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쇄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쇄봉은 '쇠를 부수는 막대'라는 뜻으로, 곤봉 형태의 무기를 통칭한다.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13세기부터 사용된 기록이 존재한다. 남북조 시대에 유행했으며, 무거운 나무나 철로 제작되어 야구 방망이와 유사한 형태를 띠거나, 한 손으로 사용 가능한 형태도 있었다. 금쇄봉은 실전 무기로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요새의 관문을 부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오니(귀신)의 신화적인 무기로 묘사되며, "오니에게 금쇄봉"이라는 속담으로도 알려져 있다. 금쇄봉은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물이며, 현대의 스포츠 용품이나 도구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무기 - 일본도
일본도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의 칼로, 고대에는 전투용, 현대에는 장식 및 취미용으로 사용되며, 시대와 도공 유파, 칼날 길이나 착용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는 일본 문화의 상징이다. - 일본의 무기 - 나기나타
나기나타는 휘어진 칼날이 달린 긴 자루의 일본 무기로, 헤이안 시대 후기에 등장하여 겐페이 전쟁에서 기병을 상대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후 전투 방식 변화로 전장에서의 사용은 줄었지만 에도 시대에 무가 여성의 필수 교양 및 자기방어 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고, 현대에는 무도 및 경기 종목으로 전승되고 있다. - 타격무기 - 톤파
톤파는 오키나와 무술에서 유래된 막대기 형태의 무기로, 막기와 치기에 사용되며, 경찰봉으로도 활용되었으나 신축식 경찰봉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 타격무기 - 재목
제재목은 나무를 깎아 만든 건축 자재로, 용도와 규격, 강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며, 건축 구조재, 가구,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자연적 요인과 가공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방부 처리 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금쇄봉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둔기 |
사용 시기 | 일본 봉건 시대 |
관련 무술 | 스모 |
역사 및 용도 | |
개요 | 카나보 (金砕棒, かなさいぼう) 또는 테츠보 (鉄棒, てつぼう)는 일본에서 사용된 곤봉 또는 철퇴의 일종이다. |
형태 및 재료 | 카나보와 그 변형은 모든 모양과 크기로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카나보가 필요했던 전투병의 기호에 따라 달랐다. 그것들은 나무로 만들어지거나 완전히 철로 만들어졌고, 철로 된 스파이크나 스터드가 머리 끝에 붙어 있었다. 철로 덮인 모든 종류의 나무 몽둥이는 카나보라고 부를 수 있지만, 어떤 카나보도 모두 철로 만들어졌다. 크기는 손에 들 수 있을 만큼 작은 것부터 양손으로 들 수 있을 만큼 큰 것까지 다양했고, 무게도 그에 따라 다양했다. 형태는 곤봉과 비슷하거나 철퇴와 비슷했다. |
용도 | 카나보의 예술은 상당한 힘을 요구했고, 카나보의 사용자는 전장에서 갑옷을 입은 적을 부수기 위해 그것을 사용했을 것이다. 다른 무기와 마찬가지로, 카나보도 무기로 사용되는 것 외에도 자부심을 가지고 다녔을 것이다. 카나보는 또한 강하고 악한 도깨비인 오니가 소지하고 있다. |
문화적 의미 | "오니에게 카나보를 주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것은 "강한 자에게 무기를 주다" 또는 "이미 강한 자에게 또 다른 이점을 더하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
2. 명칭 및 형태
금쇄봉은 '쇠를 부수는 막대'라는 뜻으로, 곤봉 형태의 무기를 총칭한다.
