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낚싯바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낚싯바늘은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 온 낚시 도구로,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된다. 초기에는 뼈, 나무 등의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 크기로 제작된다. 낚싯바늘은 아이, 생크, 굽힘, 바브, 포인트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부분의 명칭과 기능에 따라 낚시의 효율성을 높인다. 낚싯바늘은 소매형, 둥근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며, 용도에 따라 미끼 바늘, 플라이 바늘, 루어 바늘 등으로 나뉜다. 낚싯바늘의 크기는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으며, 숫자가 커질수록 작아지거나 커지는 방식으로 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로 장비 - 작살
    작살은 뾰족한 촉을 가진 사냥 도구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고래잡이와 우주 탐사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
  • 어로 장비 - 잠수복
    잠수복은 수중 활동 시 체온 유지와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의류로, 네오프렌 소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보온성과 유연성은 네오프렌 두께, 소재, 봉제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낚싯바늘
일반 정보
다양한 낚싯바늘
다양한 낚싯바늘
용도물고기 잡기
관련 항목낚시, 어업
형태 및 재료
형태J자형
원형
트레블 (3갈래)
재료강철
탄소강
합금강
스테인리스강
기타 금속
구성 요소
바늘 끝 (Point)물고기를 꿰뚫는 부분
미늘 (Barb)물고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돌기
굽이 (Bend)바늘의 곡선 부분
자루 (Shank)바늘의 곧은 부분, 낚싯줄을 묶는 부분
바늘귀 (Eye)낚싯줄을 묶는 구멍
추가 정보
코팅부식 방지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코팅 처리 (예: 니켈, 주석, 금)
크기다양한 크기 존재 (바늘의 크기는 대상 어종과 낚시 방법에 따라 선택)
안전낚싯바늘은 날카로우므로 사용 및 보관 시 주의 필요

2. 역사

낚싯바늘은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도구이다. 낚싯바늘 또는 이와 유사한 낚시 도구는 인류가 수천 년 동안 만들어 사용해 왔다.

일반적인 낚시 방법은 낚싯줄 끝에 낚싯바늘을 묶고 미끼를 꽂아 물속에 던지는 것이다. 물고기가 미끼를 물면 미끼 속의 바늘이 튀어나와 물고기의 입에 걸리게 된다. 이때 낚싯줄을 당기는 동작을 "챔질"이라고 한다.

옛날에는 사슴 등을 사용하여 낚싯바늘을 제작했다. 현재는 탄소봉에 금속을 스며들게 하고, 담금질 등의 과정을 거쳐 낚싯바늘을 만든다.

일본 열도구석기 시대 유적에서는 낚싯바늘이 출토되지 않아 낚시나 그물 어업은 확인되지 않고, 야스작살을 이용한 자릿어업이 주를 이루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조몬 시대에는 연안부나 호수가 있던 내륙부 유적에서 낚싯바늘, 작살, 어망 등의 어구가 출토되어 어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사슴의 등을 사용한 낚싯바늘이 출토되었다. 『고지키』의 해의 신과 산의 신 이야기에는 산의 신이 낚싯바늘을 빌리는 이야기가 등장한다.

구마모토현기쿠치시나나조정의 오노자키 유적에서는 야요이 시대의 토기와 함께 2개의 쇠로 만든 낚싯바늘이 출토되었다.[17]

오키나와현난조시의 사키타리 동굴 유적에서는 구석기 시대(약 2만 3천 년 전)의 조개 껍질로 만든 낚싯바늘이 발견되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준의 낚싯바늘이다.[18] 1.4cm 크기로, 소라 껍데기 밑면을 쪼개 초승달 모양으로 만든 뒤 갈아서 끝을 뾰족하게 다듬었다.

