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청 축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해시청 축구단은 2008년 1월 25일 창단되었으며, 초대 감독은 박양하였다. 2009년 내셔널리그에서 전기리그 우승, 후기리그 4위를 기록하고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 K3리그에서 정규시즌 1위와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달성했다. 현재 윤성효 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으며, 선수단, 스태프, 경영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엠블럼은 방패와 가야 문화를 결합한 디자인이며, 유니폼은 정열의 적색과 세련된 검은색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해시청 축구단 - 김해운동장
김해운동장은 2006년 피스퀸컵의 일부 경기가 개최된 경기장으로, 호주 대 네덜란드, 미국 대 덴마크의 조별리그 경기가 열렸다. - 김해시의 축구단 -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축구부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축구부는 대한민국 고등학교 축구부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김해시의 축구단 - 김해중 FC
김해중 FC는 1972년 창단된 김해중학교의 축구부로, 지역 사회 축구 발전에 기여하며 1980년대 전국 규모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 김해 지역 축구 명문으로 자리 잡았고, 현재 지역 대회 참가 및 유소년 축구 선수 육성에 힘쓰고 있다. - 내셔널리그 구단 -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부산교통공사 축구단은 2006년에 창단되어 내셔널리그에서 활동했으며, 전국체육대회 우승과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고 K3리그에도 참가했다. - 내셔널리그 구단 - 수원 FC
수원 FC는 2003년 수원시청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내셔널리그를 거쳐 K리그에 참가, K리그1에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수원 더비 등 다양한 경기를 치르고, 2010년 내셔널리그 우승을 포함한 컵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한 수원시 연고의 프로축구단이다.
김해시청 축구단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김해시청 축구단 |
풀 네임 | 김해시청 축구단 |
창단 | 2007년 |
홈구장 | 김해운동장 |
수용 인원 | 35,000명 |
구단주 | 홍태용 (김해시장) |
감독 | 윤성효 |
리그 | K3리그 |
시즌 | 2022 |
최종 순위 | 7위 |
웹사이트 | 김해시청 축구단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 |
홈 유니폼 | 상의: 빨강색 하의: 검정색 양말: 빨강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흰색 하의: 검정색 양말: 흰색 |
현재 시즌 | |
현재 시즌 | 김해시청 축구단 2023 시즌 |
2. 역사
2008년 1월 25일 김해시청 축구단이 창단되었으며, 초대 감독으로 박양하 감독이 선임되었다. 2009년 교보생명 2009 내셔널리그에서 전기리그 우승을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후기리그에서는 4위를 기록, 챔피언결정전에서는 준우승을 거두었다.
2010년 1월에는 경남공업고등학교 감독이었던 김한봉이 제2대 감독으로 부임하였으나, 2010년과 2011년 두 시즌 연속으로 하위권인 11위에 머물렀다. 2012년 1월에는 김귀화 감독이 제3대 감독으로 부임하여 2013년 리그 5위를 기록하는 등 매년 중하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2017년 1월에는 윤성효 감독이 제4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 1. 창단과 내셔널리그 (2008-2019)
