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호염고세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노호염고세균은 고세균의 한 문(phylum)으로, 현재 두 개의 강, 나노호염고세균강과 나노할로비아강으로 분류된다. 나노호염고세균 문은 나노호염고세균목, 나노히드로테르말레스목, 누클레오티디소테르목을 포함하는 나노호염고세균강과 나노할로비알레스목을 포함하는 나노할로비아강으로 구성된다. 계통 분류는 명명법의 지위를 가진 원핵생물 목록과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를 기반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노호염고세균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류 | |
도메인 | 고세균 |
상문 | DPANN군 |
문 | 나노호염고세균문 ("Nanohaloarchaeota") |
강 | 나노호염고세균강 ("Nanohaloarchaea") |
강 권위자 | (sic) Narasingarao et al. 2012 |
하위 분류 계급 | 속 |
하위 분류 | Nanohalarchaeales Nanohydrothermales Nucleotidisoterales |
동의어 | "Nanohalarchaeia" corrig. Narasingarao et al. 2012 |
2. 하위 분류
현재 인정되는 분류는 명명법의 지위를 가진 원핵생물 목록(LPSN)[30] 및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기초를 두고 있다.[31]
나노호염고세균의 계통 발생은 다음과 같다.[15][16][17]
2. 1. 나노호염고세균문 (Phylum Nanohaloarchaeota)
현재 인정되는 나노호염고세균문의 분류는 명명법의 지위를 가진 원핵생물 목록(LPSN)과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의 자료를 따른다.[30][31]문 "나노할고세균" 수정. Rinke 등. 2013
- 강 "나노할고세균강" 수정. Narasingarao 등. 2012
- * 목 "나노할고세균목"
- ** 과 "나노할고세균과"
속 ?"''Candidatus'' 나노할알세균" 수정. Hamm 등. 2019
* "''Ca.'' N. antarcticum" 수정. Hamm 등. 2019
속 ?"''Candidatus'' 나노할로코쿠스" Reva 등. 2023
* "''Ca.'' N. occultus" Reva 등. 2023
속 ?"''Candidatus'' 나노할로비타" Reva 등. 2023
* "''Ca.'' N. haloferacivicina" Reva 등. 2023
속 ?"''Candidatus'' 나노페트라우스" 수정. Crits‐Christoph 등. 2016
- * 목 "나노히드로테르말레스" Xie 등. 2022
- ** 과 "나노히드로테르마과"
속 ?"''Candidatus'' 나노히드로테르무스" Xie 등. 2022
* "''Ca.'' N. guaymasensis" Xie 등. 2022
- * 목 "누클레오티디소테르목" Xie 등. 2022
- ** 과 "나노살레네카과"
속 ?"''Candidatus'' 나노살레네쿠스" Xie 등. 2022
* "''Ca.'' N. halilacustris" Xie 등. 2022
- ** 과 "누클레오티디소테라과"
속 ?"''Candidatus'' 누클레오티디소테르" Xie 등. 2022
* "''Ca.'' N. xinjiangensis" Xie 등. 2022
- ** 과 "누클레오티디빈디카과"
속 ?"''Candidatus'' 누클레오티디빈덱스" Xie 등. 2022
* "''Ca.'' N. qijiaojingensis" Xie 등. 2022
속 "''Candidatus'' 나노아나에로살리나" Zhao 등. 2022
* "''Ca.'' N. halalkaliphila" Zhao 등. 2022
- ** 과 "나노할알칼리세균과"
속 "''Candidatus'' 나노할알칼리세균" Zhao 등. 2022
* "''Ca.'' N. halalkaliphilum" Zhao 등. 2022
- ** 과 "나노할로비움과"
속 ?"''Candidatus'' 할로레디비부스" Ghai 등. 2011
속 "''Candidatus'' 나노할로비움" La Cono 등. 2020
* "''Ca.'' N. constans" La Cono 등. 2020
속 "''Candidatus'' 나노살리나" Narasingarao 등. 2012
속 "''Candidatus'' 나노살리니콜라" 수정. Narasingarao 등. 2012
3. 계통 분류
다음은 DPANN군에 속하는 나노호염고세균의 계통 분류이다.[33][34][35]
Candidatus영어 나노아나에로살리나
Candidatus영어 나노할알칼리세균
Candidatus영어 나노살리니콜라
Candidatus영어 나노살리나
Candidatus영어 나노할로비움
- '''문 나노할고세균''' 수정. Rinke 등. 2013
- * '''강 나노할고세균강''' 수정. Narasingarao 등. 2012
- ** '''목 나노할고세균목'''
'''과 나노할고세균과'''
* 속 ?"''Candidatus영어 나노할알세균" 수정. Hamm 등. 2019
** "''Ca.영어 N. antarcticum" 수정. Hamm 등. 2019
* 속 ?"''Candidatus영어 나노할로코쿠스" Reva 등. 2023
** "''Ca.영어 N. occultus" Reva 등. 2023
* 속 ?"''Candidatus영어 나노할로비타" Reva 등. 2023
** "''Ca.영어 N. haloferacivicina" Reva 등. 2023
* 속 ?"''Candidatus영어 나노페트라우스" 수정. Crits‐Christoph 등. 2016 ["나노페트라무스" (sic)]
- ** '''목 나노히드로테르말레스''' Xie 등. 2022
'''과 나노히드로테르마과''' Xie 등. 2022
* 속 ?"''Candidatus영어 나노히드로테르무스" Xie 등. 2022
** "''Ca.영어 N. guaymasensis" Xie 등. 2022
- ** '''목 누클레오티디소테르목''' Xie 등. 2022
'''과 나노살레네카과''' Xie 등. 2022
* 속 ?"''Candidatus영어 나노살레네쿠스" Xie 등. 2022
** "''Ca.영어 N. halilacustris" Xie 등. 2022
'''과 누클레오티디소테라과''' Xie 등. 2022
* 속 ?"''Candidatus영어 누클레오티디소테르" Xie 등. 2022
** "''Ca.영어 N. xinjiangensis" Xie 등. 2022
'''과 누클레오티디빈디카과''' Xie 등. 2022
* 속 ?"''Candidatus영어 누클레오티디빈덱스" Xie 등. 2022
** "''Ca.영어 N. qijiaojingensis" Xie 등. 2022
- * '''강 나노할로비아강''' 수정. La Cono 등. 2020 ["나노살리니아" Rinke 등. 2021]
- ** '''목 나노할로비알레스''' La Cono 등. 2020[18] ["나노살리날레스" Rinke 등. 2020]
'''과 나노아나에로살리나과''' Zhao 등. 2022
* 속 "''Candidatus영어 나노아나에로살리나" Zhao 등. 2022
** "''Ca.영어 N. halalkaliphila" Zhao 등. 2022
'''과 나노할알칼리세균과''' Zhao 등. 2022
* 속 "''Candidatus영어 나노할알칼리세균" Zhao 등. 2022
** "''Ca.영어 N. halalkaliphilum" Zhao 등. 2022
'''과 나노할로비움과''' La Cono 등. 2020 ["나노살리나과" Rinke 등. 2020]
* 속 ?"''Candidatus영어 할로레디비부스" Ghai 등. 2011
