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갑병대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갑병대장은 1935년 독일 국방군에서 창설된 계급으로, 주로 기갑군단을 지휘했으며, 보병대장, 기병대장, 포병대장과 동등한 지위였다. 상급대장 다음으로 높은 계급이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다수의 기갑병대장이 임명되었다. 현대 독일 연방군에서는 계급이 아닌 보직으로 존재하며, 기갑 훈련소를 지휘하는 준장이 맡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차병 - H. R. 맥매스터
H. R. 맥매스터는 걸프 전쟁 참전 용사이자 군사 전략가로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가 안보 보좌관을 역임하며, 《의무의 태만》 저술, 이라크 전쟁에서의 활약, 대반군 전술 혁신 등으로 알려진 미국의 전직 육군 중장이다. - 독일 국방군 기갑병대장 - 발터 네링
발터 네링은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철십자장을 수여받고 기갑부대 육성에 기여했으며, 아프리카 군단 사령관 등을 역임하고 종전 후 저술 활동을 펼친 독일의 군인이다. - 독일 국방군 기갑병대장 - 루트비히 크뤼벨
루트비히 크뤼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장교로, 제11장갑사단장과 독일 아프리카 군단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가잘라 전투에서 포로가 된 후 재향군인회 회장을 지냈다.
기갑병대장 | |
---|---|
개요 | |
국가 | 나치 독일 |
군대 | 독일 국방군 육군 |
종류 | 원수 |
도입 | 1935년 |
폐지 | 1945년 |
계급 및 휘장 | |
해당 계급 | 3성 장군 |
상위 계급 | 상급대장 |
하위 계급 | 중장 |
타군 상당 계급 | 제독 (독일 해군) 대장 (독일 공군) |
![]() | |
2. 독일 국방군 기갑병대장 목록
1935년에 창설된 기갑병대장은 주로 기갑군단을 지휘했으며, 보병대장, 기병대장, 포병대장과 동등한 지위였다. 상급대장 바로 아래 계급이었다.
기갑병대장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가나다순 목록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 | 1889년 | 1962년 | 1942년 상급대장 승진 |
헤르만 발크 | 1893년 | 1982년 | |
에리히 브란덴베르거 | 1882년 | 1955년 | |
헤르만 브라이트 | 1892년 | 1964년 | |
한스 크라머 | 1896년 | 1968년 | |
루트비히 크뤼벨 | 1892년 | 1958년 | |
카를 데커 | 1897년 | 1945년 | 자살 |
하인리히 에버바흐 | 1895년 | 1992년 | |
막시밀리안 폰 에델샤임 국가남작 | 1897년 | 1994년 | |
한스카를 폰 에제베크 남작 | 1892년 | 1955년 | |
구스타프 펜 | 1892년 | 1945년 | 파르티잔에게 처형 |
에른스트 페스만 | 1881년 | 1962년 | |
볼프강 피셔 | 1888년 | 1943년 | |
발터 프리즈 | 1894년 | 1982년 | |
한스 폰 풍크 남작 | 1891년 | 1979년 | |
레오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 1886년 | 1974년 | |
프리츠후베르트 그라제르 | 1888년 | 1960년 | |
하인츠 빌헬름 구데리안 | 1888년 | 1954년 | 1941년 상급대장 승진 |
요제프 하르페 | 1887년 | 1968년 | 1944년 상급대장 승진 |
지크프리트 하인리키 | 1889년 | 1964년 | |
트라우고트 헤어 | 1890년 | 1976년 | |
알프레트 리터 폰 후비키 | 1887년 | 1971년 | |