2. 1. 재료의 변천

원시 시대의 돌과 청동 협곡


캘리포니아에서 발견된 아메리카 원주민 조개 낚싯바늘. 오클랜드 박물관


낚싯바늘 또는 이와 유사한 낚시 도구는 인류가 수천 년 동안 만들어 사용해 왔다. 가장 초기의 선사 시대 낚시 도구는 ''''고르지''''(gorge)라고 불렸는데, 이는 중간에 가는 밧줄이 묶인 양쪽이 뾰족한 막대기였다. 낚시할 때 고르지는 낚싯줄과 평행하게 놓이고 미끼 덩어리 안에 묻혀 물고기가 쉽게 삼킬 수 있게 했다.[2]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낚싯바늘(바다 고둥 껍질로 제작)은 일본 오키나와섬의 사키타리 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 22,380년에서 22,770년 전으로 추정된다.[4][5] 이는 동티모르의 제리마라이 동굴에서 발견된 23,000년에서 16,000년 전의 낚싯바늘보다 오래되었으며, 파푸아뉴기니의 뉴아일랜드에서도 20,000년에서 18,000년 전의 낚싯바늘이 발견되었다.[4]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초기의 낚싯바늘은 약 11,000년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멕시코 서해안의 세드로스섬에서 보고되었다. 이 낚싯바늘은 조개껍질로 만들어졌다.[7]

낚싯바늘은 나무, 동물[9] 및 사람의 뼈, 뿔, 조개껍질, 돌, 청동, 철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많은 경우, 각 재료의 강점과 긍정적인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 여러 재료로 낚싯바늘을 제작했다. 노르웨이에서는 1950년대까지 노간주나무를 사용하여 버봇 낚싯바늘을 만들었다.[10] 품질 좋은 강철 낚싯바늘은 17세기에 유럽에서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낚싯바늘 제작은 전문가의 일이 되었다.[10][11]

3. 구조

낚싯바늘은 그 모양과 이름이 매우 다양하다. 애버딘, 리머릭, 오셔그네시와 같이 역사적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고, 일반적인 용도나 훅의 물리적 특성을 따서 이름이 붙여지기도 한다. 제조업체들은 훅에 모델 번호를 부여하고, 그 용도와 특성을 설명하기도 한다. 훅 생크(자루)는 직선뿐만 아니라 다양한 곡선, 킹크(kinks), 벤드(bends), 오프셋(offsets)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모양은 바늘이 물고기 입에 더 잘 박히거나, 플라이(fly)를 모방하거나, 미끼를 더 잘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제조업체별 훅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이글 클로(Eagle Claw) 139: 스넬 바이트홀더, 오프셋, 다운 아이, 투 슬라이스, 미디엄 와이어
  • 레이저 샤프(Lazer Sharp) L2004EL: 써클 씨, 와이드 갭, 논-오프셋, 링드 아이, 라이트 와이어
  • 머스타드 모델(Mustad Model) 92155: 비크 바이트홀더 훅
  • 머스타드 모델(Mustad Model) 91715D: 오셔그네시 지그 훅, 90도 각도
  • TMC 모델 300: 스트리머 D/E, 6XL, 헤비 와이어, 단조, 브론즈
  • TMC 모델 200R: 님프 & 드라이 플라이 스트레이트 아이, 3XL, 스탠다드 와이어, 세미 드롭 포인트, 단조, 브론즈


죽은 미끼나 인조 미끼를 사용하는 훅은 미끼를 더 잘 잡기 위해 생크에 슬라이스(slice)를 넣어 바브(barb, 가시)를 만들기도 한다. 지그 훅은 훅 생크에 납 추를 달아 사용한다. 훅 설명에는 생크 길이(표준, 엑스트라 롱, 2XL, 쇼트 등)와 와이어 크기(파인 와이어, 엑스트라 헤비, 2X 헤비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인 낚시 채비는 낚싯줄 끝에 낚싯바늘을 묶고 미끼를 꽂아 물속에 던지는 방식이다. 물고기가 미끼를 물면 미끼 속의 바늘이 튀어나와 물고기 입에 걸리게 된다. 이때 낚싯대를 가볍게 당겨 바늘이 더 잘 걸리도록 하는 것을 "챔질"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사슴 등을 깎아 낚싯바늘을 만들었지만, 현재는 탄소강에 금속을 침투시키고 담금질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3. 1. 각 부분의 명칭

낚싯바늘 각 부분의 명칭: (1)치모토, (4)가에시


낚싯바늘은 바늘 끝부터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구성된다.

