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월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월환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다. 1912년 전라남도 나주에서 출생하여, 일본 도쿄에서 유학하며 흑우연맹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중국으로 건너가 중앙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 헌병으로 활동했으며,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조직하여 대장으로 활동했다. 1942년 중국 산시성 시안에서 암살되었으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2014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그를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계 중국 군인 - 유진동
    유진동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상하이 동제대학 의과대학에서 한인학우회 활동을 하고 김구의 주치의를 맡았으며, 한국 광복군 군의처장과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2007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한국계 중국 군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김광협
    김광협은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한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되었으나, 김일성 주체사상 비판으로 숙청된 인물이다.
  • 평양고등보통학교 동문 - 이태희 (1911년)
    이태희는 일제 강점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법조인으로 해방 후 검찰총장,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장 등을 역임했으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평양고등보통학교 동문 - 김창영 (1890년)
    김창영은 일제강점기 경찰 및 관료, 만주국 관리로서 항일 무장 세력 탄압과 귀순 공작에 참여하고 금산군수와 전라남도 참여관을 지냈으며, 광복 후 경성부부윤을 역임했으나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처벌받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나월환
기본 정보
씨명나월환
국어 표기나월환(羅月煥)
출생일1912년 10월 14일
사망일1942년 3월 1일
출생지전라남도 나주시
사망지시안
나월환
나월환
묘소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3묘역 40호
병역
소속국민혁명군
한국광복군
최종 계급상위 (중국군)
기타
암살한국광복군 제5지대 간부들에 의해 암살당함

2. 생애

1912년 10월 전라남도 나주시에서 태어나 1942년 3월 중국 시안에서 암살되기까지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인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세이조 중학교와 아오야마 학원을 다녔다. 이 시기 박열 의사와 면회하고 여러 유학생들과 교류하며 독립운동에 뜻을 품게 되었다.

이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앙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 헌병 장교로 복무했다. 1937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가 탈출한 뒤, 1939년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창설하여 본격적인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1941년 한국청년전지공작대가 한국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된 후에도 지대장으로서 항일 투쟁을 이끌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으며, 2014년 9월에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 의해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4]

2. 1. 초기 생애 (1912-1930)

1912년 10월 전라남도 나주시에서 출생하였다. 1924년 3월 인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2] 도쿄로 건너가 박기성과 함께 요츠야 초등학교 야간부 5·6학년 과정을 수료하고, 1년 후 세이조 중학교에 입학했다.[2] 아오야마 학원에 입학한 후, 수감 중이던 박열과 면회하고, 원심창, 송영운, 최학주, 유치진 등의 유학생과 교류하며 흑우연맹에 가입하였다.[2]

2. 2. 중국 망명과 군사 활동 (1930-1942)

1930년 상하이로 건너가 중국인 황소미의 소개로 중화민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제8기에 입학하였다.[2] 1933년 11월 졸업 후 헌병훈련소 갑급 학원대에 입대하였다. 남화한인청년연맹에 가입하여 중국군 헌병으로 활동하였고, 1936년 4월 22일에는 헌병 중위가 되었다.[3]

1937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본국으로 송환되던 중 칭다오에서 탈출하였다. 1939년 11월,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조직하고 대장이 되었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결성 직후 충칭을 떠나 산시성 시안으로 이동하여 후종난의 제34집단군과 연계하여 활동하였다. 1940년 2월, 중앙전시공작간부훈련단 제4단 한국청년반 대장을 맡았다. 1941년 1월, 한국청년전지공작대임시정부 한국광복군에 편입되면서 제5지대장 및 징모 제5분소 주임위원을 역임하였다.

2. 3. 암살과 사후 (1942-)

1942년 3월 중화민국 산시성 시안에서 암살되었다.[6]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2014년 9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나월환을 독립기념관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나월환(羅月煥) http://encykorea.aks[...] 2022-08-22
[2] 웹사이트 南京本校第八期歩兵第二大隊第四隊学員姓名籍貫表 http://www.hoplite.c[...] 2016-03-26
[3]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2029号 http://gpost.lib.ncc[...] 中華民国政府官職資料庫 2016-06-03
[4] 뉴스 独立記念館、9月の独立運動家に羅月煥先生を選定 http://www.munhwanew[...] 2015-12-08
[5] 웹인용 韓國光復軍 第五支隊長 羅月煥이 同隊 幹部들에 의하여 暗殺당하다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6] 뉴스 '9월의 독립운동가' 나월환 선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5-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