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한 서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묘한 서커스는 소노 시온이 감독한 영화로, 단두대를 소재로 한 기묘한 서커스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는 소녀의 악몽, 학대받는 성장 과정, 그리고 소설 속 이야기들을 교차하며,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사유리, 타에코, 유지 등이 있으며, 영화는 충격적인 내용과 반전을 통해 관객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이 작품은 베를린 국제 영화제 등에서 상영 및 수상 경력이 있으며, 한국과의 관계로는 부산 국제 영화제에 출품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노 시온 감독 영화 - 인투 어 드림
소노 시온 감독의 2005년 영화 《인투 어 드림》은 성병에 걸린 연극 배우가 감염시킨 사람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통해 꿈과 현실의 혼란을 묘사하며, 감독의 초기 작품 세계를 회고적으로 비판하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 소노 시온 감독 영화 - 도쿄 트라이브
소노 시온 감독의 2014년 영화 《도쿄 트라이브》는 가상의 도쿄를 배경으로 여러 트라이브들의 갈등과 전쟁을 그린 작품으로, 갱 전쟁의 발단과 트라이브 연합, 그리고 올드 스쿨 힙합 라임으로 구성된 대사가 특징이나, 폭력성, 여성 혐오 등으로 해외 언론으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일본의 성소수자 영화 - 고하토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유작 《고하토》는 19세기 말 신선조를 배경으로, 미소년 가노 소자부로의 입단으로 인해 신선조 내부 질서가 흔들리며 동성애적 코드와 억압된 욕망이 드러나는 이야기와 주요 인물들의 갈등, 복잡한 인간관계, 사카모토 류이치의 음악을 통해 일본 사회의 어두운 면과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영화이다. - 일본의 성소수자 영화 - 전장의 크리스마스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영화 전장의 크리스마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인도네시아 자와섬의 일본군 포로수용소를 배경으로 일본군과 서양인 포로 간의 관계, 문화적 충돌, 인간애를 그린 작품으로, 데이비드 보위, 사카모토 류이치, 기타노 다케시 등이 출연했고 사카모토 류이치가 작곡한 영화 음악 또한 인기를 얻었다. - 일본의 미스터리 영화 - 기도의 막이 내릴 때
오시타니 미치코의 시체 발견으로 시작하는 일본 영화 《기도의 막이 내릴 때》는 아베 히로시와 마츠시마 나나코가 주연을 맡았으며, 히가시노 게이고의 원작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2320만 달러의 박스오피스 수익을 거두었다. - 일본의 미스터리 영화 - 퍼펙트 블루
퍼펙트 블루는 곤 사토시 감독의 1998년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로, 아이돌에서 배우로 전향한 미마가 심리적 불안과 스토커 위협을 겪는 심리 스릴러물이며, 원작 소설과는 다른 이야기를 담고 현실과 환상의 모호한 경계 연출로 호평을 받아 25주년 기념 4K 디지털 리마스터링 버전으로 재개봉되었다.
기묘한 서커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奇妙なサーカス (Kimyō na sākasu) |
감독 | 소노 시온 |
제작자 | 나카자와 토시아키 |
각본가 | 소노 시온 |
주연 | 미야자키 마스미 잇세이 이시다 |
음악 | 소노 시온 |
촬영 감독 | 오츠카 유이치로 |
편집자 | 이토 준이치 |
개봉일 | 2005년 12월 24일 |
상영 시간 | 108분 |
언어 | 일본어 |
국가 | 일본 |
장르 | 미스터리 판타지 |
2. 줄거리
영화는 현실과 환상,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기묘한 서커스에서 사회자는 관객들에게 단두대에 설 기회를 제공한다. 그는 어린 소녀를 무대 위로 데려와 죽음이 두렵냐고 묻고, 소녀는 태어날 때부터 죽을 운명이었다고 말한다.
이후 영화는 은둔형 하반신 마비 소설가 미츠자와 타에코가 쓴 이야기와, 타에코의 과거와 현실이 복잡하게 얽히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타에코의 이야기는 다시 기묘한 서커스로 돌아와 단두대로 끝을 맺는다.
2. 1. 악몽과 현실
어린 소녀 미츠코는 단두대에 대한 악몽을 꾼다. 미츠코는 부모의 침실에서 그들이 성관계를 맺는 것을 목격한다. 아버지 고조는 미츠코를 첼로 케이스에 가두고, 어머니 사유리와의 성관계를 지켜보도록 강요한다. 이후 사유리는 미츠코에게 신체적 학대를 가하고, 미츠코는 사유리를 계단에서 밀어 떨어뜨린다.2. 2. 소설 속 이야기
은둔형 하반신 마비 소설가 미츠자와 타에코는 자신의 학대받은 성장 과정을 바탕으로 "미츠코"라는 캐릭터를 창조한다. 타에코의 조수 유지(Yûji)는 그녀의 마비가 속임수라고 의심하고, 타에코의 아파트에 있는 빨간 문에 대해 궁금해한다. 타에코는 유지에게 자신이 "미츠코"이며, 소설은 자신의 과거를 재구성한 것이라고 고백한다. 유지가 성적 학대를 당하는 것을 팔다리가 절단되는 것에 비유하자, 타에코는 소설 마지막에 미츠코를 절단 장애인으로 만들기로 결정하고, 고조를 절단 장애인으로 만들라는 유지의 제안에 동의한다.타에코는 빨간 방에서 첼로 케이스의 구멍을 통해 음식을 넣는다. 유지는 그녀가 어린 시절의 집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하기 위해 그녀의 주의를 분산시킨다. 그녀는 방으로 돌아가 첼로 케이스가 비어있는 것을 발견한다.