* 속 "''Candidatus영어 나노할로비움" La Cono 등. 2020
** "''Ca.영어 N. constans" La Cono 등. 2020
* 속 "''Candidatus영어 나노살리나" Narasingarao 등. 2012
* 속 "''Candidatus영어 나노살리니콜라" 수정. Narasingarao 등. 2012 ["나노살리나룸" (sic)]
참조
[1]
논문
De novo metagenomic assembly reveals abundant novel major lineage of Archaea in hypersaline microbial communities
2011
[2]
논문
New Abundant Microbial Groups in Aquatic Hypersaline Environments
2011-10-10
[3]
논문
Insights into the phylogeny and coding potential of microbial dark matter
2013-07-25
[4]
논문
Rooting the domain Archaea by phylogenomic analysis supports the foundation of the new kingdom Proteoarchaeota
[5]
논문
Multidomain ribosomal protein trees and the planctobacterial origin of neomura (Eukaryotes, archaebacteria)
[6]
논문
Extreme halophilic archaea derive from two distinct methanogen Class II lineages
https://hal.archives[...]
Elsevier
2018-04-21
[7]
논문
Metagenomic and lipid analyses reveal a diel cycle in a hypersaline microbial ecosystem
2015-04-28
[8]
논문
New Abundant Microbial Groups in Aquatic Hypersaline Environments
2011-10-31
[9]
논문
Metagenomic Insights into the Uncultured Diversity and Physiology of Microbes in Four Hypersaline Soda Lake Brines
2016-02-25
[10]
논문
Cell sorting analysis of geographically separated hypersaline environments
https://www.research[...]
2021-03-02
[11]
논문
Functional interactions of archaea, bacteria and viruses in a hypersaline endolithic community
https://doi.org/10.1[...]
2021-03-02
[12]
논문
Ultra-small microorganisms in the polyextreme conditions of the Dallol volcano, Northern Afar, Ethiopia
2019-05-27
[13]
웹사이트
Phylum "Candidatus Nanohaloarchaeota"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2011-11-17
[14]
웹사이트
Nanohaloarchaea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taxonomy database"
2011-06-05
[15]
웹사이트
GTDB release 09-RS220
https://gtdb.ecogeno[...]
2024-05-10
[16]
웹사이트
ar53_r220.sp_label
https://data.gtdb.ec[...]
2024-05-10
[17]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4-05-10
[18]
논문
Symbiosis between nanohaloarchaeon and haloarchaeon is based on utilization of different polysaccharides
2020
[19]
논문
De novo metagenomic assembly reveals abundant novel major lineage of Archaea in hypersaline microbial communities
2011
[20]
논문
New Abundant Microbial Groups in Aquatic Hypersaline Environments
2011-10-10
[21]
논문
Insights into the phylogeny and coding potential of microbial dark matter
2013-07-25
[22]
논문
Rooting the domain Archaea by phylogenomic analysis supports the foundation of the new kingdom Proteoarchaeota
[23]
논문
Multidomain ribosomal protein trees and the planctobacterial origin of neomura (Eukaryotes, archaebacteria)
[24]
논문
Extreme halophilic archaea derive from two distinct methanogen Class II lineages
https://hal.archives[...]
Elsevier
2018-04-21
[25]
논문
Metagenomic and lipid analyses reveal a diel cycle in a hypersaline microbial ecosystem
2015-04-28
[26]
논문
New Abundant Microbial Groups in Aquatic Hypersaline Environments
2011-10-31
[27]
논문
Metagenomic Insights into the Uncultured Diversity and Physiology of Microbes in Four Hypersaline Soda Lake Brines
2016-02-25
[28]
논문
Cell sorting analysis of geographically separated hypersaline environments
https://www.research[...]
2021-03-02
[29]
논문
Functional interactions of archaea, bacteria and viruses in a hypersaline endolithic community
https://doi.org/10.1[...]
2021-03-02
[30]
웹인용
Phylum "Candidatus Nanohaloarchaeota"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2011-11-17
[31]
웹인용
Nanohaloarchaea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taxonomy database"
2011-06-05
[32]
논문
Symbiosis between nanohaloarchaeon and haloarchaeon is based on utilization of different polysaccharides
2020
[33]
웹인용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1-12-06
[34]
웹인용
ar53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35]
웹인용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1-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