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날개줄고기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개줄고기과는 1839년 윌리엄 존 스웨인슨에 의해 처음 제안된 쏨뱅이목의 물고기 과이다. 꼬치고기아목에 속하며, 농어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8개의 아과와 여러 속으로 나뉘며, 둑중개과에 속했던 많은 분류군들이 재분류되어 둑중개과는 민물 둑중개로 제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9년 기재된 분류군 - 가시횟대속
    가시횟대속은 1839년 스웨인슨이 제안한 꼼치과 어류 속으로, 머리에 비늘이 없고 전새개골 가시가 있는 특징을 가지며 북극가시횟대, 가시횟대, 털가시횟대 등 7종을 포함한다.
날개줄고기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날개줄고기 (Aspidophoroides monopterygius)
날개줄고기 (Aspidophoroides monopterygius)
학명Agonidae
명명자Swainson, 1839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농어목
아목둑중개아목
하목둑중개하목
크기 정보
최대 크기42 cm
기타 정보
최소 크기7 cm
최대 수심1280 m
하위 분류본문 참조

2. 하위 분류

날개줄고기과(Agonidae)는 다음과 같은 아과와 속으로 나뉜다.[6][1][7]


  • Hemilepidontinae 조던 & 에버만, 1898
  • * ''Hemilepidotus'' 퀴비에, 1829
  • Hemitripterinae 길, 1856
  • * ''Blepsias'' 퀴비에, 1829
  • * ''Hemitripterus'' 퀴비에, 1829
  • * ''Nautichthys'' 지라르, 1858
  • Bothragoninae 린드베르그, 1971
  • * ''Bothragonus'' 길, 1883
  • Hypsagoninae 길, 1861
  • * ''Agonomalus'' 기슈노, 1866
  • * ''Hypsagonus'' 길, 1861
  • * ''Percis'' 스코폴리, 1777
  • Anoplagoninae 길, 1861
  • * ''Anoplagonus'' 길, 1861
  • * ''Aspidophoroides'' 라세페드, 1801
  • Brachyopsinae 조던 & 에버만, 1898
  • * ''Brachyopsis'' 길, 1861
  • * ''Chesnonia'' 아이레일 & 휘틀리, 1969
  • * ''Occella'' 조던 & 헙스, 1925
  • * ''Pallasina'' 크래머, 1895
  • * ''Stellerina'' 크래머, 1896
  • * ''Tilesina'' 슈미트, 1904
  • Agoninae 스웨인슨, 1839
  • * ''Agonopsis'' 길, 1861
  • * ''Agonus'' 블로흐 & 슈나이더, 1801
  • * ''Freemanichthys'' 가나야마, 1991
  • * ''Leptagonus'' 길, 1861
  • * ''Podothecus'' 길, 1861
  • * ''Sarritor'' 크래머, 1896
  • Bathyagoninae 린드베르그, 1971
  • * ''Bathyagonus'' 길버트, 1890
  • * ''Odontopyxis'' 록킹턴, 1880
  • * ''Xeneretmus'' 길버트, 1903


아래는 한국 연안에서 발견되는 종 목록이다.

갈키고기속 (Pallasina)갈키고기
꽃줄고기속 (Occella)꽃줄고기
네줄고기속 (Percis)네줄고기
민어치속 (Anoplagonus)민어치
잔줄고기속 (Brachyopsis)잔줄고기
흑줄고기속 (Tilesina)흑줄고기
Freemanichthys실줄고기
Leptagonus긴코줄고기
삼세기속 (Hemitripterus)삼세기
뿔줄고기속 (Hypsagonus)가시줄고기, 고양이줄고기, 곱추줄고기, 뿔줄고기
악어줄고기속 (Aspidophoroides)악어줄고기
줄고기속 (Podothecus)팔각줄고기, 날개줄고기, 말락줄고기, 왕눈줄고기


3. 계통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8][9]


도치과
꼼치과
조르다니아과
람포코투스과
얼룩삼세기과
날개줄고기과
둑중개과
물수배기과

참조

[1] 간행물
[2]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3]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mapress.com/[...]
[4]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5] 논문 Phylogeny and taxonomy of sculpins, sandfishes, and snailfishes (Perciformes: Cottoidei) with comments on the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their early-life-history specializations
[6]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2022-12-21
[7] 간행물 2022-12-21
[8] 간행물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http://currents.plos[...] 2013-04-18
[9]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3 http://www.deepfi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