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노펑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노펑크는 나노 기술을 주요 요소로 다루는 SF의 하위 장르이다. 문학 작품으로는 캐슬린 앤 구난, 린다 나가타, 닐 스티븐슨, 스타니스와프 렘, 그렉 베어 등의 작품이 있으며, 영화로는 '내가 줄였어요', '지.아이.조: 전쟁의 서막', '앤트맨' 등이, 텔레비전 시리즈로는 '퓨처라마', '제너레이터 렉스' 등이 있다. 비디오 게임으로는 '데이어스 엑스', '메탈 기어 솔리드' 시리즈 등이 있으며, 만화로는 'M. 렉스', '스쿠비 아포칼립스' 등이 나노펑크 장르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스트사이버펑크 -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는 미디어.Vision에서 개발하고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롤플레잉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디지몬을 조종하는 인간 캐릭터가 되어 전뇌 공간 EDEN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해결하며 디지몬 수집 및 육성, 의뢰 해결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야스다 스즈히토가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다.
  • 포스트사이버펑크 - 공각기동대
    공각기동대는 시로 마사무네의 만화를 원작으로 21세기 중반의 고도화된 정보 기술 사회를 배경으로 전뇌화, 사이보그 기술, 인공지능 등의 기술이 발전한 세계에서 '공안 9과'의 활약을 중심으로 인간의 정체성, 의식, 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문제 등 철학적인 주제를 탐구하는 미디어 프랜차이즈이다.
  • 나노기술 - 나노 기술
    나노 기술은 분자 수준에서 물질을 다루는 과학 및 공학 기술로,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여러 분야에 응용되며 독특한 특성을 나타내지만, 독성, 환경 문제 등 윤리적 고려 사항이 존재한다.
  • 나노기술 - 그레이 구
    그레이 구는 분자 나노기술의 자기 복제 기계가 통제 불능 상태로 증식하여 지구를 파괴할 수 있다는 가설이며, 기술 윤리, 특히 나노기술의 잠재적 위험성을 논의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된다.
  • 트랜스휴머니즘 - 친절한 인공지능
    친절한 인공지능은 사용자에게 친절하고 공감적인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며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한 분야이다.
  • 트랜스휴머니즘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나노펑크
개요
유형과학 소설 하위 장르
파생 장르생물펑크
관련 장르사이버펑크
특징
특징나노기술 묘사
개인의 혁명
비주류 문화
영향
영향 받은 작품카를 슈뢰더의 《벤츄리》 3부작
폴 디 필리포의 《리보펑크》
캐슬린 앤 구난의 《여왕 거리》
같이 보기
관련 항목미래학
기술 철학
특이점주의 (기술)

2. 문학

캐슬린 앤 구난과 린다 나가타는 나노 기술을 작품에 주요하게 다룬 초기 작가들이다.[2] 닐 스티븐슨의 ''다이아몬드 시대''는 나노 기술이 삶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주는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6] 스타니스와프 렘의 소설들과 그렉 베어의 ''블러드 뮤직''[7] 역시 나노펑크의 선구자로 볼 수 있다. 마이클 크라이튼의 ''프레이''[3][5][8], ''마이크로'', 린다 나가타의 ''테크 헤븐'', 알래스터 레이놀즈의 ''캐즘 시티''[10] 또한 나노펑크 소설로 간주될 수 있다.

2. 1. 소설


  • 캐슬린 앤 구난(`Queen City Jazz`, 1997)과 린다 나가타는 나노 기술을 작품의 주요 요소로 다룬 초기 작가들 중 일부였다.[2]
  • 닐 스티븐슨의 ''다이아몬드 시대''(The Diamond Age)는 나노 기술이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미래를 배경으로 한 성장 소설이다.[6] 스타니스와프 렘의 소설 중, ''21세기의 무기 시스템 혹은 거꾸로 된 진화''(Weapon System of the Twenty First Century or The Upside-down Evolution), ''무적자''(The Invincible), 그리고 ''지구에서의 평화''(Peace on Earth)와 그렉 베어의 ''블러드 뮤직''(Blood Music)[7] 역시 나노펑크의 선구자로 간주될 수 있다.
  • 마이클 크라이튼의 소설 ''프레이''(Prey, 2002)[3][5][8]와 ''마이크로''(Micro, 2011) 역시 나노펑크의 예시가 될 수 있지만, ''마이크로''는 나노 기술보다는 물체의 크기를 조작하고 축소하는 아이디어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네이선 맥그래스의 ''나노펑크''(Nanopunk, 2013)는 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이 사라진 빙하기의 근미래를 배경으로 한다. "빅 프리즈"가 시작되었을 때 아이였던 앨리스터는 이제 사회가 천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십 대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나노 감염을 알지 못한 채 잃어버린 여동생을 찾으려 하고, 사이버 활동가인 수지가 그와 합류한다. 그들의 해킹은 비밀 정보국과 무자비한 민간 군사 기업의 관심을 끌게 되고, 그들의 탐색은 생존을 위한 치명적인 경쟁이 된다.
  • 린다 나가타의 ''테크 헤븐''(Tech Heaven, 1995)은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부상을 입은 남편이 죽어가고 있는 여성 케이티에 대한 미래 스릴러이다. 그는 죽는 대신 그의 몸을 냉동 보존하여 의료 기술이 그를 치료할 만큼 발전했을 때 다시 깨어날 수 있도록 한다. 문제는 이것이 예상했던 몇 년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9]
  • 알래스터 레이놀즈의 ''캐즘 시티''(Chasm City) 또한 나노펑크로 간주될 수 있다.[10]

