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는 조선시대의 기록유산으로, 2012년 2월 22일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175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다음 두 가지 주요 문서로 구성됩니다.


  • 호성공신교서 (扈聖功臣敎書): 1604년(선조 37년)에 임진왜란 당시 선조와 세자를 호종하고 피란할 때 시종한 공로로 김응남에게 내려진 문서입니다. 김응남은 호성공신 2등에 녹훈되었으며, 교서에는 그에 따른 포상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 증시교지 (贈諡敎旨): 1753년(영조 29년)에 김응남에게 '충정(忠靖)'이라는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된 문서입니다.

내용:

  • 호성공신교서:
  • 김응남의 관직, 품계
  • 선조가 몽진할 때 의주까지 호종한 공로로 2등 공신에 책봉
  • 포상 내용: 본인, 부모, 처자의 벼슬을 2계급씩 올리고, 자식이 없으면 조카나 여조카에게 1계급씩 올려줌, 적장자에게 벼슬의 지위를 세습, 노비 9구, 토지 80결, 은자 7냥, 표리 1단, 내구마 1필 하사.
  • 공신 86명의 명단
  • 교서 발급일: '만력 32년 10월 일' (萬曆三十二年十月日)
  • '시명지보(施命之寶)' 인장 날인
  • 교서 작성자: 안대진(安大進), 글씨: 오정(吳靖)

  • 증시교지:
  • 1753년(영조 29년, 건륭 18년) 4월 23일에 김응남에게 '충정(忠靖)' 시호 하사
  • '시명지보(施命之寶)' 어보(御寶) 날인

특징:

  • 임진왜란사 연구 및 고문서 연구에 중요한 자료
  • 1604년 책록 당시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호성공신교서의 형태적 기준
  • 교서문을 지은 사람(제진자)과 글씨를 쓴 사람(서자)을 알 수 있음

의의 및 평가: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는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인물의 공적, 그리고 그에 대한 국가의 포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입니다. 특히, 호성공신교서는 현존하는 여러 호성공신교서 중에서도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됩니다.
추가 정보:

  • 김응남(金應南, 1546~1598):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병조판서, 부제학, 대사헌, 예조판서,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했습니다.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문화재 정보
이름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영문 이름Gim Eungnam Hoseonggongsin Gyoseo and Related Documents
대체 이미지 남성-ko.svg
대체 이미지
국가대한민국
유형보물
지정 번호1756
지정일2012년 2월 22일
주소경기도 성남시
시대조선시대
관리김명호
수량교서 1축, 교지 1점
문화재청 ID12,1756000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