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본단위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본단위체(protomer)는 둘 이상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생체 분자의 반복적인 구조적 단위이다. 헤모글로빈은 두 개의 α 소단위체와 두 개의 β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사량체이며, 두 개의 αβ 기본단위체가 결합한 이량체로 간주된다. 아스파르트산 카바모일기전이효소는 여섯 개의 αβ 기본단위체가 D₃ 대칭으로 배열된 α₆β₆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바이러스의 캡시드는 기본단위체로 구성되며, 화학에서는 티로신이나 4-아미노벤조산과 같은 분자가 기본단위체의 예시로 사용된다.

2. 프로토머의 예시

하나의 기본단위체 역할을 하는 캡시드 단백질 VP1 오량체. 각 단량체는 다른 색으로 그려져 있다.


프로토머는 다양한 생체 분자에서 발견된다. 헤모글로빈은 이종사량체이지만, 구조적, 기능적으로는 두 개의 αβ 기본단위체가 결합한 이량체로 간주된다.[16] 아스파르트산 카바모일기전이효소는 α6β6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섯 개의 αβ 기본단위체가 D3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이러스의 캡시드 또한 기본단위체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화학에서는 타이로신이나 4-아미노벤조산을 예로 들 수 있다.[17][18]

2. 1.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네 개의 소단위체, 즉 두 개의 α 소단위체와 두 개의 β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사량체이다. 그러나 구조적으로든 기능적으로든 헤모글로빈은 (αβ)2로 기술되는 편이 더 합리적이며, 따라서 두 개의 αβ 기본단위체가 결합한 이량체(또는 diprotomer)라고 한다.[16]

2. 2. 아스파르트산 카바모일기전이효소

아스파르트산 카바모일기전이효소는 α6β6 소단위체 조성을 가지며, 6개의 αβ 프로토머가 D3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다.[16]

2. 3. 바이러스 캡시드

바이러스의 캡시드는 종종 기본단위체로 구성되어 있다. 캡시드는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을 보호하는 단백질 껍질이며, 반복되는 기본단위체의 배열로 형성된다.

2. 4. 화학에서의 프로토머

화학에서 프로토머의 예시로는 타이로신이나 4-아미노벤조산이 있다. 타이로신의 경우 탈양성자화되어 카복실레이트와 페녹사이드 음이온을 형성할 수 있으며,[17] 4-아미노벤조산은 아미노기나 카복실기가 양성자화될 수 있다.[18]

참조

[1] 논문 Evidence for a diprotomeric structure of Na, K-ATPase: Accurate determination of protein concentration and quantitative end-group analysis 1986
[2] 간행물 2012
[3] 간행물 2013
[4] 서적 Fundamentals of protein structure and function Springer 2007
[5] 간행물 2009
[6] 간행물 2011
[7] 논문 Evidence for a diprotomeric structure of Na, K-ATPase: Accurate determination of protein concentration and quantitative end-group analysis 1986
[8] 간행물 2012
[9] 간행물 2013
[10] 서적 Fundamentals of protein structure and function Springer 2007
[11] 간행물 2009
[12] 간행물 2011
[13] 논문 Evidence for a diprotomeric structure of Na, K-ATPase: Accurate determination of protein concentration and quantitative end-group analysis 1986
[14] 간행물 2012
[15] 간행물 2013
[16] 서적 Fundamentals of protein structure and function https://archive.org/[...] Springer 2007
[17] 간행물 2009
[18] 간행물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