3. 영화 및 텔레비전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나노펑크는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어진다. 영화에서는 인체를 축소하거나 (내가 줄였어요) 나노봇을 이용한 공격 (지.아이.조: 전쟁의 서막) 등을 소재로 활용한다. 텔레비전 시리즈에서는 기생충 제거를 위한 소형 드로이드 (퓨처라마)나 나노봇으로 구성된 안드로이드 (저스티스 리그)등을 예로 들 수 있다.

3. 1. 영화

3. 2. 텔레비전 시리즈


  • 퓨처라마, "기생충과의 조우(Parasites Lost)"(2001) - 프라이는 지능과 건강을 향상시키는 기생충에 감염되지만, 결국 소형 드로이드를 사용하여 기생충을 제거하기로 선택한다.[1]
  • 저스티스 리그, "타블라 라사"(2003) - 악당 아마조는 능력을 모방할 수 있는 나노봇으로 구성된 안드로이드이다.[2]
  • 스태틱 쇼크, "후프 스쿼드"(2004) - 악당, 오듐 박사는 인간을 대상으로 실험하려다 해고된 나노기술 전문 과학자이다.[3]
  • 닥터 후, "닥터 댄스(The Doctor Dances)"(2005) -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두 척의 우주선에는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나노 유전자가 들어 있다.[4]
  • 제너레이터 렉스(2010–2013) - 나노봇은 이 시리즈의 핵심 주제인데, 사고로 인해 나노봇이 전 세계로 퍼져 거의 모든 생명체를 감염시켰다. 주인공 렉스 살라자는 자신의 나노봇을 제어하고 나노봇으로 인해 발생한 돌연변이를 치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부 기관 프로비던스에서 나노봇 돌연변이(E.V.O.S라고 불림)와 싸운다.[5]

4. 비디오 게임

5. 만화


  • M. 렉스(1999)는 나노머신을 주인공의 에너지원으로 묘사한다.
  • 스쿠비 아포칼립스(2016–2019)는 초반에 벨마의 '엘리시움 프로젝트' 실험에서 시작된 나노 바이러스가 사람들이 괴물이 되는 원인임을 밝힌다.

참조

[1] 서적 The Multiple Worlds of Fringe: Essays on the J.J. Abrams Science Fiction Seri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05-20
[2] 웹사이트 io9 Talks to Kathleen Ann Goonan About Nanopunk and Jazz http://io9.com/34589[...] 2015-05-20
[3] 웹사이트 Nanopunk, Definition and Examples of Nanotechnology Based Nanopunk Speculative Science Fiction https://www.azonano.[...] 2021-01-24
[4] 간행물 The evolution of cyberpunk into postcyberpunk - The role of cognitive cyberspaces, wetware networks and nanotechnology in science fiction http://www.tdx.cat/b[...] 2015-05-19
[5] 웹사이트 Nanopunk Science Fiction http://bestsciencefi[...] 2015-05-20
[6] 간행물 Alien/Asian: Imagining the Racialized Future http://extscifi.weeb[...]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Multi-Ethnic Literature of the United States 2015-05-19
[7] PDF http://esst.eu/wp-co[...] 2024-08
[8] 뉴스 A quantum leap https://www.latimes.[...] 2021-01-24
[9] 웹사이트 Underrated SF Classic: Linda Nagata's "Tech Heaven" (review) https://www.wired.co[...] 2006-12-22
[10] 학위논문 Restoration of identity from space in Alastair Reynolds's ''Chasm City''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Tampere 2015-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