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꽃마리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마리아과는 지치과의 한 과로, 여러 족으로 분류된다. 주요 족으로는 갈퀴지치족, 개꽃마리족, 누운자반풀족, 라시오카리움족, 로켈리아족, 섬꽃마리족, 크라니오스페르뭄족, 트리코데스마족 등이 있으며, 각 족에는 여러 속이 포함된다. 한국에는 갈퀴지치족, 개꽃마리족, 누운자반풀족, 섬꽃마리족에 속하는 식물들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꽃마리아과 - 개꽃마리속
    개꽃마리속(Myosotis)은 5개의 파란색 꽃잎을 가진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전 세계에 156종이 분포하며 우애, 성실, 기억 등을 상징한다.
  • 꽃마리아과 - 꽃받이
    덩굴꽃마리는 동아시아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하늘색 또는 연한 파란색의 작은 꽃을 피우고 갈고리 모양 가시가 있는 열매로 씨앗을 퍼뜨린다.
꽃마리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지치과
아과꽃마리아과
학명Cynoglossoideae
학자Weigend, 2016
모식속섬꽃마리속 (Cynoglossum L.)
하위 분류
uncategorized Boragineae
아르네비아속 (Arnebia)
콜레오스테푸스속 (Coleostephus)
키노글로숨속 (Cynoglossum)
에키노스페르뭄속 (Echinospermum)
하케리아속 (Hackelia)
마리아꽃속 (Lappula)
미오소티스속 (Myosotis)
옴팔로데스속 (Omphalodes)
파라카리오프살리스속 (Paracaryopsis)
프세우도리톱스페르뭄속 (Pseudolithospermum)
린디아니아속 (Rindjania)
스키조카리움속 (Schizocaryum)

2. 하위 분류

지치과는 크게 8개의 족(tribe)으로 나뉜다.[3][4][5][6][7][8][9][10]

족(Tribe)속(Genus)
갈퀴지치족(Asperugeae)갈퀴지치속, 갯지치속 외 2속
개꽃마리족(Myosotideae)개꽃마리속, 꽃마리속, 당개지치속 외 4속
누운자반풀족(Omphalodeae)누운자반풀속 외 5속
라시오카리움족(Lasiocaryeae)Chionocharis, 라시오카리움속 외 1속
로켈리아족(Rochelieae)들지치속, 뚝지치속, 산지치속 외 9속
섬꽃마리족(Cynoglosseae)꽃받이속, 대청지치속, 미국꽃말이속, 섬꽃마리속, 자반풀속 외 25속
크라니오스페르뭄족(Craniospermeae)Craniospermum|크라니오스페르뭄la 1속
트리코데스마족(Trichodesmeae)Caccinia|카치니아la, Heliocarya|헬리오카리야la, Триходесма|트리코데스마ru 3속


2. 1. 갈퀴지치족 (Asperugeae)


  • 갈퀴지치속(''Asperugo'' L.)[3]
  • 갯지치속(''Mertensia'' Roth)[3]
  • ''Anoplocaryum'' Ledeb.[3]
  • ''Memoremea'' A.Otero, Jim.Mejías, Valcárcel & P.Vargas[3]

2. 2. 개꽃마리족 (Myosotideae)


  • 개꽃마리속 (*Myosotis* L.)[4]
  • 꽃마리속 (*Trigonotis* Steven)[4]
  • 당개지치속 (*Brachybotrys* Maxim. ex Oliv.)[4]
  • ''Decalepidanthus'' Riedl[4]
  • ''Omphalotrigonotis'' W.T.Wang[4]
  • ''Stephanocaryum'' Popov[4]
  • ''Trigonocaryum'' Trautv.[4]

2. 3. 누운자반풀족 (Omphalodeae)

Weigend가 누운자반풀속(''Omphalodes'' Mill.)을 누운자반풀족으로 명명했다.[5] 누운자반풀족에는 누운자반풀속 외에 ''Gyrocaryum'' Valdés, ''Iberodes'' M.Serrano, R.Carbajal & S.Ortiz, ''Mimophytum'' Greenm., ''Myosotidium'' Hook., ''Selkirkia'' Hemsl. 등의 속이 포함된다. 한국에는 누운자반풀속 식물이 분포한다.

2. 4. 라시오카리움족 (Lasiocaryeae)


  • ''Chionocharis'' I.M.Johnst.
  • ''라시오카리움속''(Lasiocaryum) I.M.Johnst.
  • ''Microcaryum'' I.M.Johnst.[6]

2. 5. 로켈리아족 (Rochelieae)

요약에 따르면, 한국에 분포하는 들지치속, 뚝지치속, 산지치속을 언급해야 합니다. 원본 소스에서 해당 속들을 찾아 앞쪽에 배치하고, 나머지 속들은 가나다 순으로 정렬합니다.

  • 들지치속(''Lappula'' Moench)[7]
  • 뚝지치속(''Hackelia'' Opiz)[7]
  • 산지치속(''Eritrichium'' Schrad. ex Gaudin)[7]
  • ''Amblynotus'' (A.DC.) I.M.Johnst.[7]
  • ''Embadium'' J.M.Black[7]
  • ''Heterocaryum'' A.DC.[7]
  • ''Lepechiniella'' Popov[7]
  • ''Omphalolappula'' Brand[7]
  • ''Rochelia'' Rchb.[7]
  • ''Sauria'' Bajtenov[7]
  • ''Suchtelenia'' Kar. ex Meisn.[7]
  • ''Tianschaniella'' B.Fedtsch. ex Popov[7]

2. 6. 섬꽃마리족 (Cynoglosseae)

꽃받이속(''Bothriospermum'' Bunge), 섬꽃마리속(''Cynoglossum'' L.), 자반풀속(''Nihon'' A.Otero, Jim.Mejías, Valcárcel & P.Vargas) 등이 한국에 분포한다.[8]

2. 7. 크라니오스페르뭄족 (Craniospermeae)

Craniospermum|크라니오스페르뭄la Lehm.[9]

2. 8. 트리코데스마족 (Trichodesmeae)

트리코데스마족은 한국에 분포하지 않는다.[10]

  • Cacciniala Savi
  • Heliocaryala Bunge
  • Триходесма|트리코데스마ru R.Br.

참조

[1] 논문 Taxon 65(3): 538 2016
[2] 저널 The borage family (Boraginaceae s.str.): A revised infrafamilial classification based on new phylogenetic evidence, with emphasis on the placement of some enigmatic genera 2016
[3] 논문 Botanicheskii Zhurnal (Moscow & Leningrad) 92: 755 2007
[4] 논문 Icones Florae Germanicae et Helveticae 18: 70 1858
[5] 논문 Taxon 65(3): 539 2016
[6] 논문 Taxon 65(3): 539 2016
[7] 논문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10: 175 1846
[8] 논문 Synopsis Florae Germanicae et Helveticae 496 1837
[9] 논문 Plantarum vascularium genera secundum ordines ... 1: 280; 2: 189 1840
[10] 간행물 Flora Iranica : Flora des Iranischen Hochlandes und der Umrahmenden Gebirge : Persien, Afghanistan, Teile von West-Pakistan, Nord-Iraq, (cont) 48: 219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