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성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종은 1941년 중국 산둥성 지난시에서 태어나 대한민국 소설가이다. 196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경찰관'이 당선되어 데뷔했으며, 1974년 장편소설 '최후의 증인'으로 한국일보 장편소설 공모에 당선되었다. 그는 추리 소설 전문지 '계간 추리 문학'을 간행하고, 김성종 추리문학관을 건설하는 등 한국 추리 소설 발전에 기여했다. 주요 작품으로 '여명의 눈동자', '최후의 증인' 등이 있으며, '최후의 증인'은 영화화되기도 했다. 봉생문화상, 한국추리문학 대상, 부산시 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추리 소설가 - 김내성
    김내성은 한국 최초의 추리소설 작가로,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대중소설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추리소설과 대중소설 작품 활동 외에도 정치 활동을 하였고, 사후에는 김내성추리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추리 소설가 - 이건영 (1945년)
    이건영은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소설가, 교육자로, 국토 개발 관련 국책 사업에 참여하고 건설부 차관, 국토연구원장 등을 역임하며 국토 및 도시 개발 정책 연구에 기여했으며, 대학교수와 총장을 지내는 한편 소설가로 등단하여 장편소설을 발표하는 등 문학 활동을 펼쳤다.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 - 윤원중
    윤원중은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김영삼 대통령 비서관, 국회사무총장 등을 역임하고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소설가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소설가 - 백민석
    백민석은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5년 "내가 사랑한 캔디"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잔혹하고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의 '기괴소설'을 통해 권력과 '정상성'에 대한 비판, 일상 속 공포를 탐구하는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목화밭 기이한 이야기》, 《죽은 올빼미를 위한 농장》 등이 있다.
김성종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김성종
원어명금성종
로마자 표기Gim Seong-jong
출생일1941년 12월 31일
출생지전라남도 구례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작가
활동 기간1969년 ~ 현재
배우자알려지지 않음
종교알려지지 않음
수상추리문학대상, 봉생문화상
웹사이트알려지지 않음
작품 활동
데뷔 작품경찰관
장르소설

2. 생애

김성종은 1941년 12월 31일 중국 산둥성 지난시에서 태어나 1945년 광복 후 귀국하여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에 자리 잡았다. 서울일신국민학교 3학년 재학 중이던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면서 피난살이를 떠났다. 이후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구례에 정착했고 고입 검정고시를 거쳐 구례농업고등학교에 입학했다. 1963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했다.

대학 졸업 후, 학생잡지 ‘진학’ 영어담당 기자, ‘여원’, ‘여성중앙’, ‘독서신문’ 기자, 김수환 추기경이 발간한 월간 ‘창조’에서 근무했다. 196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ko)에 단편 소설 「경찰관」이 당선되며 데뷔했다. 1974년 한국일보 창간 20주년 기념 장편소설 공모에 추리소설 ‘최후의 증인’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2] 이 작품은 후에 두 번 영화화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 창작 활동 외에도 추리 소설 전문지 《계간 추리 문학》(10호까지)을 간행했으며,[2] 1992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김성종 추리문학관을 건립하는 등 한국 추리 소설 보급에 힘썼다.

2. 1. 유년 시절과 성장 과정

1941년 12월 31일 중국 산둥성 지난시에서 태어나 1945년 광복 후에 귀국하여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에 자리 잡았으나, 서울일신국민학교 3학년 재학 중이던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면서 피난살이를 떠나게 된다.[1]

1977년 작품 ‘어느 창녀의 죽음’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작가의 말을 전하고 있다.[1]

“(중략) 그때 우리 가족은 피난살이에 지쳐 있었다. 여수 항구가 멀리 내려다보이는 산비탈 난민촌에 살고 있었는데, 나까지 포함해서 아이가 다섯이나 되었다. 매일 죽으로 연명하고 있는 터에 어머니가 또 여섯째 아이를 낳으셨다. 그러나 어머니는 영양실조인 데다 지병까지 있어서 열이틀 뒤에 여섯 마리의 돼지 새끼들을 남겨 두고 그만 돌아가시고 말았다. 그때 그녀의 나이는 36세였다. 의주가 고향인 그녀는 맨 북쪽에서 태어나 맨 남쪽에서 돌아가신 것이다.

어머니의 장례식 날 나는 구석에 앉아서 <톰 소여의 모험>을 읽었는데, 그것을 본 이웃 사람들이 나를 손가락질하면서 독종이라고 쑤군거렸다. 그러나 사실 나는 속으로 울고 있었다. 얼마 뒤 여섯 번째 아기도 어머니를 따라갔다. 진눈깨비가 몹시 내리던 그날 밤 나는 아버지와 함께 아기를 사과 궤짝에 담아 가지고 뒷산으로 올라가 파묻었다.

진눈깨비를 맞으며 산길을 내려올 때 비로소 나는 내가 철학자가 된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어머니도 아기도 없는 휑한 방에 앉아서 나는 이제부터 내 밥을 내가 차려 먹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의 고독과 비애를 어루만져 줄 사람이 이 세상에 아무도 없다는 것도 깨달았다.

