 최선의 방책'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강은 항상 도끼를 가져다주지는 않는다'라는 중세 비잔틴 격언도 있었다.[3] 이는 어떤 사람도 항상 일관되게 행동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질투심 많은 이웃은 부를 얻기 위한 근접 원인(도끼를 강에 빠뜨리는 것)은 알았지만, 궁극적인 원인(철저한 정직함)은 간과했다. 헤르메스가 나타나려면 올바른 상황이 필요했다. 이웃이 깨달았듯이, 그것 없이는 '강은 항상 (금) 도끼를 가져다주지 않는다'.

4. 3. 정치적 해석 (한국)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는 도끼(斧, 파스케스)를 '권력'의 상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 해석에 따르면, 기득권층이나 권력자들은 권력이 집중될 자격으로 '자신의 분수를 알고 권력의 균형을 조화시킬 의지'를 갖춘 사람을 찾는다는 전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1]

5. 예술 작품에서의 금도끼 은도끼

살바토르 로사의 "머큐리와 부정직한 나무꾼"의 빅토리아 시대 에칭화


금도끼 은도끼 우화를 소재로 한 예술 작품은 회화, 도자기, 우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 회화: 살바토르 로사의 "머큐리와 부정직한 나무꾼"(1650년경, 내셔널 갤러리 소장)과 샤를-앙드레 반 로의 "머큐리가 나무꾼에게 도끼를 바치다"(소비즈 호텔 소장) 등이 대표적이다.[5][6][7]
  • 도자기: 사무엘 크록살의 이솝 우화집에 실린 목판화를 참고하여 영국 도자기에 삽화가 그려졌다. 1775년경 웨지우드 접시와 리버풀 타일에서 이러한 삽화를 볼 수 있다.[8]
  • 우표: 1987년 그리스에서 발행된 이솝 우화 우표 세트에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가 포함되었다. 우표에는 강가 바위에 앉아 수염을 기른 나무꾼에게 세 개의 도끼를 건네주는 벌거벗은 신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9]

5. 1. 회화



이 우화를 소재로 한 그림 중에는 중간 평면에 작은 인물들을 덧붙인 광활한 풍경화가 많다. 살바토르 로사의 "머큐리와 부정직한 나무꾼"은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으며, 1650년경에 제작되었다.[5] 조지 로버트슨(1748–88)의 18세기 수채화는 이 그림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6] 샤를-앙드레 반 로는 소비즈 호텔에 소장된 그의 작품 "머큐리가 나무꾼에게 도끼를 바치다"에서 인물들에게 더 큰 비중을 부여했다.[7] 이 그림에서 신은 공중에 떠 있으며, 놀라 무릎을 꿇은 나무꾼에게 도끼를 바치고 있다.

영국 도자기 위의 이 우화 삽화는 사무엘 크록살의 이솝 우화집에 실린 목판화를 참고했다. 1775년경의 웨지우드 접시는 화환으로 장식된 사각형 틀 안에 붉은 그림을 담고 있다. 가장자리에는 분리된 꽃다발이 인쇄된 물결 모양의 가장자리가 있다. 거의 같은 그림이 녹색으로 인쇄되어 당시 리버풀 타일에 사용되었다.[8] 왼쪽 앞부분에는 머큐리가 앉아 있는 나무꾼에게 도끼를 건네주고 있다. 멀리, 반대편 강둑에서는 그의 부정직한 이웃이 강에 도끼를 던지기 전에 도끼를 치켜들고 있다.

