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오미 나리 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오미 나리 남은 1985년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태어난 한국계 미국인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1997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노비스 여자 부문에서 우승하고, 1999년 시니어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페어 스케이팅으로 전향하여 테미 레프테리스와 함께 2006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08년 엉덩이 부상으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토냐 하딩
토냐 하딩은 미국의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고 1991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1994년 낸시 케리건 폭행 사건에 연루되어 선수 자격을 박탈당했다. - 미국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타라 리핀스키
타라 리핀스키는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과 199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미국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방송 해설가이다. - 캘리포니아주 출신 - 카멀라 해리스
카멀라 해리스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2021년부터 제49대 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과 상원의원을 거쳐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부통령,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시아계 미국인 부통령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캘리포니아주 출신 - 마이크 폼페이오
마이크 폼페이오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무장관과 CIA 국장을 역임했으며, 이전에는 캔자스주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공화당 내 강경 보수파이자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이다. - 한국계 미국인 - 안수산
안수산은 안창호와 이혜련의 장녀이자 미국 해군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장교 및 여성 포술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군에서 복무하고 종전 후 해군 정보국, 미국 의회도서관, 국가안보국 등에서 근무하며 인종 및 성차별을 극복하고 활약한 인물이다. - 한국계 미국인 - 존 유
존 유는 대한민국 서울 출신 미국 법학자이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법학대학원 교수로,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법무부에서 테러 용의자 고문 허용 등의 법률 해석을 주도하여 논란을 일으켰으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 교육과학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나오미 나리 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미국 |
출생일 | 1985년 7월 6일 |
출생지 |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
신장 | 1.53m |
은퇴 | 2008년 10월 10일 |
스케이팅 클럽 | 올 이어 FSC |
선수 정보 | |
이전 파트너 |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 |
이전 코치 | 피터 오페가드 캐런 콴-오페가드 존 닉스 |
이전 안무가 | 피터 오페가드 |
최고 기록 | |
총점 | 161.32 |
총점 기록일 | 2006 스케이트 아메리카 |
쇼트 프로그램 점수 | 57.32 |
쇼트 프로그램 점수 기록일 | 2006 스케이트 아메리카 |
프리 스케이팅 점수 | 104.00 |
프리 스케이팅 점수 기록일 | 2006 스케이트 아메리카 |
2. 개인사
나오미 나리 남은 1985년 7월 6일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태어났다. 한국계 미국인이며 한국어에 유창하다. 2010년 8월 2일 캘리포니아주 오렌지 카운티에서 타일러 푸어와 결혼했으며, 부부는 2011년 3월에 아들 에이든 재커리 푸어를, 2013년 4월 16일에는 딸 벨라 테이텀 푸어를 낳았다.
나오미 나리 남은 5세 때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1997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노비스 클래스에서 우승했고, 1999년에는 13세의 나이로 시니어 부문에서 미셸 콴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주목받았다. 그러나 이후 잦은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2005년 페어 스케이팅으로 전향하여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와 함께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3. 선수 경력
3. 1. 싱글 경력
나오미 나리 남은 1997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노비스 여자 부문에서 우승했고, 1998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주니어 부문에서 4위를 기록했다. 시니어 부문으로 올라온 뒤, 1999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미셸 콴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하며 주목받았다.[1] 이때 대한민국에서 후원을 받았고, 미국의 유명 토크쇼인 ''제이 레노의 투나잇 쇼''에 출연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9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는 나이 제한 규정 때문에 출전하지 못했다. 대신, 4위를 기록한 사라 휴즈가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메달 획득으로 면제를 받아 출전했다.
1999-2000 시즌, ISU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하여 캐나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지만, 일본에서는 7위에 그쳐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0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8위를 기록하며 2000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다.
2000년 7월부터 엉덩이에 건염 증상이 나타났고, 몇 달 후 트리플 러츠 점프 연습 중 성장판 골절 진단을 받았다. 회복 후 2001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지만, 대회 하루 전 엉덩이 통증이 재발하여 기권했다. 이후 엉덩이 관절 연골 파열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았다.
2003년 남서 태평양 지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퍼시픽 코스트 지역 선수권 대회에서 5위에 그치며 2004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진출에는 실패했다.
3. 2. 페어 경력
2005년 페어 스케이팅으로 전향한 남은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와 페어를 결성했다. 이 페어는 지역 대회와 퍼시픽 코스트 섹셔널에서 모두 우승한 후, 2006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다.