2008년 1월 25일 김해시청 축구단이 창단되었으며, 초대 감독으로 박양하 감독이 선임되었다. 2009년 교보생명 2009 내셔널리그에서 전기리그 우승을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후기리그에서는 4위를 기록, 챔피언결정전에서는 준우승을 거두었다.2010년 1월에는 경남공업고등학교 감독이었던 김한봉이 제2대 감독으로 부임하였으나, 2010년과 2011년 두 시즌 연속으로 하위권인 11위에 머물렀다. 2012년 1월에는 김귀화 감독이 제3대 감독으로 부임하여 2013년 리그 5위를 기록하는 등 매년 중하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2017년 1월에는 윤성효 감독이 제4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 2. K3리그 (2020-현재)
2020년 K3리그에서 정규시즌 1위를 기록하고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1년 K3리그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3. 선수단
3. 1. 현재 선수단 (2022년 7월 1일 기준)
2022년 7월 1일 기준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들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질 수 있다.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강규민 | 대한민국 |
4 | DF | 문성후 | 대한민국 |
5 | DF | 고준희 | 대한민국 |
6 | MF | 김민준 | 대한민국 |
7 | MF | 정상규 | 대한민국 |
8 | DF | 박준희 | 대한민국 |
9 | MF | 장한영 | 대한민국 |
10 | FW | 이민우 | 대한민국 |
11 | FW | 마티아스 | 파라과이 |
13 | FW | 마지강 | 대한민국 |
14 | DF | 김한빈 | 대한민국 |
15 | DF | 임동현 | 대한민국 |
16 | MF | 손준석 | 대한민국 |
17 | MF | 이유찬 | 대한민국 |
18 | GK | 김영익 | 대한민국 |
19 | MF | 송예근 | 대한민국 |
20 | DF | 오창권 | 대한민국 |
21 | MF | 윤병우 | 대한민국 |
22 | MF | 서명원 | 대한민국 |
23 | DF | 조현민 | 대한민국 |
26 | DF | 강영종 | 대한민국 |
27 | MF | 배진우 | 대한민국 |
32 | DF | 이병욱 | 대한민국 |
33 | DF | 강태규 | 대한민국 |
42 | MF | 김성진 | 대한민국 |
47 | MF | 김태현 | 대한민국 |
57 | GK | 김승건 | 대한민국 |
66 | MF | 안지만 | 대한민국 |
77 | FW | 전성진 | 대한민국 |
88 | FW | 박기동 | 대한민국 |
3. 2. U-12팀 선수단
4. 스태프
4. 1. 코칭 스태프
4. 2. 메디컬 스태프
4. 3. 지원 스태프
5. 경영진
6. 기록과 통계
6. 1. 우승 기록
6. 1. 1. 국내 대회
6. 2. 역대 성적
시즌 | 리그 | FA컵 | ACL | 기타 | |
---|---|---|---|---|---|
디비전 | 순위 | ||||
2008 | 2 | 5 | 3R | - | 리그컵: 8강 |
2009 | 4 | 32강 | - | 리그컵: 4강 | |
P: 준우승 | |||||
2010 | 전기: 11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후기: 11 | |||||
2011 | 10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2012 | 11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2013 | 3 | 5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2014 | 9 | 2R | - | 리그컵: 조별리그 | |
2015 | 7 | 3R | - | 리그컵: 4강 | |
2016 | 6 | 3R | - | 리그컵: 4강 | |
2017 | 2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P: 준우승 | |||||
2018 | 2 | 8강 | - | 리그컵: 4강 | |