1987년에는 이 이야기가 그리스에서 발행한 이솝 우화 8개 우표 세트 중 40 드라크마 우표에 포함되었으며, 강가 바위에 앉아 세 개의 도끼를 수염을 기른 나무꾼에게 제공하는 벌거벗은 신의 모습을 담고 있다.[9]

5. 2. 도자기



영국 도자기 위 이 우화 삽화는 사무엘 크록살의 이솝 우화집에 실린 목판화를 참고했다. 1775년경 웨지우드 접시는 화환으로 장식된 사각형 틀 안에 붉은 그림을 담고 있다. 가장자리에는 분리된 꽃다발이 인쇄된 물결 모양의 가장자리가 있다. 거의 같은 그림이 당시 리버풀 타일에 녹색으로 인쇄되었다.[8] 왼쪽 앞부분에는 머큐리가 앉아 있는 나무꾼에게 도끼를 건네주고 있다. 멀리 반대편 강둑에서는 그의 부정직한 이웃이 강에 도끼를 던지기 전에 도끼를 치켜들고 있다.

5. 3. 우표

1987년 그리스에서 발행한 이솝 우화 8개 우표 세트 중 40 드라크마 우표에 이 이야기가 포함되었다. 이 우표에는 강가 바위에 앉아 수염을 기른 나무꾼에게 세 개의 도끼를 건네주는 벌거벗은 신의 모습이 담겨 있다.[9]

6. 다른 문화권의 유사 설화

이 이야기의 다른 버전들은 나이지리아,[10] 태국,[11] 티베트,[12]일본[13]에서도 지역적 변형을 거쳐 전해진다. 하지만 모든 버전에서 주요 줄거리는 아이소포스 버전과 동일하며, 이는 유럽에서 유래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우화는 유대교 성경에 나오는 도끼의 기적적인 회수 이야기에 일정한 유사성을 보인다.[14] 여기에서 예언자 엘리사는 강에 빠진 도끼 날을 물 위로 떠오르게 했다.[15]

참조

[1] 서적 The Book of Greek and Roman Folktales, Legends, and Myth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서적 Lesebuchgeschichten: Erzählstoffe in Schullesebüchern, 1770–1920 De Gruyter
[3] 웹사이트 Ariadne's Thread: A Guide to International Tales Found in Classical Literature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04-14
[4] 웹사이트 An English version https://www.readbook[...] Readbookonline.org 2013-04-14
[5] 웹사이트 Salvator Rosa | Landscape with Mercury and the Dishonest Woodman | NG84 | The National Gallery, London http://www.nationalg[...] Nationalgallery.org.uk 2013-04-14
[6] 웹사이트 George Robertson (1748–1788) watercolour, Mercury and The Woodman, 9.5 x 15.5 ins http://www.icollecto[...] Icollector.com 2013-04-14
[7] 웹사이트 Mercure présentant des haches au bûcheron http://www.insecula.[...] Insecula.com 2013-04-14
[8] 웹사이트 Both are on display in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https://collections.[...] Collections.vam.ac.uk 2013-04-02
[9] 웹사이트 Creighton University https://www.creighto[...]
[10] 웹사이트 African Tales https://books.google[...] WriteLife LLC 2013-04-14
[11] 웹사이트 Thai Tales https://archive.org/[...] Libraries Unlimited 1994
[12] 웹사이트 Essentials of modern literary Tibetan: a reading course and reference gramm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13] 서적 Yanagita Kunio Guide to the Japanese Folk Tale Indiana University Press
[14] 서적 Ariadne's Thread: A Guide to International Tales Found in Classical Literature Cornell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Kings II, 6.4–6 https://www.biblestu[...]
[16] 서적 イソップ寓話の世界 ちくま新書
[17] 서적 イソップ絵本はどこからきたのか 三弥井書店
[18] 웹사이트 通俗伊蘇普物語 https://dl.ndl.go.jp[...]
[19] 웹사이트 正訳伊蘇普物語 https://dl.ndl.go.jp[...]
[20] 웹사이트 新訳伊蘇普物語 https://dl.ndl.go.jp[...] 鍾美堂
[21] 웹사이트 イソップお伽噺 https://dl.ndl.go.jp[...] 三立社
[22] 웹사이트 향토문화전자대전「금도끼 은도끼」 https://terms.naver.[...]
[23] 웹사이트 한국민속문학사전: 설화 편 금도끼은도끼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