20년이 지나서야 나는 내 어릴 적의 고통 때문에 처음으로 눈물을 흘렸다. 20년 후 결혼하여 신혼여행 길에 옛집을 찾아 나섰는데, 너무 많이 변해 한참 만에야 찾을 수 있었다. 옛집은 폐가가 되어 있었다. 귀신이라도 나올 것 같은 그 초가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데, 머리가 허연 할머니 한 분이 옆집에서 넘어와서 누구냐고 물었다. 나는 20년 전에 그곳에 살았다는 것, 그리고 어머니와 동생이 죽었다는 것 등을 이야기했다. 그러자 할머니가 눈물을 주루룩 흘렸다. 20년 넘게 그 마을에 살고 있는 할머니는 나를 알아보신 것이다. 나도 눈물이 괴어 차마 할머니를 마주 바라볼 수가 없었다.

내가 이런 과거를 들춰내는 것은 그것이 나의 문학적 바탕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확연히 구분해 낼 수는 없지만 열세 살 그때부터 나의 시선은 고독과 허무, 그리고 비극이라는 것에 뿌리를 박기 시작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1]

그 후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구례에 정착했고 고입 검정고시를 거쳐 구례농업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졸업 후 1963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하게 된다.[1]

2. 2. 작가로서의 삶

196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경찰관’이 당선되고, 1971년 현대문학 추천을 받았으며, 1974년 한국일보 창간 20주년 기념 장편소설 공모에 추리소설 ‘최후의 증인’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가의 길로 들어선다.[2] 이 작품은 후에 두 번 영화화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77년 작품 ‘어느 창녀의 죽음’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작가의 말을 전하고 있다.

> “(중략) 그때 우리 가족은 피난살이에 지쳐 있었다. 여수 항구가 멀리 내려다보이는 산비탈 난민촌에 살고 있었는데, 나까지 포함해서 아이가 다섯이나 되었다. 매일 죽으로 연명하고 있는 터에 어머니가 또 여섯째 아이를 낳으셨다. 그러나 어머니는 영양실조인 데다 지병까지 있어서 열이틀 뒤에 여섯 마리의 돼지 새끼들을 남겨 두고 그만 돌아가시고 말았다. 그때 그녀의 나이는 36세였다. 의주가 고향인 그녀는 맨 북쪽에서 태어나 맨 남쪽에서 돌아가신 것이다.

>

> 어머니의 장례식 날 나는 구석에 앉아서 톰 소여의 모험을 읽었는데, 그것을 본 이웃 사람들이 나를 손가락질하면서 독종이라고 쑤군거렸다. 그러나 사실 나는 속으로 울고 있었다. 얼마 뒤 여섯 번째 아기도 어머니를 따라갔다. 진눈깨비가 몹시 내리던 그날 밤 나는 아버지와 함께 아기를 사과 궤짝에 담아 가지고 뒷산으로 올라가 파묻었다.

>

> 진눈깨비를 맞으며 산길을 내려올 때 비로소 나는 내가 철학자가 된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어머니도 아기도 없는 휑한 방에 앉아서 나는 이제부터 내 밥을 내가 차려 먹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의 고독과 비애를 어루만져 줄 사람이 이 세상에 아무도 없다는 것도 깨달았다.

>

> 20년이 지나서야 나는 내 어릴 적의 고통 때문에 처음으로 눈물을 흘렸다. 20년 후 결혼하여 신혼여행 길에 옛집을 찾아 나섰는데, 너무 많이 변해 한참 만에야 찾을 수 있었다. 옛집은 폐가가 되어 있었다. 귀신이라도 나올 것 같은 그 초가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데, 머리가 허연 할머니 한 분이 옆집에서 넘어와서 누구냐고 물었다. 나는 20년 전에 그곳에 살았다는 것, 그리고 어머니와 동생이 죽었다는 것 등을 이야기했다. 그러자 할머니가 눈물을 주루룩 흘렸다. 20년 넘게 그 마을에 살고 있는 할머니는 나를 알아보신 것이다. 나도 눈물이 괴어 차마 할머니를 마주 바라볼 수가 없었다.

>

> 내가 이런 과거를 들춰내는 것은 그것이 나의 문학적 바탕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확연히 구분해 낼 수는 없지만 열세 살 그때부터 나의 시선은 고독과 허무, 그리고 비극이라는 것에 뿌리를 박기 시작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창작 활동 외에도 추리 소설 전문지 《계간 추리 문학》(10호까지)을 간행했으며,[2] 1992년에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추리 소설 1만 권 이상을 소장한 김성종 추리문학관을 건설하는 등 한국에서의 추리 소설 보급에 힘썼다.

