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꽝꽝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꽝꽝나무는 잎이 두껍고 불에 태우면 꽝꽝 소리가 난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상록 활엽 관목 또는 교목이다. 높이는 2~3m이며 최대 15m까지 자란다. 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암수딴그루로 초여름에 흰 꽃이 피고 10월경에 검은 열매가 열린다. 주로 일본과 제주도 등지에서 자생하며, 공해와 염해에 강해 도심지나 해안 지역에 식재된다.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관상용으로 사용되며, 정원수, 생울타리, 분재 등으로 활용된다. 목재는 세공품으로 쓰이며, 수피에서는 새끈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오징어 통발 어업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탕나무속 - 먼나무
    먼나무는 난대 지방에 분포하는 늘푸른 넓은잎 큰키나무로, 3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붉은 열매가 맺히며, 정원수, 공원수 등으로 사용되고, 제주 4.3 사건과 관련하여 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해제된 사례가 있다.
  • 감탕나무속 - 호랑가시나무
    날카로운 가시 잎이 특징인 호랑가시나무는 중국과 한국 원산의 상록 관목으로, 관상용, 약용으로 쓰이며 붉은 열매는 크리스마스 장식에 활용되고 한국에는 천연기념물 및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된 개체들이 있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원예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원예 식물 - 국화속
    국화속(Chrysanthemum)은 관상용 여러해살이풀로 두상화 형태의 꽃을 피우며, 다양한 색상과 크기를 가지고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꽝꽝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Ilex Crenata5
Ilex Crenata5
학명 (표준)Ilex crenata Thunb. var. crenata (1784)
학명 (광의)Ilex crenata Thunb. (1784)
이명Ilex crenata Thunb. f. microphylla Rehder (1895)
한국어 이름이누츠게 (犬黄楊), 꽝꽝나무
영어 이름Japanese Holly (일본 호랑가시나무), Box-leaved Holly (상자잎 호랑가시나무)
분류
식물계 (Plantae)
속씨식물군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아강국화상군 (Superasterids)
하강국화군 (Asterids)
상목키쿄우류 (Campanulids)
감탕나무목 (Aquifoliales)
감탕나무과 (Aquifoliaceae)
감탕나무속 (Ilex)
꽝꽝나무 (Ilex crenata)

2. 이름

잎이 두껍고 살이 많아서 불에 태우면 꽝꽝 소리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단단하다는 뜻의 전라도 방언 '깡깡하다'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3. 분포 및 생태

꽝꽝나무는 높이가 3m 정도이며, 최대 15m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작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회양목과 비슷하지만 잎이 어긋나고 가지가 회색인 점이 다르다. 암수딴그루로, 초여름에 작은 흰 꽃이 핀다. 수꽃은 여러 개가 뭉쳐나며 암꽃은 1개씩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공 모양이며, 10월경에 검게 익는다. 공해나 염해에 강하므로 도심지나 해안지대에 심어도 잘 자란다. 뿌리를 얕게 내리므로 뿌리 부분이 서향볕에 노출되면 건조해지기 쉽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일부,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하며, 일본 국외에서는 대한민국제주도에 분포한다. 산지에 자생한다.

4. 특징

상록 활엽수의 관목 또는 교목으로, 보통 높이는 2m~3m이지만, 최대 15m에 달하기도 한다. 가지는 잿빛 갈색으로 거의 매끄럽고 큰 틈새나 갈라짐이 없다. 새로운 수피에는 피목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가지가 잘 분기되며, 1년생 가지는 처음에는 녹색을 띠고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크기는 1.5cm~3cm인 작은 타원형이다. 잎은 두껍고 혁질이며 매끄러운 광택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둥근 톱니가 있다.

겨울눈은 작은 원뿔 모양으로 芽鱗(아린)에 싸여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가지 끝이나 잎의 밑동에 붙는다. 잎자국은 반원형으로 관다발 흔적이 1개 있고, 양쪽에 턱잎 흔적이 있다.

압착 표본으로 만들어 건조시키면 잎이 검게 변한다.