한스팔렌틴 후베 | 1890년 | 1944년 | 1944년 상급대장 승진,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 |
게오르크 야우어 | 1896년 | 1971년 | |
베르너 켐프 | 1886년 | 1964년 | |
모르티머 폰 케셀 | 1893년 | 1981년 | |
프리드리히 키르히너 | 1885년 | 1960년 | |
울리히 클리만 | 1892년 | 1963년 | |
오토 폰 크노벨스도르프 | 1886년 | 1966년 | |
발터 크뤼거 | 1892년 | 1973년 | |
프리드리히 퀴흔 | 1889년 | 1944년 | 폭격으로 사망 |
아돌프프리드리히 쿤트첸 | 1889년 | 1964년 | |
빌리발트 폰 랑거만 운트 에를렌캄프 남작 | 1890년 | 1942년 | |
요아힘 레멜젠 | 1888년 | 1954년 | |
하인리히 폰 뤼트비츠 남작 | 1896년 | 1969년 | |
즈밀로 폰 뤼트비츠 남작 | 1895년 | 1975년 | |
오즈발트 루츠 | 1876년 | 1944년 | |
하소 폰 만토이펠 남작 | 1897년 | 1978년 | |
카를 마우스 | 1898년 | 1959년 | |
발터 모델 | 1891년 | 1945년 | 1942년 상급대장, 1944년 야전원수 승진 |
발터 네흐링 | 1892년 | 1983년 | |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 1890년 | 1957년 | 1942년 상급대장, 1943년 야전원수 승진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1887년 | 1963년 | 1942년 상급대장 승진 |
에르빈 롬멜 | 1891년 | 1944년 | 1942년 상급대장, 1942년 야전원수 승진, 음독자살 |
한스 뢰티거 | 1896년 | 1960년 | |
디트리히 폰 자우켄 | 1892년 | 1980년 | |
페르디난트 샤알 | 1889년 | 1962년 | |
루돌프 슈미트 | 1886년 | 1957년 | 1942년 상급대장 승진 |
게르하르트 폰 슈베린 | 1899년 | 1980년 | |
프리도 폰 젱거 운트 에테를린 | 1891년 | 1963년 | |
게오르크 슈투메 | 1886년 | 1942년 | |
호르스트 슈툼프 | 1887년 | 1958년 | |
빌헬름 리터 폰 토마 | 1891년 | 1948년 | |
구스타프 폰 파어슈트 | 1894년 | 1975년 | |
루돌프 파이엘 | 1883년 | 1956년 | |
하인리히 폰 피팅호프 | 1887년 | 1952년 | 1943년 상급대장 승진 |
니콜라우스 폰 포어만 | 1895년 | 1959년 | |
발터 벵크 | 1900년 | 1982년 |
1935년에 창설된 기갑병대장은 주로 기갑군단을 지휘했다. 이 계급은 보병대장, 기병대장, 포병대장과 동등한 지위였다.[1] 국방군은 산악병대장, 공병대장, 강하병대장, 항공병대장, 통신병대장, 항공통신병대장 등 새로운 병과대장 계급을 도입했다.[1] 기갑병대장은 상급대장 바로 아래 계급이었다.[1]
현재 독일 연방군에는 계급이 아닌 보직으로서의 ''기갑병대장''(General der Panzertruppen)이 존재한다. 기갑병대장은 기갑 훈련소를 지휘하며, 일반적으로 준장이 맡는다. 나치 시대의 군대에서 이와 동일한 보직은 ''기갑병대 감사''(Generalinspekteur der Panzertruppe)라고 불렸다.
3. 기갑병대장의 계급 및 지위
4. 현대 독일 연방군 기갑병대장
독일 연방군에서 기갑 병과 부대의 훈련과 장비에 책임을 지는 장교는 통상 준장이 임명된다.[1] 기갑병대장은 기갑병 학교장의 지위와 관련이 있으며, 다른 병과에도 이와 유사한 직책이 존재한다.[1] 이때 "기갑병대장"은 계급이 아닌 지위를 의미하므로, 대령이 기갑병대장이 되기도 한다.[1] 경칭은 Herr General 또는 Herr Oberst이며, Herr General der Panzertruppen으로 칭하는 것은 계급을 의미하지 않으므로 올바르지 않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