이 모든 것은 은둔형 하반신 마비 소설가 미츠자와 타에코가 쓴 이야기이다.
2. 3. 진실과 반전
타에코는 미츠코의 어린 시절 집으로 돌아가고, 그곳에서 팔다리가 없는 채 쇠사슬에 묶인 고조를 발견한다. 사실 타에코는 사유리였고, 계단에서 떨어진 것은 미츠코였다는 것이 밝혀진다. 미츠코는 살아남아 위탁 가정에 맡겨졌다. 사유리는 죄책감과 기억을 억누르고 자신이 미츠코라고 믿는 망상에 빠졌다. 그녀는 또한 고조의 잦은 불륜을 알고 그를 계단에서 밀어 휠체어 신세로 만들었다. 첫 번째 소설을 끝낸 후 사유리는 타에코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고조의 휠체어를 가져가 첼로 케이스에 그를 가두어두었다.유지는 성전환 수술을 한 나이든 미츠코였고, 전기톱으로 타에코(사유리)의 팔다리를 절단하려 한다. 타에코는 유지 옆에서 비명을 지르며 깨어나 휠체어를 찾는다. 그는 모른다고 주장한다. 그녀가 일어나자 그는 그녀가 결코 마비된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침대에 쇠사슬에 묶여 고조 옆에서 ''다시'' 깨어난다. 유지는 전기톱을 들고 그녀 위에 서서 웃는다.
2. 4. 기묘한 서커스
기묘한 서커스에서 사회자는 사유리를 단두대에 세우고, 가면을 벗어 자신이 고조임을 드러낸다. 타에코의 삶에 등장했던 인물들(편집자, 그의 형제들, 십 대 미츠코, 고조의 연인들, 어린 미츠코, 유지)이 모두 모여 그녀에게 기립 박수를 보낸다. 고조는 그녀에게 행운을 빌고 단두대가 떨어진다.3. 등장인물
미야자키 마스미, 이시다 잇세이, 쿠와나 리에, 타카하시 마이, 후지코, 마담 레지느, 타구치 토모로오, 오구치 히로시 등이 주요 등장인물이다. 미네 에리카, 요코마치 케이코, 마메 야마다, 퓨~피루, 우라베 유키, 아오야 유이, 유라 아리사, 미우라 아츠코, 마스다 토시키, 키타가미 시오, 사사오카 아카네, 미요시 사야카, 마치다 마리, 카키마루 미치에, 나카야마 리오, 사토 키나코 외 여러 배우들이 조연으로 출연하였다.
3. 1. 주연
배우 | 역할 |
---|---|
미야자키 마스미 | 오자와 사유리 / 미츠자와 타에코 |
이시다 잇세이 | 타미야 유지 |
쿠와나 리에 | 12세 오자와 미츠코 |
타카하시 마이 | 십대 미츠코 |
후지코 | 고조의 애인 |
마담 레지느 | 서커스 사회자 |
타구치 토모로오 | 편집장 |
오구치 히로시 | 오자와 고조 |
3. 2. 조연
4. 제작진
분야 | 이름 |
---|---|
미술 | 오바 하야토 |
배역 | 스기야마 마이 |
감독·각본·음악 | 소노 시온 |
코스튬 디렉터 | 마츠모토 치에코 |
코스튬 아트 디렉션 | 퓨~피루 |
코르셋 & 포멀 스타일 어드바이저 | 미도리카와 미라노 |
서커스 신 헤어 & 메이크업 | 토미자와 노보루, 마리 |
무술 | 스즈키 히로미치, 히라키 히토미(재팬 액션 엔터프라이즈) |
특수 분장 · 조형 | 니시무라 요시히로 (조수: 이시노 다이가, Sapa) |
악곡 협력 | 하세가와 토모키 |
음향 효과 | 후쿠시마 음향 |
현상 | 도쿄 현상소 |
제작자 | 나카자와 토시아키, 호시노 코지 |
프로듀서 | 토미타 토시이에, 사토 토시히로 |
기획 | 쿠니자네 미즈에 |
배급 · 선전 | 세딕 인터내셔널 |
선전 협력 | 토호 비디오, 바우하우스 |
제작 협력 | 포피스, 앙상테 |
제작 | 엑설런트 필름, 세딕 인터내셔널, 주오 영화 무역 |
5. 평가 및 수상
버라이어티의 러셀 에드워즈의 평가와 각종 영화제 수상내역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 있다.
이 영화는 도쿄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2005년)와 제10회 부산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었다.
5. 1. 평가
버라이어티의 러셀 에드워즈는 이 영화에 대해 "충격을 주고 도발적이지만, 결국에는 무미건조한 탐닉으로 지루함을 느끼게 한다"라고 평가하면서, "자정 영화 축제 사이드바나 쓰레기 미학이 받아들여지는 곳에 가장 잘 어울릴 것"이라고 썼다.[1]5. 2. 수상
영화제 | 부문 | 수상 |
---|---|---|
제5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포럼 부문 | 베를린 신문 독자 심사상 |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 '06 (캐나다) | 작품상 | |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 '06 (캐나다) | 여우주연상 |
6. 한국과의 관계
제5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포럼 부문에 초청되었다.[1]
도쿄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2005에 초청되었다.
제10회 부산 국제 영화제에 초청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