  • '''바늘 끝''': 낚싯바늘의 가장 앞부분이다.
  • '''가에시'''(ja, ja, ja, en): 바늘 끝 반대 방향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이다. 미끼나 물고기가 낚싯바늘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하지만 낚싯바늘이 피부에 찔리면 가에시 때문에 빼기 어렵고 큰 상처가 날 수 있다. 이럴 때는 바늘 끝을 피부 반대쪽으로 뚫고 나와 바늘 끝을 잘라낸 뒤 빼는 것이 좋다. 가에시가 없는 바늘은 '''스레'''라고 부르며, 스레바늘이라고 한다.
  • '''선 굽힘'''(선 허리): 바늘 끝쪽의 굽어진 부분이다.
  • '''허리 굽힘'''(허리): 치모토 쪽의 굽어진 부분이다.
  • '''몸통'''(축): 바늘의 굽어진 중앙 부분부터 치모토 끝까지의 부분이다. 몸통 안쪽은 배, 바깥쪽은 등이라고 한다. 몸통 길이는 '몸통 길이'(축장)라고 하며, 바늘 끝과 몸통 사이의 폭은 '후토코로'라고 한다. (후토코로는 바늘의 굽어진 안쪽 부분을 가리키기도 한다.)
  • '''치모토''': 낚싯줄의 하리스(낚싯바늘에 묶는 줄)를 묶는 부분이다. T자형 솟대나 고리 모양의 관 부착(아이) 등 여러 형태가 있다.

3. 2. 스레바늘 (Barbless Hook)

스레바늘은 가에시(Barb)가 없는 낚싯바늘을 말한다. 꽂히는 감이 좋고, 캐치 앤 릴리스 시 물고기에게 주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붕어낚시나 원양 가다랑어 외줄 낚시 등에 사용된다.

바늘 없는 낚시 바늘(위)과 바늘 있는 낚시 바늘(아래)

3. 3. 훅의 종류 (결합 형태)

낚싯바늘은 하나의 고리, 생크(자루), 바늘 끝으로 디자인된 싱글 훅, 두 개의 생크와 바늘 끝이 하나의 고리로 합쳐진 더블 훅, 세 개의 생크와 바늘 끝이 하나의 고리로 합쳐진 트리플 훅(트레블)으로 나뉜다. 더블 훅은 한 조각의 철사로 만들어지며, 강도를 위해 생크가 접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트리플 훅은 눈이 없는 싱글 훅을 더블 훅에 추가하고 세 개의 생크를 모두 접합하여 형성된다.

더블 훅은 일부 인조 미끼와 대서양 연어 플라이용으로 사용되지만, 흔하지는 않다. 반면 트리플 훅은 모든 종류의 인조 미끼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끼 낚시에 사용된다. --

J자 형태의 바늘을 여러 개 등 맞대어 붙인 형태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싱글 훅: J자 형태 바늘 1개
  • 더블 훅: J자 형태 바늘 2개
  • 트리플 훅(트레블): J자 형태 바늘 3개


이러한 바늘은 대부분 미끼를 달지 않고, 은어 견지낚시처럼 물고기를 걸어 잡는 낚시에 사용된다.