5. 품종

꽝꽝나무는 잎의 무늬, 색깔,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다. 잎에 무늬가 있는 품종으로는 'Golden Gem', 'Shiro-Fukurin' 등이 있다. 짙은 녹색 잎을 가진 품종은 'Green Lustre', 회색빛 녹색 잎은 'Bad Zwischenahn'이다. 노란색 열매를 맺는 품종은 'Ivory Hall', 직립형 품종은 'Chesapeake', 퍼지는 모양은 'Green Island', 'Hetzii'이다. 왜성 품종으로는 'Mariesii', 'Stokes'가 있다.[4] 'Golden Gem'[7]과 ‘Fastigiata’ (Fastigiata Group)[8] 품종은 왕립 원예 협회의 Award of Garden Merit를 수상했다.[9]

마메이누츠게 (''I. crenata'' f ''bullata'')는 잎 표면이 부풀어 올라 뒤로 젖혀지는 것이 특징으로, 원예용으로 재배된다.

5. 1. 변종


  • 털꽝꽝나무 (radicans|라디칸스la): 혼슈에서 홋카이도의 한랭한 습지에 자라며, 줄기 밑부분이 기어간다.
  • 쓰쿠시꽝꽝나무 (fukasawana|후카사와나la): 잎이 다소 크고 얇으며, 다소 길쭉하고, 가지에 능선이 있다. 시코쿠규슈 남부, 이즈 제도중국에 분포한다.
  • 하치조 꽝꽝나무 (hachijoensis|하치조엔시스la): 기본종과 구별하지 않는 견해가 있다.


6. 해충

꽝꽝나무에 해를 끼치는 생물로는 루비깍지벌레, 뿔밀깍지벌레, 이세리아깍지벌레, 오리나무좀 등이 있다.[14]

루비깍지벌레와 뿔밀깍지벌레는 년 1회 발생하며, 꽝꽝나무 잎에 달라붙어 즙을 빨아먹어 나무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그을음병을 일으킨다.[14]

이세리아깍지벌레는 년 2-3회 발생하며, 꽝꽝나무의 새 가지에 달라붙어 즙을 빨아먹어 루비깍지벌레 및 뿔밀깍지벌레와 같은 피해를 일으킨다.[14]

오리나무좀은 150종이 넘는 나무에 피해를 주는 잡식성 해충으로, 년 2회 발생하며, 수세가 약한 나무의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피해를 준다.[14]

7. 쓰임새

정원수로 이용되며 기구재와 빗을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생울타리나 정원수, 도로 녹화 등 식재에 흔히 사용된다.[13] 목재는 세공품 등에 사용된다.[13] 호랑가시나무와 마찬가지로 수피에서 새끈이를 얻을 수 있으며, 호랑가시나무에서 얻은 것을 시로모치 또는 혼모치라고 부르는 데 반해, 꽝꽝나무에서 얻은 것을 아오모치라고 부른다.

또한, 오징어 통발 어업에 이용되며, 통발에 꽝꽝나무 가지와 잎을 묶어 바다에 넣으면 오징어(갑오징어)가 가지와 잎에 알을 낳으러 온다. 따라서 후쿠오카현 신구정 아이노시마 등에서 갑오징어 어업에 자주 이용되며, 꽝꽝나무를 통칭 "오징어 덤불"이라고 부른다.

참조

[1] GRIN 2018-01-12
[2] 웹사이트 Ilex crenata http://www.ne.jp/asa[...]
[3] 웹사이트 Ilex crenata http://had0.big.ous.[...]
[4]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1992
[5] 웹사이트 Japanese Holly Bonsai http://www.bonsaidoj[...] BonsaiDojo.net 2014-01-31
[6] 웹사이트 Japanese Holly: A Subtle Gem https://www.seattlej[...] 2024-03-29
[7]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http://apps.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3-05-20
[8]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Ilex crenata 'Fastigiata' https://www.rhs.org.[...] 2018-03-07
[9]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3-09
[10] YList 2024-03-06
[11] YList 2024-03-06
[12] YList 2024-03-06
[13] 서적 続・日本の樹木 中央公論新社 2006-02-25
[14] 저널 조경수의 병해충-꽝꽝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 2007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