2. 3. 한국 추리문학에 대한 기여

196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소설 「경찰관」으로 등단했다. 1974년 장편 《마지막 증인》으로 한국일보 현상 공모에 입선했고[2], 이 작품은 이후 두 차례 영화화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성종은 창작 활동 외에도 추리 소설 전문지 《계간 추리 문학》(10호까지)을 간행했으며[2], 1992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추리 소설 1만 권 이상을 소장한 김성종 추리문학관을 건립하는 등 한국 추리 소설 보급에 힘썼다.

3. 작품 활동

김성종은 장편 소설, 단편 소설집, 어린이 소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77년 발표한 여명의 눈동자문화방송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주로 추리 소설을 집필했으며, 대표작으로는 여명의 눈동자, 최후의 증인, 제5열 등이 있다. 단편 소설집으로는 어느 창녀의 죽음, 《고독과 굴욕》, 《회색의 벼랑》 등이 있으며, 어린이 소설 《늑대소년 다루한국어》도 발표했다.

최후의 증인은 最後の証人|사이고노 쇼닌일본어 (論創社|론소샤일본어, 2009년)으로 번역되어 일본에서 출간되었고, 흑수선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어 일본에서도 개봉되었다. ソウル逃亡の果てに|서울 도보노 하테니일본어 (新風舎文庫|신풍사 문고일본어, 2005년)도 일본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3. 1. 장편 소설

발간 연도제목출판사
1977년여명의 눈동자 (전10권)남도
1978년최후의 증인 (상하권)남도
1978년제5열 (상중하권)남도
1979년부랑의 강남도
1979년Z의 비극명지사
1980년일곱개의 장미송이남도
1980년서울의 황혼인문당
1981년죽음을 부르는 소녀여학생사
1982년백색인간 (상하권)남도
1983년제5의 사나이 (상중하권)남도
1983년미로의 저쪽 (상하권)명지사
1984년반역의 벽 (상하권)남도
1984년아름다운 밀회 (상하권)남도
1984년얼어붙은 시간소설문학사
1984년제3의 정사소설문학사
1985년피아노 살인명지사
1985년경부선특급 살인사건남도
1986년라인X (상중하)남도
1986년국제열차 살인사건추리문학사
1987년형사 오병호추리문학사
1987년서울의 만가여원
1988년안개속에 지다 (상하권)명지사
1988년나는 살고싶다여원
1988년비련의 화인여원
1989년최후의 밀서명지사
1989년제3의 사나이 (상하권)추리문학사
1990년불타는 여인 (상하권)추리문학사
1990년슬픈 살인 (전4권)추리문학사
1990년홍콩에서 온 여인 (상하권)추리문학사
1992년버림받은 여자추리문학사
1993년세 얼굴을 가진 사나이 (상하)해난터
1994년끝없는 복수 (상하)추리문학사
1995년여자는 죽어야 한다 (상하권)남도
1996년가을의 유서 (전5권)해난터
1997년붉은 대지 (전5권)해냄
1997년코리언 X파일 (상하권)추리문학사
1998년한국 국민에게 고함 (상중하권)남도
2006년봄은 오지 않을 것이다 (전3권)남도
2008년안개의 사나이문학에디션뿔
2011년안개 속에 지다 (전2권)남도
2013년후쿠오카 살인문학에디션뿔
2017년계엄령의 밤새움

3. 2. 단편 소설집


  • 《어느 창녀의 죽음》 (1977년, 문학예술사)
  • 《고독과 굴욕》 (1979년, 명지사)
  • 《회색의 벼랑》 (1980년, 주부생활사)
  • 《죽음의 도시》 (1981년, 남도)
  • 《돌아온 사자》 (1996년, 신원문화사)
  • 《달맞이 언덕의 안개》 (2015년, 새움)
  • 《해운대 그 태양과 모래》(2015년, 새움)
  • 실종 (《코리안 미스터리: 한국 추리 소설 걸작선》, 2002년 5월, 바벨・프레스) - 저자명은 "김성종"으로 표기되어 있다.

3. 3. 어린이 소설

《늑대소년 다루한국어》(2013년, 청어람주니어)

3. 4. 일본어 번역 작품


  • 最後の証人|사이고노 쇼닌일본어 (상/하) (論創社|론소샤일본어, 2009년 2월, 번역: 曽田龍生|소다 리쓰오일본어)

: 『마지막 증인』(1980년), 흑수선(2001년)』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었으며, 후자는 일본에서도 개봉되었다.

  • ソウル逃亡の果てに|서울 도보노 하테니일본어 (新風舎文庫|신풍사 문고일본어, 2005년 4월, 번역: 曽田龍生|소다 리쓰오일본어)

4. 수상

연도상 이름분야
1992년봉생문화상해당사항 없음
1986년제2회 한국추리문학 대상해당사항 없음
2004년제47회 부산시 문화상문학


참조

[1] 서적 コリアン・ミステリ 韓国推理小説傑作選 バベル・プレス 2002
[2] 간행물 コリアン・ミステリ・ナウ 早川書房『ミステリマガジン』 2000-10
[3] 웹사이트 김성종 (キム・ソンジョン) http://srchuci.chosu[...] 2011-09-03
[4]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1-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