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로과학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로과학위성은 나로호 발사 실패로 소실된 과학기술위성 2호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대한민국 최초의 자체 개발 인공위성이다. 2011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주도로 개발이 시작되어, 2013년 1월 30일 나로호 3차 발사를 통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무게 약 100kg의 3축 안정 위성으로, 6개의 탑재체를 통해 레이저 반사경 배열, 우주 방사선 및 이온층 관측, 국산화 기술 검증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2013년 1월 30일 발사되었으나, 2014년 4월 통신 두절로 임무가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우주 개발 - 선저우 10호
    2013년 발사된 중국 유인 우주선 선저우 10호는 3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톈궁 1호와의 도킹, 우주 실험, 과학 활동, 최초의 우주 수업 등을 진행하며 중국 우주 프로그램 발전에 기여했다.
  • 2013년 우주 개발 - 창어 3호
    2013년 달의 폭풍의 바다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착륙선 창어 3호는 중국 최초로 달 착륙 및 탐사 로버를 성공적으로 운용하며 달 표면 조사, 우주 환경 감지, 월면 천체 관측 등 다양한 과학적 목표를 수행했고, 현재까지도 운용되며 달 탐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2013년 발사한 우주선 - 선저우 10호
    2013년 발사된 중국 유인 우주선 선저우 10호는 3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톈궁 1호와의 도킹, 우주 실험, 과학 활동, 최초의 우주 수업 등을 진행하며 중국 우주 프로그램 발전에 기여했다.
  • 2013년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2013년 1월 - 제19회 미국 배우 조합상
    제19회 미국 배우 조합상 영화 부문에서는 다니엘 데이 루이스, 제니퍼 로렌스 등이, TV 부문에서는 케빈 코스트너, 줄리앤 무어 등이 수상했으며, 앙상블 연기상은 영화 《아르고》와 드라마 《다운튼 애비》 등이, 공로상은 딕 밴 다이크가 수상했다.
  • 2013년 1월 - 제70회 골든 글로브상
    2013년 1월 13일에 열린 제70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 《아르고》와 《레 미제라블》, TV 프로그램 《홈랜드》와 《걸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문에서 우수작을 선정하여 시상했다.
나로과학위성
기본 정보
이름과학기술위성 2C호
다른 이름나로과학위성
위성 종류과학 기술 위성
목적기술 및 과학 연구
운영 기관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제작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위성 본체STSat-2A
프로그램STSat 프로그램
이전 임무STSat-2B
다음 임무STSat-3
COSPAR ID2013-003A
SATCAT39068
위성 제원
무게100kg
크기62 cm x 70 cm x 90 cm
전력160 와트
궤도 정보
궤도지구 중심 궤도
궤도 종류저궤도
근지점 고도301 km
원지점 고도1433 km
궤도 경사80.26°
궤도 주기102.14 분
주축gee
임무 관련 정보
발사 날짜2013년 1월 30일, 07:00:00 UTC
발사 로켓나로호 # 3
발사 장소나로 우주 센터
발사 계약자흐루니체프 / KARI
임무 기간계획: 1년
최종 임무 기간2013년 1월 30일 07:00:00 - 2019년 11월 13일
폐기 방식궤도 이탈
마지막 교신2014년 4월
궤도 이탈 날짜2019년 11월 13일
탑재 장비
탑재 장비 목록랑뮈어 탐침
레이저 재귀반사기 어레이 (LRA)
우주 방사선 영향 감시기 (SREM)
반작용 휠 어셈블리 (RWA)
IR 센서 (IRS)
펨토초 레이저 발진기 (FSO)

2. 개발

나로호의 1, 2차 발사 실패로 파괴되어 없어진 과학기술위성 2A호, 2B호를 대신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개발 기간은 1년이다. 기존 과학기술위성 2호 제작 가격 130억의 6분의 1 수준인 20억이 투입됐다.[10]

대한민국 연구진에 의해서 기존 과학기술위성 2호의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2011년 2월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개발이 추진되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대학교, 아이쓰리시스템이 참여하였다.[11]

무게는 약 100kg이고 크기는 76x102x116(cm)이다. 3개의 날개가 달리는 3축 안정 위성으로 만들어졌다.[11]

3. 탑재체

나로과학위성은 6개의 탑재체를 탑재하고 있다.

국제 레이저 추적 서비스(ILRS)를 구성하는 레이저 반사경 배열(LRA)은 위성 레이저 추적(SLR) 스테이션에서 센티미터 단위의 정확도로 위성을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5] 랑뮤어 탐침은 전자 온도, 전자 밀도, 그리고 플라즈마의 전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5] 우주 방사선 영향 감시 장치(SREM)는 근지구 우주 환경의 측정 및 모니터링에 사용될 것이다.[5]

또한, 새로운 우주 기술 검증을 위해 반작용 휠 어셈블리(RWA), IR 센서(IRS), 펨토초 레이저 발진기(FSO)가 탑재된다.[5]

4. 발사

2013년 1월 30일 07시 00분 00초(UTC)에 나로호 발사체의 세 번째 비행으로 발사되었으며, 러시아의 앙가라에서 파생된 1단과 한국의 2단으로 구성되었다.[6] 발사는 나로우주센터에서 이루어졌으며, 발사체는 인공위성을 301km x 1433km의 저궤도에 궤도 경사각 80.26°, 궤도 주기 102.14분으로 성공적으로 배치했다. 이번 발사는 2009년 STSat-2A와 2010년 STSat-2B 발사에 실패했던 나로호의 첫 번째 성공적인 비행이었다.[6]

5. 활동 및 임무 종료

나로과학위성은 근지점 고도 300km, 원지점 고도 1500km를 약 103분마다 한 바퀴씩 지구를 돌며 위성의 궤도 진입 확인 및 우주 공간 환경 탐사를 목적으로 2013년 1월 30일 발사에 성공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는 2014년 4월부터 나로과학위성과 통신이 두절되었으며 이 사실을 2014년 9월 23일 공표했다. 설계 수명인 1년은 채웠지만, 일반적인 과학위성들이 설계 수명보다 2~3배 이상 임무를 수행하는 것에 비해 수명이 짧아, 내구성이 떨어지는 부품 사용이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12]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launch STSat-2C via KSLV-1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13-01-30
[2] 웹사이트 STSat 2C Satellite details 2013-003A NORAD 39068 http://www.n2yo.com/[...] N2YO.com 2019-11-18
[3] 웹사이트 STSat 2C Satellite details 2013-003A NORAD 39068 http://www.n2yo.com/[...] N2YO.com 2013-10-31
[4] 웹사이트 STSAT-2C http://space.skyrock[...] 2013-01-30
[5] 웹사이트 Display: STSat 2C 2013-003A https://nssdc.gsfc.n[...] NASA 2021-02-10
[6] 웹사이트 KSLV-1 launch vehicle http://www.russiansp[...] RussianSpaceWeb.com 2013-01-30
[7] 웹사이트 South Korea launch STSAT-2C via KSLV-1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13-01-30
[8] 뉴스 나로과학위성 STSAT-2C는 무엇?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3-01-30
[9] 뉴스 'Naro satellite dead since April'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14-09-23
[10] 뉴스 ‘굿바이 나로과학위성’ 나로호 탑재체, 4월 우주 미아 됐다 http://www.dongascie[...] 2014-09-23
[11] 뉴스 나로호, 나로과학위성 STSAT-2C는 무엇 https://news.naver.c[...] 2013-01-30
[12] 뉴스 나로과학위성 '14개월 만에' 우주 미아…내구성 저하 부품 사용 원인? http://www.etoday.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