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안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안류는 연체동물 복족류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과거에는 아목으로 분류되었으나, 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다계통군임이 밝혀졌다. 1997년 분류에서는 아크로록수스과, 암피볼라과, 민물삿갓조개과, 양귀비고둥과, 킬리나과, 물달팽이과, 오티나과, 왼돌이물달팽이과, 또아리물달팽이과, 고랑딱개비과, 트리무스쿨루스과 등이 기안아목으로 분류되었다. 2005년 분류에서는 암피볼라상과, 고랑딱개비상과, 히그로필라류를 포함하는 비공식군으로 재정의되었으며, 2010년에는 고랑딱개비과, 암피볼라상과, 히그로필라류가 범유폐류로 이동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새류 - 후새류
후새류는 1931년 복족류 분류 체계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이새류의 비공식군으로 분류되며 껍데기 축소, 다양한 촉수, 자웅동체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이새류 - 직신경류
직신경류는 이새류에 속하는 하위 분류군으로, 나측류, 진후새류, 범유폐류 등을 포함하며 복족류 계통 분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2010년 이후 계통 분류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제시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기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학명 | Basommatophora |
명명자 | Keferstein in Bronn, 1864 |
화석 기록 | 탄소기 ~ 현세 |
종 다양성 | 약 300종 |
분류 | |
상위 분류군 | 이새류 |
계통 위치 | 비공식군 유폐류 |
하위 분류군 | 본문 참조 |
참고 | |
참고 문헌 | ISBN 80-7067-599-3 |
2. 분류
1997년 폰더 & 린드버그의 복족류 분류에서는 기안아목(Basommatophora)에 아래 과들을 포함시켰다.
과 |
---|
아크로록수스과 (Acroloxidae) |
암피볼라과 (Amphibolidae) |
민물삿갓조개과 (Ancylidae) |
양귀비고둥과 (Carychiidae) |
킬리나과 (Chilinidae) |
란키데과 (Lancidae) |
라티데과 (Latiidae) |
물달팽이과 (Lymnaeidae) |
오티나과 (Otinidae) |
왼돌이물달팽이과 (Physidae) |
또아리물달팽이과 (Planorbidae) |
고랑딱개비과 (Siphonariidae) |
트리무스쿨루스과 (Trimusculidae) |
2005년 부쉐와 로크로이의 복족류 분류에서는 비공식군 기안류에 암피볼라상과, 고랑딱개비상과, 히그로필라류를 포함시켰다.[1] 이 분류에서 민물삿갓조개과는 또아리물달팽이과 민물삿갓조개족으로, 양귀비고둥과는 대추귀고둥과 양귀비고둥아과로, 란크스과는 물달팽이과 란크스아과로 각각 변경되었다.[1]
2010년에는 기안류가 다계통군임이 밝혀지면서[6] 고랑딱개비과, 암피볼라상과, 히그로필라류가 범유폐류로 이동되었다.[6]
2. 1. 1997년 분류
이전의 1997년 폰더 & 린드버그의 복족류 분류는 아래 과들을 기안아목(Basommatophora)으로 분류했다.과 |
---|
아크로록수스과 (Acroloxidae) Thiele, 1931 |
암피볼라과 (Amphibolidae) J. E. Gray, 1840 - 단일 종 Amphibola crenata |
민물삿갓조개과 (Ancylidae) |
양귀비고둥과 (Carychiidae) Jeffreys, 1830 |
킬리나과 (Chilinidae) |
란키데과 (Lancidae) |
라티데과 (Latiidae) |
물달팽이과 (Lymnaeidae) Rafinesque, 1815 |
오티나과 (Otinidae) H. Adams & A. Adams, 1855 |
왼돌이물달팽이과 (Physidae) Fitzinger, 1833 |
또아리물달팽이과 (Planorbidae) Rafinesque, 1815 |
고랑딱개비과 (Siphonariidae) J. E. Gray, 1840 |
트리무스쿨루스과 (Trimusculidae) Zilch, 1959 |
2. 2. 2005년 분류
2005년 부쉐와 로크로이의 복족류 분류에 따르면, 비공식군 기안류는 아래와 같은 상과와 히그로필라류를 포함하고 있다.[1]- 암피볼라상과 (Amphiboloidea)
- * 암피볼라과 (Amphibolidae)
- 고랑딱개비상과 (Siphonarioidea)
- * 고랑딱개비과 (Siphonariidae)
- * 멸종된 Acroreiidae
- 히그로필라류 (Hygrophila)
- * 킬리나상과 (Chilinoidea)
- ** 킬리나과 (Chilinidae)
- ** Latiidae
- * 아크로록수스상과 (Acroloxoidea)
- ** 아크로록수스과 (Acroloxidae)
- * 물달팽이상과 (Lymnaeoidea)
- ** 물달팽이과 (Lymnaeidae)
- * 또아리물달팽이상과 (Planorboidea)
- ** 또아리물달팽이과 (Planorbidae)
- ** 왼돌이물달팽이과 (Physidae)
민물삿갓조개과는 또아리물달팽이과 민물삿갓조개족으로, 양귀비고둥과는 대추귀고둥과 양귀비고둥아과로, 란크스과는 물달팽이과 란크스아과로 각각 강등되었다.[1]
2. 3. 2010년 분류
최근 기안류(Basommatophora)가 다계통군임이 밝혀짐에 따라[6], 2010년 요르거(Jörger)와 그의 공저자들은 고랑딱개비과와 암피볼라상과 그리고 히그로필라류를 새로운 분류군 범유폐류로 이동시켰다.[6]참조
[1]
논문
Bridging gaps in the molecular phylogeny of the Lymnaeidae (Gastropoda: Pulmonata), vectors of Fascioliasis
[2]
서적
Základy zoopaleontologie
Olomouc
[3]
논문
On the origin of Acochlidia and other enigmatic euthyneuran gastropods, with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Heterobranchia
[4]
논문
Bridging gaps in the molecular phylogeny of the Lymnaeidae (Gastropoda: Pulmonata), vectors of Fascioliasis
[5]
서적
Základy zoopaleontologie
Olomouc
[6]
논문
On the origin of Acochlidia and other enigmatic euthyneuran gastropods, with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Heterobranch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