P: 준우승 | |||||
2019 | 7 | 3R | 리그컵: 조별리그 | ||
2020 | 3 | 1 | 3R | - | - |
P: 우승 | |||||
2021 | 4R | - | - |
- P: 플레이오프(포스트시즌)
시즌 | 내셔널리그 | 대한민국 FA컵 | 코리아리그컵 | 최다 득점자 (리그 득점) | 감독 | |||||||||||
---|---|---|---|---|---|---|---|---|---|---|---|---|---|---|---|---|
스테이지 | 팀 수 | P | W | D | L | GF | GA | GD | Pts | 순위 | ||||||
2008 | 1차 리그 | 14 | 13 | 7 | 1 | 5 | 16 | 17 | –1 | 22 | 5위 | 예선 3라운드 | 8강 | 양동철한국어 (9) | 박양하한국어 | |
2차 리그 | 14 | 13 | 7 | 1 | 5 | 25 | 19 | +6 | 22 | 5위 | ||||||
2009 | 1차 리그 | 14 | 13 | 8 | 2 | 3 | 26 | 20 | +6 | 26 | 1위 | 1라운드 | 준결승 | 추운기한국어 (10) | ||
2차 리그 | 13 | 12 | 4 | 4 | 4 | 19 | 17 | +2 | 16 | 6위 | ||||||
플레이오프 | 4 | 3 | 1 | 0 | 2 | 4 | 5 | –1 | 3 | 준우승 | ||||||
2010 | 1차 리그 | 15 | 14 | 5 | 3 | 6 | 12 | 17 | –5 | 18 | 11위 | 예선 3라운드 | 1라운드 | 이진희/이진희 (축구 선수)한국어 (5) | 김한봉한국어 | |
2차 리그 | 15 | 14 | 5 | 3 | 6 | 17 | 19 | –2 | 18 | 11위 | ||||||
2011 | 조별 리그 | 14 | 26 | 10 | 3 | 13 | 39 | 44 | –5 | 33 | 10위 | 32강 | 조별 리그 | 윤태현한국어 김원민한국어 (8) | ||
2012 | 조별 리그 | 14 | 26 | 6 | 10 | 10 | 26 | 34 | –8 | 28 | 11위 | 32강 | 조별 리그 | 정안성한국어 방정록한국어 (4) | 김귀화한국어 | |
2013 | 조별 리그 | 10 | 27 | 8 | 12 | 7 | 32 | 31 | +1 | 36 | 5위 | 32강 | 조별 리그 | |||
2014 | 조별 리그 | 10 | 27 | 6 | 8 | 13 | 25 | 42 | -17 | 26 | 9위 | 2라운드 | 조별 리그 | |||
2015 | 조별 리그 | 10 | 27 | 6 | 11 | 10 | 29 | 39 | -10 | 29 | 7위 | 3라운드 | 준결승 | |||
2016 | 조별 리그 | 10 | 27 | 8 | 10 | 9 | 37 | 34 | +3 | 34 | 6위 | 3라운드 | 준결승 | |||
2017 | 조별 리그 | 8 | 28 | 12 | 14 | 2 | 38 | 21 | +17 | 50 | 2위 | 32강 | 조별 리그 | 윤성효한국어 | ||
2018 | 조별 리그 | 8 | 28 | 16 | 8 | 4 | 46 | 20 | +26 | 56 | 2위 | 8강 | 준결승 | |||
2019 | 조별 리그 | 8 | 28 | 7 | 7 | 14 | 26 | 29 | -3 | 28 | 7위 | 3라운드 | 조별 리그 | |||
시즌 | K3리그 | 대한민국 FA컵 | 코리아리그컵 | 최다 득점자 (리그 득점) | 감독 | |||||||||||
스테이지 | 팀 수 | P | W | D | L | GF | GA | GD | Pts | 순위 | ||||||
2020 | 정규 시즌 | 16 | 22 | 15 | 4 | 3 | 39 | 18 | +21 | 49 | 우승 | 3라운드 | 없음 | 윤성효한국어 | ||
2021 | 정규 시즌 | 15 | 28 | 12 | 8 | 8 | 39 | 35 | +4 | 44 | 5위 | 4라운드 | 없음 | |||
2022 | 정규 시즌 | 16 | 30 | 0 | 0 | 0 | 0 | 0 | 0 | 0 | 미정 | 4라운드 | 없음 |
7. 클럽 역대 인물
8. 클럽 시설
8. 1. 경기장
9. 엠블럼과 마스코트
9. 1. 엠블럼
김해시청 축구단 엠블럼은 튼튼한 수비력을 상징하는 방패와 고귀한 가야 문화의 전통을 접목시킨 디자인이다. 중앙 하단에 축구공과 잘 조화되어 국내 축구계를 평정하겠다는 굳은 의지를 표현하였다. 김해FC의 컬러는 정열을 상징하는 적색과 세련미와 강인함을 상징하는 검은색을 사용하였다.10. 유니폼
11. 클럽 관련 문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