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종철 (언론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종철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으로, 1944년 충청남도 연기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7년 동아일보 기자로 입사했으나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주동으로 해직된 후 문학 평론과 번역에 종사했다.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에 참여하여 논설위원 등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연합뉴스 대표이사, 시민운동가, 출판사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마침내 하나됨을 위하여》 등이 있으며, 언론사 최초로 골프 접대 경계령을 내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 출신 - 이기백 (1931년)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인 이기백은 아웅산 묘역 폭탄 테러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생존, 평화의 댐 건설을 주도했으나, 금강산댐 과장 보도 논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으로 비판받았으며, 군 주요 직책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거쳐 예편 후 보수 정당에서 정치 활동을 했다.
  • 세종특별자치시 출신 - 이범승
    이범승은 충청남도 연기군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교토 제국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일제강점기에는 도서관 설립 운동을 펼쳤으며 해방 후 서울시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과 참의원을 지냈으나, 2002년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 - 임동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임동원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군과 정부의 요직을 거쳐 나이지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며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제2연평해전 발언과 불법 감청 혐의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김종철 (언론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경력

2. 생애

김종철은 1944년 충청남도 연기군(現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7년 동아일보 기자로 입사했으나, 1975년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주동자로 몰려 강제 해직되었다. 이후 문학 평론과 번역에 종사하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5][6]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에 참여했고, 연합뉴스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2011년 인천재능대학교 초빙 교수였고, 2012년 프레스바이플 창간에 참여했다.[7] 2004년 출판ㆍ인쇄 기업 〈성전기획〉 회장을 지냈다.[8]

저서로는 《지역감정 연구》(공저), 《저 가면 속에는 어떤 얼굴이 숨어 있을까》, 《아픈 다리 서로 기대며》, 《마침내 하나됨을 위하여》 등이 있고, 역서로는 《말콤 엑스》(공동 번역), 《인도의 발견》, 《프랑스혁명사》, 《마호멧》, 《무장한 예언자 트로츠키》 등이 있다.[9]

2. 1. 초기 생애 및 언론 활동

1944년 충청남도 연기군(現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제3대 한국가정법률상담소곽배희의 배우자이고 곽배희와의 사이에 아들 하나를 두었다.[5][6]

1967년 동아일보 기자로 입사했으나 1975년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주동자라는 이유로 강제 해직된 뒤 문학 평론과 번역에 종사하였다. 1984년 <민중문화운동협의회> 공동대표를 맡았고, 1985년부터 민통련의 대변인과 사무처장을 지냈다.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에 참여해서 논설간사, 편집부위원장, 논설위원 등으로 일했다. 그 후 연합뉴스 대표이사, 사단법인 <한국-베트남 함께 가는 모임> 이사장, <민주개혁국민연합> 공동대표, <아태민주지도자회의> 이사, <국제언론인협의회> 이사, <한국신문협회> 감사 등을 역임했다. 2011년 인천재능대학교 초빙 교수, 시민단체 <민주통일시민행동> 공동대표였으며, 2012년 프레스바이플 창간에 참여하였다.[7]

2004년 출판ㆍ인쇄 기업 〈성전기획〉 회장에 취임하기도 했다.[8]

2. 2. 민주화 운동

1984년 <민중문화운동협의회> 공동대표를 맡았고, 1985년부터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의 대변인과 사무처장을 지냈다.[7]

2. 3. 한겨레신문 창간과 연합통신 사장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에 참여해 논설간사, 편집부위원장, 논설위원 등으로 일했다. 이후 연합통신(연합뉴스로 개명) 대표이사, 사단법인 <한국-베트남 함께 가는 모임> 이사장, <민주개혁국민연합> 공동대표, <아태민주지도자회의> 이사, <국제언론인협의회> 이사, <한국신문협회> 감사 등을 역임했다.[7]

2. 4. 시민운동 및 기타 활동

1984년 <민중문화운동협의회> 공동대표를 맡았고, 1985년부터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의 대변인과 사무처장을 지냈다.[7] 연합통신(연합뉴스로 개명) 대표이사, 사단법인 <한국-베트남 함께 가는 모임> 이사장, <민주개혁국민연합> 공동대표, <아태민주지도자회의> 이사, <국제언론인협의회> 이사, <한국신문협회> 감사 등을 역임했다. 2011년 인천재능대학교 초빙 교수, 시민단체 <민주통일시민행동> 공동대표였으며, 2012년 프레스바이플 창간에 참여하였다.[7] 2004년 출판ㆍ인쇄 기업 〈성전기획〉 회장에 취임하기도 했다.[8]

3. 평가

1998년 연합통신(현 연합뉴스) 사장 김종철은 취임하면서 기자들의 골프 접대가 만연해 있다는 판단에 사내에 골프 접대를 삼가 달라는 공지를 띄웠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사 최초의 골프 접대 경계령이었다.[10]

4. 저서


  • 《마침내 하나됨을 위하여》. 개마고원. 1999년.
  • 《음악, 삶의 소리를 듣다》. 21세기북스. 2011년.
  • 박근혜 바로보기》. 프레스바이플. 2012년.

참조

[1] 뉴스 “걸어 다닐 수 있는 한 자유언론에 바치겠다” http://www.pdjournal[...] PD저널 2014-10-25
[2] 뉴스 박정희 쿠데타 받아들인 케네디 https://news.naver.c[...] 미디어오늘 2009-03-19
[3] 뉴스 박근혜는 ‘최순실 정권’ 밑에 사는가 https://news.naver.c[...] 미디어오늘 2016-10-21
[4] 뉴스 박근혜가 만들어낸 세계 최고 평화시위대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6-11-27
[5] 뉴스 곽배희 가정법률상담소 소장 https://news.naver.c[...] 주간경향 2005-03-31
[6] 뉴스 곽배희 한국가정법률상담소장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2-05-30
[7] 뉴스 소셜네트워크 기반 ‘프레스바이플’ 창간 https://news.naver.c[...] 미디어오늘 2012-02-06
[8] 뉴스 김종철 전 연합뉴스 사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11-10
[9] 뉴스 김종철 연합뉴스 사장 에세이집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4-06
[10] 뉴스 말썽 나야 반성, 그리곤? https://news.naver.c[...] 기자협회보 2006-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