금쇄봉은 때리는 데 특화된 무기로, 머리뿐만 아니라 몸통에 맞아도 큰 충격을 줄 수 있었다. 이러한 충격으로 적을 쓰러뜨린 후 덮쳐서 목을 베거나, 뼈를 부수고 내장을 파열시키는 방식으로 전투를 수행했다.[11] 하지만 금쇄봉은 크기 때문에 매우 무거워서, 근력이 뛰어난 사람이 아니면 다루기 어려웠다.[11]
실전 사용 예로는 전국 다이묘인 모가미 요시아키가 전투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그린 병풍 그림이 남아 있다.[12][13] 또한, 튼튼하고 무거운 특징을 살려 요새의 관문을 부수는 파성추로도 사용되었다.[11]
대태도, 대나기나타, 월(鉞)과 같이 다루려면 완력이 필요했으며,[11][14] 남북조 시대에 유행했지만,[11] 사용된 예는 많지 않다.[15]
2. 1. 다양한 명칭
금쇄봉(金砕棒) 외에도 철봉(鉄棒), 아라레보(あら-), 찍봉(撮棒/재봉(材棒))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5][3][6] '찍봉'은 금속제 찍봉이라는 의미이며,[22] 재료에 따라 나무 막대인 재봉(材棒)으로도 표기되었다. 찍봉은 13세기의 『고금저문집(古今著聞集)』에 처음 등장하며, 민속학적으로는 "사이덴봉(サイデン棒)"이나 "자이후리봉(ザイフリ棒)"이라고도 불리고,[23] 경계에 세우는 사에봉(サエ棒)으로 사용되다가 점차 무술로 발전했다.[24]2. 2. 형태적 특징
금쇄봉은 무거운 나무나 철로 만들어졌으며, 한쪽 끝에 철제 스파이크나 스터드가 박혀 있기도 했다. 나무 금쇄봉은 한쪽 또는 양쪽 끝을 철제 캡으로 덮기도 했다. 금쇄봉은 매우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작되었는데, 가장 큰 것은 사람 키만 했지만, 평균 길이는 약 약 139.70cm였다. 보통 양손으로 사용하도록 제작되었지만, 한 손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철봉(tetsubō)과 아라레봉(ararebō)으로 불렸다.[5][3][6]야구 방망이처럼 바깥쪽 끝이 두껍고 얇은 손잡이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이거나, 장(杖)처럼 손잡이에서 끝까지 일직선일 수도 있었다. 자루의 단면은 둥글거나 (야구 방망이처럼) 다각형일 수 있었다.[5][3][6]
3. 역사
금쇄봉은 때리는 데 특화된 무기로, 머리나 몸통에 맞아도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이 충격으로 적을 쓰러뜨린 후 목을 베거나 쳐서 죽이는 방식으로 전투를 수행했다.[11] 그러나 육각봉이나 팔각봉을 철판으로 감싸거나 쇠심을 박은 금쇄봉은 매우 무거워 근력이 뛰어난 사람만이 다룰 수 있었다.[11]
남북조 시대에 유행했지만,[11] 실전 사용 예는 많지 않다. 무로마치 시대 이후에는 쇠퇴하였다.
3. 1. 남북조 시대의 사용
남북조 시대에 금쇄봉이 유행하였고,[11] 태평기에는 금쇄봉 사용 사례가 8건으로 적게 등장한다.[15] 금쇄봉은 대태도, 대나기나타, 월(鉞)과 마찬가지로 완력이 필요한 무기였다.[11][14] 전국 다이묘인 모가미 요시아키가 전투에서 금쇄봉을 사용하는 모습을 그린 병풍 그림이[12] 남아 있다.[13] 금쇄봉은 튼튼하고 무거워서 요새의 관문을 부수는 간이 파성추로도 이용되었다.[11]3. 2. 민속학적 관점
찍봉은 민속학적으로 "사이덴봉"이나 "자이후리봉"이라고도 불리며[23], 양물을 상징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막대이며[24], 경계에 세우는 사에봉(サエ棒)으로 사용되다가 점차 무술로 발전했다[24].아미노 요시히코(網野善彦)는 조몬 시대 이래 활과 화살을 발전시킨 동국(東国)에서는 중세에 활과 화살의 길이 발전했기 때문에, 찍봉을 무기로 발전시킨 것은 서국(西国)이며, 금쇄봉은 "서국적인 병법"이라는 견해를 보였다.[25] 아미노 요시히코는 남북조 시대의 전투를 동국적인 기마 군세에 대해 비력(飛礫)과 찍봉을 구사한 서국 세력의 충돌이라는 구도로 기술하고, 이 전법으로 동국 세력을 괴롭혔다는 견해를 보였다.[25]3. 3. 아이누의 사용
아이누는 제재봉을 보통보다 길게 하고, 끝에 쇠 조각을 박아 살상력을 높인 것을 전투용으로 사용했다.[1]4. 오니와 금쇄봉
금쇄봉은 초인적인 힘을 가졌다고 전해지는 오니 이야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신화적인 무기이다.[7][8] 일반적으로 금쇄봉은 전부 철제로 만들어졌으며 가시가 붙어 있는데, 이는 팔각 봉에 철판을 붙였을 때 고정용 징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4. 1. 속담: 오니에게 금쇄봉
"'''오니에게 금쇄봉'''(鬼に金棒)"이라는 일본 속담은 이미 강한 존재에게 더욱 힘을 실어주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이다.[9] 이는 오니에게 금쇄봉을 주는 상황을 빗대어, 이미 유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추가적인 이점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강자를 더욱 강하게 만드는 것을 뜻한다.[9]이 속담의 기원은 15세기 말에 성립된 『아로합전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책에는 "귀신에게 금쇄봉을 쥐어주다"라는 표현이 등장한다.[20] 『아로 이야기』의 기술을 통해, 15세기에는 아직 '오니에게 금쇄봉'이라는 표현이 생략되지 않았고, '쇄(砕)' 자도 통일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속담으로서 "오니에게 금쇄봉"이 처음 등장한 것은 1645년에 간행된 『모후키구사』이다.[21] 이와 비슷한 속담으로는 "귀신에게 철장(테츠조)"이 있다.