4. 종류

낚싯바늘은 형태, 크기,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낚싯바늘 또는 이와 유사한 낚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해 왔다. 가장 초기의 낚시 도구는 '고르지(gorge)'라고 불리는 양쪽이 뾰족한 막대기 형태였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낚싯바늘은 오키나와섬의 사키타리 동굴에서 발견된 것으로, 22,380년에서 22,77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4][5]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초기의 낚싯바늘은 약 11,000년 전 멕시코 서해안의 세드로스섬에서 발견되었으며, 조개껍질로 만들어졌다.[7]

초기에는 나무, 동물[9] 및 사람의 뼈, 뿔, 조개껍질, 돌 등을 이용해 낚싯바늘을 만들었다. 이후 청동, 철 등의 재료가 사용되었고, 17세기에는 유럽에서 강철 낚싯바늘이 등장하기 시작했다.[10][11]

낚싯바늘의 부분 명칭은 다음과 같다.


  • '''아이'''(eye): 낚싯줄을 매듭으로 연결하는 고리
  • '''생크'''(shank): 낚싯줄에서 바늘 굽힘 부분으로 힘을 전달하는 곧은 부분
  • '''굽힘'''(bend): 바늘이 생크에서 뒤로 굽어지는 부분
  • '''바브'''(barb): 바늘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방향 스파이크
  • '''포인트'''(point): 물고기를 꿰뚫는 날카로운 끝


바늘 끝과 굽힘 사이의 수직 거리는 '''물림''', 포인트와 생크 사이의 열린 부분의 너비를 '''간격''' 또는 '''입'''이라고 한다.

4. 1. 형태에 따른 분류

낚싯바늘은 그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된다.

; 소매형

: 기모노 소매 모양을 하고 있다. 입이 작은 물고기나 작은 미끼를 사용하는 낚시에 적합하며, 특히 민물 낚시에서 많이 사용된다. 바늘 끝이 날카롭고 모양이 긴 '''산천어 바늘'''은 주로 계류 낚시에 쓰인다.

; 둥근형

: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물고기가 빨아들이기 쉬운 형태이다. '''붕어 바늘'''은 둥근형의 대표적인 예로, 붕어 낚시에 주로 사용된다. 떡밥 등을 달기 쉬워 챔질이 용이하고, 힘이 분산되어 강도가 높다.

; 각형

: 모양이 각져 있어 작은 미끼를 달기 쉽고, 물고기 입에 잘 걸린다. '''새우 바늘'''이나 '''납자루 바늘'''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4. 2. 용도에 따른 분류 (영문판 참고)

낚싯바늘은 용도에 따라 크게 미끼 바늘, 플라이 바늘, 루어 바늘로 분류된다. 이 범주 안에는 모양, 재료, 팁, 미늘, 아이(eye) 유형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여러 종류의 바늘이 있으며, 이는 각각 특정한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섬세한 드라이 플라이 낚시용 바늘은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늘고 뾰족한 아이(eye)가 있는 가는 철사로 만든다. 반면, 칼라일(Carlisle)이나 애버딘(Aberdeen) 바늘과 같이 살아있는 미끼를 사용하는 낚시용 바늘은 미끼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가는 철사를 사용하지만, 무게보다는 미끼 보존이 중요하므로 아이(eye)가 뾰족하지 않다.

모든 종류의 낚싯바늘은 크기에 따라 32호(가장 작은 크기)부터 20/0호(가장 큰 크기)까지 다양한 범위로 제공된다.

미끼 바늘의 모양과 이름은 다음과 같다:

  • 살몬 에그(Salmon Egg)
  • 부리(Beak)
  • 오쇼네시(O'Shaughnessy)
  • 미끼 고정(Baitholder)
  • 상어 바늘(Shark Hook)
  • 애버딘(Aberdeen)
  • 칼라일(Carlisle)
  • 잉어 바늘(Carp Hook)
  • 참치 서클(Tuna Circle)
  • 오프셋 웜(Offset Worm)
  • 서클 후크(Circle Hook)
  • 자살 바늘
  • 롱 섕크(Long Shank)
  • 숏 섕크(Short Shank)
  • J 후크(J Hook)
  • 문어 바늘(Octopus Hook)
  • 빅 게임 조부(Big Game Jobu) 후크