2006-07 시즌에 남과 레프테리스는 그랑프리 배정 대회인 2006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7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이나우에 레나 / 존 볼드윈과 브룩 카스틸 / 벤자민 오콜스키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하며 2007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6위를 기록했다.[1]
2007년 8월 24일, 남은 오른쪽 엉덩이 골극 제거 및 연골 손상 수술을 받았다. 8주 동안 목발을 짚었고, 10월 19일에 다시 빙판에 복귀했다. 그 결과 남/레프테리스는 그랑프리 배정 대회인 2007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07년 중국 컵에서 기권했다. 이후 2008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7위를 차지했고, 2008년 10월 10일 반복되는 엉덩이 부상을 이유로 은퇴를 발표했다.
남/레프테리스는 피터 오페가드와 카렌 콴-오페가드의 지도를 받았으며, 훈련 장소는 캘리포니아주 아테시아에 위치한 이스트웨스트 아이스 팰리스였다.
4. 주요 경기 결과
나오미 나리 남은 1999년 전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와 함께 출전한 2006년과 2007년 전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페어 부문에서는 각각 5위와 3위를 기록했다.[1]
연도 | 대회 | 종목 | 결과 |
---|---|---|---|
1999년 | 전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여자 싱글 | 2위 |
2006년 | 전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페어 | 5위 |
2007년 | 전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페어 | 3위 |
2008년 | 전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페어 | 7위 |
''GP: 그랑프리; JGP: 주니어 그랑프리''
4. 1. 페어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
''GP: 그랑프리''국제 대회 | |||
---|---|---|---|
종목 | 05–06 | 06–07 | 07–08 |
4대륙 선수권 | 6위 | ||
중국 컵 | 기권 | ||
스케이트 아메리카 | 3위 | 기권 | |
국내 대회 | |||
전미 선수권 | 5위 | 3위 | 7위 |
퍼시픽 코스트 | 1위 | ||
기권 = 기권 |
4. 2. 여자 싱글
나오미 나리 남은 1999년 전미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대회/연도 | 1997-98 | 1998-99 | 1999-00 | 2000-01 |
---|---|---|---|---|
전미 선수권 | 4위 | 2위 | 8위 | 기권 |
JGP 캐나다 | 2위 | |||
JGPSBC 컵 | 7위 |
1999-2000 시즌 | |||||
개최일 | 대회명 | 클래스 | SP | FS | 결과 |
---|---|---|---|---|---|
2000년 1월 6일-13일 |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클리블랜드) | 시니어 | 5 | 9 | 8 |
1999년 11월 19일-21일 | ISU 주니어 그랑프리 SBC배(나가노) | 주니어 | 10 | 6 | 7 |
1999년 9월 29일-10월 3일 | ISU 주니어 그랑프리 몬트리올(몬트리올) | 주니어 | 1 | 2 | 2 |
1998-1999 시즌 | |||||
개최일 | 대회명 | 클래스 | SP | FS | 결과 |
1999년 1월 7일-14일 |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솔트레이크 시티) | 시니어 | 4 | 2 | 2 |
1997-1998 시즌 | |||||
개최일 | 대회명 | 클래스 | SP | FS | 결과 |
1998년 1월 4일-11일 |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필라델피아) | 주니어 | 2 | 4 | 4 |
5. 프로그램
wikitext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갈라 |
---|---|---|---|
2007–08 | |||
2006–07 | |||
2000–01 | |||
1999–2000 | |||
1998–99 | |||
1997–98 |
5. 1.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와 함께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
2007–08 | ||
2006–07 |
국제 대회 | ||||||||
---|---|---|---|---|---|---|---|---|
대회 | 95–96 | 96–97 | 97–98 | 98–99 | 99–00 | 00–01 | 03–04 | |
캐나다 | 2위 | |||||||
일본 | 7위 | |||||||
국내 대회 | ||||||||
전미 선수권 대회 | 1위 N | 4위 J | 2위 | 8위 | WD | |||
주니어 올림픽 | 1위 V | 4위 I | ||||||
태평양 연안 | 1위 I | 1위 N | 1위 J | 1위 | 5위 | |||
남서 태평양 | 1위 V | 1위 I | 2위 N | 2위 J | 1위 | 1위 | ||
레벨: V = 유소년; I = 인터미디에이트; N = 노비스; J = 주니어 WD = 기권 |
5. 2. 싱글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스케이팅 | 갈라 |
---|---|---|---|
2000–01 | |||
1999–2000 | |||
1998–99 | |||
1997–98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