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노스밀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노스밀루스는 유스밀루스보다 원시적인 해부학적 특징을 가진 멸종된 검치호랑이의 한 속이다. 두개골은 호플로포네우스와 유스밀루스보다 좁고, 작은 시상 능선, 좁은 전두골 등의 특징을 보이며, 큰 안와는 시력이 좋았음을 시사한다. 유스밀루스와 달리, 검치 보호를 위한 하악골의 플랜지가 없어 치아 파절에 취약했을 수 있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돼지나 사슴만큼 큰 동물을 사냥할 수 있었다.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더 완전한 두개골 발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님라부스과 - 디넬루루스
    디넬루루스는 1922년 명명된 멸종된 동물로, 가늘고 발가락 보행을 하며, 짧은 얼굴과 큰 콧구멍, 넓은 머리뼈와 원뿔형 이빨, 덜 발달된 검치를 가진 주행성 포식자로 추정된다.
  • 님라부스과 - 디네일루릭티스
    디네일루릭티스는 님라비네아과에 속하는 멸종된 잡식성 가능성이 있는 검치호로, 튼튼한 다리와 부분적으로 숨길 수 있는 발톱을 가져 나무를 타는 데 적합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송곳니는 덜 발달되었지만 검 모양을 유지하고, 단일 종인 디네일루릭티스 보날리로 알려져 있고 님라부스와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진다.
  • 199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길리사우루스
    아길리사우루스는 중기 쥐라기에 중국 쓰촨성에 살았던 소형 초식 조반류 공룡으로, 가늘고 긴 다리를 가져 민첩했을 것으로 보이며, 분류학적 위치는 진조각류의 기저 또는 변두치류와 연관성이 제기된다.
  • 199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델로바실레우스
나노스밀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정보
나노스밀루스속
학명 권한Martin, 1992
kurteni
명명자Martin, 1992
생물학적 분류
도메인진핵생물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님라부스과
특징
크기알 수 없음
고생물학적 정보
참고 문헌

2. 발견 및 분류

''나노스밀루스''는 1880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처음 발견하고 단편적인 화석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하였다. 이후 더 완전한 두개골이 발견되면서 과학계에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수십 년 동안 이 동물은 ''유스밀루스'' 속의 한 종으로 여겨져 ''유스밀루스 세레브랄리스''(Eusmilus cerebralislat)로 불렸다. ''유스밀루스''와의 유사성 때문에 2013년까지도 같은 속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했지만, 2016년에 이루어진 계통 발생학적 분석 결과 ''나노스밀루스''는 ''유스밀루스''와는 다른 별개의 속으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 실제로 ''나노스밀루스''는 해부학적으로 ''유스밀루스''보다 더 원시적인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두개골이 ''호플로포네우스''나 ''유스밀루스''보다 좁고, 하악골에 검치를 보호하기 위한 플랜지가 ''유스밀루스''와 달리 작다는 점 등이 차이점으로 꼽힌다.[2][3]

3. 해부학적 특징

''나노스밀루스''는 해부학적으로 유스밀루스보다 원시적인 특징을 보인다.[1] 두개골 구조나 하악골의 특징 등에서 유스밀루스나 호플로포네우스와 차이를 보이며, 이는 하위 분류군으로서의 독립성을 뒷받침한다.[1][2][3]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나노스밀루스''는 현대의 돼지나 사슴만큼 큰 동물을 사냥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당시 생태계에서 자신보다 훨씬 큰 먹이를 사냥하는 데 이미 특화되었음을 시사한다.[2][3]

3. 1. 두개골

''나노스밀루스''의 두개골은 ''호플로포네우스''와 ''유스밀루스''의 것보다 좁다.[1] 두개골의 작은 시상 능선은 관절와면 위에서 "V"자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이는 ''유스밀루스''와 ''호플로포네우스''의 시상 능선 분기점과는 다른 특징이다.[1] 또한 좁은 전두골을 가지고 있다.[1] 안와는 크기가 커서 시력이 좋았음을 나타낸다.[2][3] ''유스밀루스''와는 다르게, ''나노스밀루스''는 검치를 보호하기 위한 작은 하악골 플랜지를 가지고 있었다.[2][3]

3. 2. 안와

안와는 크고 시력이 좋았음을 나타낸다.

3. 3. 하악골

''유스밀루스''와는 다르게, ''나노스밀루스''는 검치를 보호하기 위한 하악골 플랜지가 없었다.[2][3] 이러한 보호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치아가 부러지는 것에 더 취약했을 가능성이 있다.[2][3]

4. 생태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나노스밀루스''는 현대의 돼지사슴만큼 큰 동물을 죽일 수 있었으며, 이는 자신보다 훨씬 큰 동물을 사냥하는 데 이미 특화되었음을 시사한다.[2][3]

참조

[1] 논문 Taxonomic and systematic revisions to the North American Nimravidae (Mammalia, Carnivora) 2016
[2] 간행물 A new miniature saber-toothed nimravid from the Oligocene of Nebraska http://www.sekj.org/[...] Finnish Zoological Publishing Board, formed by the Finnish Academy of Sciences, Societas Biologica Fennica Vanamo, Societas pro Fauna et Flora Fennica, and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1991-01
[3] 서적 Sabertooth University of Indiana Press 2013
[4] 서적 검치호랑이 시그마프레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