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꽃장포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장포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겹쳐져 있고 꽃차례는 총상 꽃차례이며 삭과 열매를 맺는 특징을 가진다. 꽃장포과에는 꽃장포속, 하퍼오칼리스속, 플리아속, 트리안타속 등이 속하며, 택사목 내에서 천남성과, 택사과, 림노카리스과 등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 2011년 DNA 연구에 따르면 플레아속, 하르페로칼리스속, 트리안타속, 토필디아속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기재된 식물 - 미국쑥부쟁이
    미국쑥부쟁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흰색 꽃이 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고,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서 귀화종으로 발견되기도 한다.
  • 1995년 기재된 식물 - 바닐라아과
    바닐라아과는 난초과에 속하는 아과로, 포고니애족과 바닐라족으로 나뉘며 의란아과와 계통적으로 가깝고 복주머니란아과보다 먼저 분기되었으며 석곡아과, 난초아과와 함께 후대에 분기된 아과이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꽃장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토필디아속의 그림
토필디아속의 그림
학명Tofieldiaceae
명명자Takht.
발표 연도1995년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택사목
하위 분류
꽃장포속 (Tofieldia)
Harperella
Isidrogalvia
Pleea
Triantha

2. 특징

작고 잎이 많은 여러해살이풀이다. 은 겹쳐져 있고(2열, 서로 엇갈려 배열), 등쪽과 배쪽이 구별된다. 꽃차례는 총상 꽃차례이다. 포엽이 존재한다. 꽃덮이는 서로 떨어져 있다. 열매는 삭과이며, 일반적으로 중열개이다.[15]

3. 하위 속


  • 꽃장포속(''Tofieldia'' Huds.)
  • ''Harperocallis'' McDaniel
  • ''Pleea'' Michx.
  • ''Triantha'' (Nutt.) Baker
  • 하퍼오칼리스(''Harperocallis'') 맥다니엘
  • 플리아(''Pleea'') 미쇼
  • 토필디아(''Tofieldia'') 허드슨
  • 트리안타(''Triantha'') (너톨) 베이커
  • †디콜포폴리스(''Dicolpopollis'') [13]
  • Pleeala - 플로리다 주변에 Pleea tenuifoliala 1종만 존재
  • Harperocallisla - 플로리다에 1종, 남아메리카 북부에 10종 (syn. Isidrogalviala)[15]
  • Trianthala 이와쇼부속 - 북미에 3종, 일본에 이와쇼부 1종
  • Tofieldiala 지시마제키쇼속 - 지시마제키쇼, 하나제키쇼 등 약 10종

4. 계통 분류

다음은 2011년에 발표된 DNA 논문을 기반으로 한 계통수이며,[14] ''Isidrogalvia'' 종을 ''Harperocallis''로 이전하는 것을 수용하도록 수정되었다.[16]

4. 1. 택사목 내 계통 분류

현재, 택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8][19]

{| class="wikitable"

|-

! 택사목

|-

|

{| class="wikitable"

|-

| 천남성과

|-

|

{| class="wikitable"

|-

| 꽃장포과

|-

|

{| class="wikitable"

|-

| 택사과 + 림노카리스과

|-

|

{| class="wikitable"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장지채과

|-

|

{| class="wikitable"

|-

| 아포노게톤과

|-

|

{| class="wikitable"

|-

| 지채과 + 마운디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포시도니아과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

|}

|}

참조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www3.intersci[...] 2013-07-06
[2] 서적 Flowering Plant Families of the World Firefly Books
[3]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Magnolia Press
[4] 서적 The New Royal Horticultural Society Dictionary of Gardening The Macmillan Press,Limited: London. The Stockton Press: New York
[5]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Plant Names CRC Press
[6] 문서 Tofieldiacea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7] 웹사이트 Tofieldiaceae
[8] 서적 Nartheciaceae Springer-Verlag
[9] 서적 Liliacea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Mabberley's Plant-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Flowering Plant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2] 간행물 The genera of Tofieldiacea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13] 보고서 Tertiary and Late Upper Cretaceous stratigraphy of west border of San Joaquin Valley, north of Panoche Creek, Fresno, Merced and Stanislaus counties, California http://dx.doi.org/10[...] US Geological Survey 1944
[14]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Tofieldiaceae (Alismatales): family circumscription and intergeneric relationships
[15] 논문 A synopsis of Harperocallis (Tofieldiaceae, Alismatales) with ten new combinations
[16]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Tofieldiaceae (Alismatales): family circumscription and intergeneric relationships
[17] 문서 Botanicheskii Zhurnal (Moscow & Leningrad)
[18]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19] 웹사이트 Die Ordnung der Alismatales http://www.mobot.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