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가슴집게벌레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가슴집게벌레과는 집게벌레목에 속하는 과로, 현존하는 아과와 속, 멸종된 아과와 속으로 분류된다. 현존하는 종은 Dermaptera Species File에 등재되어 있으며, 한국에는 4종의 긴가슴집게벌레가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긴가슴집게벌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학적 정보 | |
학명 | Pygidicranidae |
명명자 | Verhoeff, 1902 |
화석 범위 | (압트절-현세) |
상위 분류군 표시 | 3 |
하위 분류군 계급 | 아과 및 속 |
하위 분류군 | 본문 참조 |
2. 분류
긴가슴집게벌레과는 크게 현존하는 아과 및 속과 멸종된 아과 및 속으로 나뉜다.
- 속 ''Cylindopygia'' Yang 외, 2015 (압트절; 이셴층)[6]
- 아과 Anataeliinae Burr, 1909 (동의어 Anataelinae)
- 아과 †Astreptolabidinae Engel, 2011
- 아과 Blandicinae Burr, 1915
- 아과 Brindlensiinae Srivastava, 1985
- 아과 †Burmapygiinae Engel & Grimaldi, 2004
- 아과 Challiinae Steinmann, 1973 (동의어 Challinae)
- 아과 Cylindrogastrinae Maccagno, 1929
- 아과 Diplatymorphinae Boeseman, 1954
- 아과 Echinosomatinae Burr, 1910 (동의어 Prolabisciinae, Prolabiscinae, Protolabidinae, Protolabinae)
- 아과 Esphalmeninae Burr, 1909
- 아과 Pygidicraninae Verhoeff, 1902
- 아과 Pyragrinae Verhoeff, 1902
- 아과 ''incertae sedis''
- * 속 †''Archaeosoma'' Zhang, 1994
- * 속 †''Gallinympha'' Perrichot & Engel, 2011
- * 속 †''Geosoma'' Zhang, 1997
2. 1. 현존하는 아과 및 속
현존하는 긴가슴집게벌레과의 아과와 속은 Dermaptera Species File에 등재되어 있다.[6]- Anataeliinae Burr, 1909 (동의어 Anataelinae)
- * ''Anataelia'' Bolivar, 1899
- Blandicinae Burr, 1915
- * ''Alloblandex'' Hincks, 1957
- * ''Austroblandex'' Brindle, 1987
- * ''Blandex'' Burr, 1912
- * ''Parablandex'' Brindle, 1966
- Brindlensiinae Srivastava, 1985
- * ''Brindlensia'' Srivastava, 1985
- Challiinae Steinmann, 1973 (동의어 Challinae)
- * ''Challia'' Burr, 1904
- Cylindrogastrinae Maccagno, 1929
- * ''Cylindrogaster'' Stal, 1855
- Diplatymorphinae Boeseman, 1954
- * ''Diplatymorpha'' Boeseman, 1954
- Echinosomatinae Burr, 1910 (동의어 Prolabisciinae, Prolabiscinae, Protolabidinae, Protolabinae)
- * ''Echinosoma'' AudinetServille, 1839
- * ''Parapsalis'' Borelli, 1921
- Esphalmeninae Burr, 1909
- * ''Esphalmenus'' Burr, 1909
- Pygidicraninae Verhoeff, 1902
- * ''Acrania'' Burr, 1915
- * ''Cranopygia'' Burr, 1908
- * ''Dacnodes'' Burr, 1907
- * ''Mucrocranopygia'' Steinmann, 1986
- * ''Paracranopygia'' Steinmann, 1986
- * ''Pygidicrana'' AudinetServille, 1831
- * ''Tagalina'' Dohrn, 1862
- Pyragrinae Verhoeff, 1902
- * ''Echinopsalis'' de Bormans, 1893
- * ''Pyragra'' AudinetServille, 1831
- * ''Pyragropsis'' Borelli, 1908
2. 2. 멸종된 아과 및 속
incertae sedis영어는 '불확실한 위치'를 의미하며, 긴가슴집게벌레과 내에서 정확한 분류가 불분명한 속들을 포함한다.아과 | 속 | 비고 |
---|---|---|
Anataeliinae | Anataelia | |
†Astreptolabidinae | †Astreptolabis | 세노마절; 버마 호박 |
Blandicinae | Alloblandex Austroblandex Blandex Parablandex | |
Brindlensiinae | Brindlensia | |
†Burmapygiinae | †Burmapygia | 세노마절; 버마 호박 |
Challiinae | Challia | |
Cylindrogastrinae | Cylindrogaster | |
Diplatymorphinae | Diplatymorpha | |
Echinosomatinae | Echinosoma Parapsalis | |
Esphalmeninae | Esphalmenus | |
Pygidicraninae | Acrania Cranopygia Dacnodes Mucrocranopygia Paracranopygia Pygidicrana Tagalina | |
Pyragrinae | Echinopsalis Pyragra Pyragropsis | |
incertae sedis | †Archaeosoma †Gallinympha †Geosoma |
3. 한국의 긴가슴집게벌레
한국의 긴가슴집게벌레는 고려집게벌레와 규산고려집게벌레 2종이었으나, 2006년 니시카와(Nishikawa) 박사가 2종을 신종 발표하여 총 4종이 서식한다.[8]
3. 1. 한국 서식 종
한국의 긴가슴집게벌레는 고려집게벌레와 규산고려집게벌레 2종이었으나, 2006년 니시카와(Nishikawa) 박사가 2종을 신종 발표하여 총 4종이 서식한다.[8]- 고려집게벌레 (''Challia fletcheri'' Burr, 1904)
- 규산고려집게벌레 (''Challia kyusani'' Moon et Kim, 1995)
- 큰긴가슴집게벌레 (''Challia gigantia'' Nishikawa, 2006)
- 긴가슴집게벌레 (''Challia taewooi'' Nishikawa, 2006)
3. 2. 연구 역사
2006년 니시카와(Nishikawa) 박사가 신종 2종을 발표하면서, 한국의 긴가슴집게벌레는 기존의 고려집게벌레와 규산고려집게벌레 2종에서 총 4종이 서식하게 되었다.[8]참조
[1]
논문
New earwigs in mid-Cretaceous amber from Myanmar (Dermaptera, Neodermaptera)
[2]
서적
A Dictionary of Entomology
https://books.google[...]
2012-09-04
[3]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books.google[...]
2012-09-04
[4]
간행물
The Entomologist's record and journal of variation, Volume 14
https://books.google[...]
2012-09-04
[5]
논문
Biological notes on ''Challia hongkongensis'' Ho & Nishikawa (Dermaptera: Pygidicranidae: Challinae)
http://hkentsoc.org/[...]
[6]
웹사이트
Dermaptera Species File Pygidicranidae entry
http://dermaptera.sp[...]
2012-09-04
[7]
논문
New earwigs in mid-Cretaceous amber from Myanmar (Dermaptera, Neodermaptera)
[8]
서적
한국 곤충 총 목록, 2010
http://book.naver.co[...]
자연과생태
2010-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