플라이 훅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스프롯
  • 스넥
  • 리머릭
  • 켄달
  • 바이킹
  • 캡틴 해밀턴
  • 바일릿
  • 스위밍 님프
  • 벤드 백
  • 모델 퍼펙트
  • 킹크 생크


(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직선형 아이가 있는 표준 J-훅, 아래로 향한 (바깥쪽으로 각진) 아이가 있는 써클 훅, 그리고 스페이드 엔드가 있는 아이가 없는 일본 ''텐카라'' 훅


thumb

훅의 '''아이(eye)'''는 훅의 앞쪽 끝부분에 있는 고리/루프 형태로, 낚싯줄(보통 목줄)을 매듭으로 묶기 위해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훅 아이의 디자인은 강도, 무게, 또는 낚싯바늘 표현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일반적인 아이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링 아이''' 또는 '''볼 아이''': 둥근 루프 형태로, 루프 끝과 베이스 사이에 좁게 겹쳐진 간격이 있는 경우가 많다.
  • '''브레이즈 아이''': 링 아이와 유사하지만, 루프 끝이 완전히 용접되어 닫혀 있다.
  • '''테이퍼드 아이''': 링 아이와 유사하지만, 뾰족한 루프 끝을 가진다.
  • '''루프 아이''': 루프 끝이 연장되어 훅 생크와 평행하게 놓인다.
  • '''니들 아이''': 아이 구멍이 타원형이거나 좁은 틈새 형태이다.[12]

5. 낚싯바늘 크기

낚싯바늘의 크기는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번호로 표시되는 시스템을 사용한다. 작은 바늘은 1, 2, 3...과 같이 숫자가 커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큰 바늘은 1/0 ("원 노트"라고 읽음), 2/0, 3/0...과 같이 숫자가 커질수록 크기가 커진다. 이러한 번호는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며, 대개 갭(바늘 끝에서 생크까지의 거리)과 관련이 있다. 사용 가능한 가장 작은 크기는 32이고 가장 큰 크기는 20/0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o. 19: The Fish Hook https://archive.toda[...] 2005-08-05
[2] 웹사이트 Fishing - Early histor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09-01
[3] 웹사이트 Survival Fishing: How to Make a Gorge Hook https://www.fieldand[...] Field and Stream 2016-07-28
[4] 뉴스 World's oldest fish hook found on Okinawa https://www.science.[...] Science 2016-09-16
[5] 뉴스 World's oldest fish hooks found in Japanese island cave https://www.bbc.co.u[...] 2016-09-18
[6] 간행물 Pelagic Fishing at 42,000 Years Before the Present and the Maritime Skills of Modern Humans 2011-11-25
[7] 간행물 The Earliest Shell Fishhooks from the Americas Reveal Fishing Technology of Pleistocene Maritime Foragers
[8] 서적 Contemporary Issues in California Archaeology 2012
[9] 웹사이트 Morro Creek http://www.megalithi[...] 2008
[10] 웹사이트 Mustad - Defining fishing hooks since 1877 https://web.archive.[...]
[11] 기관 The Bridgeman Art Library
[12] 웹사이트 Fishing Hooks 101: Parts, Sizes, Types, and More https://fishingbooke[...] Fishing Booker blog 2021-09-15
[13] 뉴스 2万3千年前、世界最古級の釣り針…沖縄で発見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6-09-20
[14] 웹사이트 Morro Creek http://www.megalithi[...] 2008
[15] 웹사이트 Mustad Hook History http://www.mustad.no[...]
[16] 웹사이트 兵庫県釣針協同組合公式サイト http://www.hyoturi.o[...]
[17] 웹사이트 小野崎遺跡 https://sitereports.[...]
[18] 뉴스 読売新聞 2016年9月20日 36面掲載。 読売新聞 2016-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