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오름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위치한 오름이다. 한라산 서남쪽 평야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동쪽에 이시돌 목장이 있다. 검은 흙 때문에 '검은오름'으로 불렸으며, '금악오름'으로 표기되어 현재에 이른다. 금오름 정상에는 방송 중계소가 설치되어 디지털 TV 및 FM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며, 한림읍과 한경면 일대에서 시청 및 청취가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시의 지리 - 한라산
한라산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남한 최고봉의 휴화산으로, 백록담 화산호와 다양한 화산 지형, 식생, 동식물상을 보유하여 국립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고 문화·역사적 가치도 지닌다. - 제주시의 지리 - 거문오름
거문오름은 숲이 우거져 검게 보이는 한라산의 단성화산체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용암 동굴 형성 및 일본군 군사시설 존재로 천연기념물과 과거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산 - 산방산
산방산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있는 해발 345m의 종상 화산으로, 산방굴사와 '산방덕의 눈물' 전설, 그리고 용머리해안, 하멜표류기념탑 등의 관광지와 함께 한라산 바위가 변했다는 전설이 있는 신성한 곳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산 - 송악산 (제주)
송악산은 제주도 서남쪽에 위치한 응회암 기생화산으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일제강점기 군사기지 및 섯알오름 학살 사건과 같은 역사적 아픔을 간직한 곳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금오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금오름, 금악오름, 검은오름 |
높이 | 427.5 m |
![]() | |
위치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
2. 위치
금악오름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위치한다. 한라산 서남쪽 해안과 산록지대 사이의 광활한 평야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오름 동쪽과 동남쪽에는 천주교 성지로 알려진 이시돌 목장이 있다. 오름 남쪽 정상에는 중계소가 있으며, 정상까지 시멘트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1][2]
금오름은 일찍부터 '검은오름'이라 불렸고, 한자 차용 표기로는 흑악(黑岳)으로 표기되었다. 이 오름의 흙이 유난히 검은색을 띠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검은오름'은 '금을오름'이라고도 불리며, 금물악(今勿岳)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1]
금오름은 높이 427m, 비고 178m, 둘레 2861m, 면적 613966m2, 폭 1008m의 원추형 오름이다. 정상에는 굼부리(분화구)가 패어 있으며, '왕메' 또는 '암메'라고 불린다. 정상에 물이 고이면 금악담(今岳潭)이라고 한다. 검은오름으로 올라가는 어귀에는 생이물, 생이못이라는 샘물과 쉐물(소물)이 있다.[1][2]
금오름은 신(神)이란 뜻의 어원을 가진 호칭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옛날부터 신성시되어 온 오름으로, 지역 주민들은 한림지역 금악오름의 이름을 따서 오름 바로 서쪽 벵듸물 일대를 금악리라고 부르고 있다. 주요 식생은 해송, 삼나무, 찔레나무, 보리수나무 등이다.[2]
금오름 정상에는 KBS, MBC, JIBS 등의 방송 중계소가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디지털TV 및 FM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며, 한림읍, 한경면 일대가 가시청권이다.
3. 명칭 유래
금물악에서 '물(勿)' 자를 생략하여 금악(今岳)으로 표기하게 되면서 오늘날까지 금악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마을 사람들은 금오름이라고 부른 적은 없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곳 지역에서 '검막'이라 부르듯이 '검은오름', '금악오름'으로 부르는 것이 옳다고 보고 있다.[1]
제주시 연동의 금오름은 숲이 무성하게 덮여 있어 검게 보인다 하여 '거믄오름', '검은오름'이라 불린다. '검은'이라는 것은 신(神)이란 뜻의 고조선 시대 '검·곰·감'에 뿌리를 두는 것으로, 검은오름은 신령스러운 산이라는 뜻이다.
풍수상 거문고 형태라는 데서 금오름이라고도 하였다고 전해진다. '검오름', '곰오름'이라는 또 다른 이름도 있지만, 금악오름에도 이와 비슷한 유래가 전해져 이름이 서로 비슷하여 생기는 혼동으로 보인다.
4. 지형 및 특징
5. 전해오는 이야기
제주시 연동 금오름은 전사면이 가파르며, 등성마루가 동, 서 방향으로 평평하고, 북사면은 세 가닥의 등성이를 이루고 있다. 연동 금오름은 중산간 지대에 위치한 오름으로 목장 용지로 이용되어 왔고, 분화구 상단부에는 칡이 우거지고 주변에 자귀나무, 보리수나무 등이 일부 식생하고 있다.[1][2]
6. 금악 중계소
6. 1. 디지털TV 방송
가상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물리채널 | 출력 | 가시청권 |
---|---|---|---|---|---|
6-1 | JIBS 디지털TV | HLKJ-DTV | 48 | 90W | 한림읍, 한경면 |
7-1 | KBS제주 DTV2 | HLQC-DTV | 38 | 90W | 한림읍, 한경면 |
9-1 | KBS제주 DTV1 | HLKS-DTV | 24 | 90W | 한림읍, 한경면 |
10-1 | EBS 1TV | HLQL-DTV | 35 | 90W | 한림읍, 한경면 |
10-2 | EBS 2TV | HLQL-DTV | 35 | 90W | 한림읍, 한경면 |
11-1 | 제주MBC 디지털TV | HLAJ-DTV | 32 | 90W | 한림읍, 한경면 |
6. 2. FM 라디오 방송
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출력 | 가시청권 |
---|---|---|---|---|
92.7 MHz | KBS 제주 제2라디오(HappyFM) | HLQC-SFM | 100kW | 한림읍, 한경면 |
97.5 MHz | JIBS NewPowerFM | HLQC-FM | 100kW | |
102.5 MHz | 제주MBC FM4U | HLAJ-FM | 3kW | |
103.7 MHz | KBS제주 음악FM | HLKS-FM | 100kW | |
106.5 MHz | 제주MBC 라디오 | HLAJ-SFM | 1kW |
참조
[1]
서적
김종철("오름나그네",1995), 『남제주군지』(남제주군, 2006), 오창명, 『제주도 마을 이름의 종합적 연구』(제주대학교 출판부, 2007), 『제주어 사전』(제주도, 1995), 『제주의 오름』(제주도, 1997)
[2]
뉴스
'밟고 선 땅 아래가 망자 무덤'…삶의 터전을 잃다
https://www.samdailb[...]
삼다일보
2018-06-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제주도민·관광객 ‘취향’ 갈렸다…가장 많이 찾는 오름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