4. 2. 설화 속 오니와 금쇄봉
『오다와라 호조기』 권8 "귀신을 만난 아사히나 야타로"에는 덴쇼 10년(1582년)에 닛킨도 기슭에서 있었던 기이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검은 피부에 근육질이며 키가 약 2m나 되는 정체불명의 남자가 철첨봉(카나사이보)으로 보이는 것을 어깨에 메고 있었다. 이 남자는 아사히나 일행에게 자신은 무해하니 뒤에 오는 여자에게 기다리고 있다는 말을 전해달라고 부탁했다. 이후 여자에게 말을 전하자 여자의 비명이 들렸고, 가보니 장례식 중이었다. 사람들은 여러 정황을 통해 여자가 영혼이며, 닛킨 부근에 지옥이 있고, 그 남자는 오니였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7][8]5. 현대적 의의
금쇄봉은 더 이상 실전에서 사용되는 무기는 아니지만,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물이다. 아이누는 제재봉을 보통보다 길게 하고, 끝에 쇠 조각을 박아 살상력을 높인 것을 전투용으로 사용했다.[1] 도쿄도립도서관 도쿄 자료 문고 소장 《에치고 17 장의 초상》에는 키의 2배나 되는 과장된 금쇄봉이 그려져 있다.[2]
참조
[1]
서적
Tuttle dictionary of the martial arts of Korea, China & Japan
''
1996
[2]
서적
Pauley's Guide: A Dictionary of Japanese Martial Arts and Culture
''
2009
[3]
서적
Classical weaponry of Japan: special weapons and tactics of the martial arts
Kodansha International
2003
[4]
서적
Classical weaponry of Japan: special weapons and tactics of the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03
[5]
서적
Secrets of the samurai: a survey of the martial arts of feudal Japan
''
[6]
서적
Heroes of the Grand Pacification: Kuniyoshi's Taiheiki eiyū den
''
[7]
서적
Tigers, Devils, and Fools: A Guide to Japanese Proverbs
''
[8]
간행물
The Oriental Economist
''
[9]
서적
The netsuke handbook
''
[10]
문서
太平記
14세기
[11]
서적
武器と防具 日本編
신기원사
[12]
웹사이트
山形市最上義光歴史館 長谷堂合戦図屏風
http://mogamiyoshiak[...]
[13]
문서
義光本人は怪力の人物としても知られている。
[14]
서적
日本の武器と武芸
別冊宝島
[15]
서적
騎兵と歩兵の中世史
吉川弘文館
[16]
서적
日本刀図鑑 保存版
光芸出版
[17]
서적
イラストで時代考証2 日本軍装図鑑 上
雄山閣
[18]
서적
日本刀が語る歴史と文化
雄山閣
[19]
서적
刀と首取り
平凡社
[20]
문서
さい」の漢字は原文ママであり、砕ではない。
[21]
서적
故事ことわざ辞典
東京堂出版
1968
[22]
문서
広辞苑での表記は、「金砕棒」ではなく、「金'''撮棒'''」の方である。
[23]
서적
東と西の語る 日本の歴史
講談社学術文庫
1998
[24]
서적
東と西の語る 日本の歴史
[25]
서적
東と西の語る 日本の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