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면 (여수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면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에 속하는 면으로, 7개의 법정리와 46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행정 구역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금오면으로 불리다가 1917년 남면으로 개칭되었다. 1998년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이 통합되면서 현재의 여수시 남면이 되었다. 남면은 11개의 유인도와 14개의 무인도를 포함하며, 주요 섬으로는 금오도, 안도, 연도, 화태도가 있다. 화태도에는 화태대교가 있어 육지와 연결되며, 여객선과 도선을 통해 다른 섬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수시의 행정 구역 - 시전동
시전동은 여수시에 위치하며 과거 여천시에 속했던 지역으로, 여천역과 여수공항과 가깝고 교육, 공공, 문화, 상업 시설 및 주거 단지와 선소유적지, 오충사, 신기공원, 장도 등의 문화재와 휴식 공간을 갖추고 있다. - 여수시의 행정 구역 - 쌍봉동
전라남도 여수시 중앙부에 위치한 쌍봉동은 여수시청, 주요 기관, 교통 시설이 위치한 여수시의 중심지이며, 과거 쌍봉면에서 유래하여 여천시로 승격되었다. - 1917년 설치 - 중앙동 (포항시)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중앙동은 1931년 천구정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통폐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교육 및 공공, 금융, 의료 기관이 위치하고 주요 도로망을 통해 교통이 연결된다. - 1917년 설치 - 남면 (홍천군)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한 남면은 고구려 시대 벌력천현에서 신라 경덕왕 때 화산현으로, 조선 시대 금물산면으로 변화를 거쳐 일제강점기인 1925년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양덕원터미널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이 운행되고 유치리는 '청춘불패' 촬영지로 알려진 11개 법정리로 구성된 지역이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남면 (여수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남면 |
| 로마자 표기 | Nam-myeon |
| 한글 | 남면 |
| 한자 | 남면 (南面) |
| 유형 | 읍/면 (myeon) |
| 지리 | |
| 국가 | 대한민국 |
| 도 | 전라남도 |
| 시 | 여수시 |
| 면적 | 42.34km2 |
| 행정 구역 | 9개 법정리, 24개 행정리 |
| 인구 | |
| 인구 (2015년) | 2885명 |
| 행정 | |
| 하위 행정 구역 수 | 9개 |
| 기타 | |
| 웹사이트 | 남면사무소 웹사이트 |
2. 연혁
신라 시대부터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남면의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변천을 겪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승평군 여산현에 속했던 남면은, 995년(고려 성종 14년) 해양도 승주군 해군절도사 돌산현, 1010년(고려 현종 9년) 나주목 승주군 돌산현, 1396년(조선 태조 5년) 순천부 전라좌수사 돌산포진, 1413년(조선 태종 13년) 전라도 순천도호부 돌산만호 등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남면에는 여러 사건이 있었다. 1860년 안도 대화재로 100여 호가 전소되었고, 1885년 금오도 봉산이 해제되고 집강이 설치되었으며 심포마을에 서당이 개설되었다. 1888년 횡간도에 관왕조|關王廟중국어가 설치되었고, 1895년 면제가 실시되었으며, 1896년 돌산군 및 금오도가 설치되었다. 1910년 소리도 등대가 설치되었고, 1917년 금오면이 남면으로 개칭되고 남면 사무소 수조병가가 신축되었다. 1918년 안도 경찰 주재소 설치, 금오도 민유지 해결 기념비가 설립되었으며, 1919년 남면에서 3.1 운동 시위가 발생하고 일본인 전용 학교인 안도 심상소학교가 설립되었다. 1921년 남면 사립보통학교, 1922년 안도 사립보통학교, 1924년 여남 공립 보통학교가 개설되었고, 같은 해 화태에서 김 인공양식에 성공하였다. 1932년 여수경찰서 안도지서, 1937년 장지에 남면 사설우체국(심장우편소)이 설립되었다. 1938년 여남수상소학교 개칭, 여수 화태수상소학교 설립, 여객선 쓰르마루 운항이 시작되었고, 1940년 계도사립수상소학교가 설립되었다. 1942년 여안공립보통학교가 개설되어 안도수상소학교와 합병, 여안 공립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1943년 여수화태공립국민학교로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1945년 안도의용소방대가 결성되고 여객선 쓰르마루가 폐지되었다. 1946년 남면지서(현 여남중학교 위치), 유송공립국민학교, 화태공립국민학교가 설립되고 여객선 동도호가 운항을 시작했다. 1949년 여남 우편국 개국, 여남공립국민학교 두포분교장, 유송공립국민학교 항금 분교장이 설립되었다. 1951년 여수화태국민학교 횡간분교장, 여남고등공민학교가 설립되었고, 1952년 초대 면의원 선거, 안도 우체국 개국, 여객선 동도호가 폐지되었다. 1953년 여객선 웅천호, 1956년 계도출장소 개설, 제2대 면의원 선거, 초대 면장 선거가 있었다. 1959년 여객선 웅천호가 폐지되었고, 1960년 여객선 조양호 운항, 남면사무소 석조 스레트 신축, 두포국민학교 승격, 여남국민학교 유포분교장과 장지분교장 설립, 제3대 면의원 선거, 제2대 면장 선거가 있었다. 1962년 여객선 창운호 운항, 항금국민학교가 승격되었고, 1963년 유포국민학교 승격, 여객선 조양호와 창운호가 폐지되었다. 1964년 여남고등공민학교 폐교, 여객선 장구호와 창영호 운항이 시작되었고, 1965년 여남중학교가 설립되었다. 1966년 안도우체국 계도분국 개설, 여수화태국민학교 소두분교장 설립, 남면지서가 이축(내외진 현 위치)되었다. 1967년 안도 화태출장소 개설, 여동국민학교 승격, 화태 경찰행정연락소가 설치되었고, 1968년 여수우체국 화태분국 개설, 향토예비군 남면 제1중대(남면 전역) 및 제2중대(안도, 계도) 창설, 소횡간도 경찰행정연락소 설치, 계도국민학교 역포분교장, 여수화태국민학교 나발분교장, 여동국민학교 소행간분교장, 여안국민학교 부도분교장 설립, 여객선 여1호 운항이 시작되었다. 1969년 남면 단위농협 설립, 여객선 장구호가 폐지되었고, 1972년 박재규선생 선덕불망비 재막, 남면 단위농협건물 신축, 횡간도 자가발전소 시설, 두포국민학교를 두모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1973년 향토예비군 남면 제3중대(유송) 창설, 화태국민학교로 개칭, 여객선 창영호가 폐지되었다. 1974년 여객선 산양호 운항, 여객선 창녕호 서편운항, 횡간 경찰행정연락소가 설치되었고, 1975년 남면 단위농협 계도분소 설치, 여객선 여1호가 폐지되었다. 1976년 남면 보건지소 설치, 부도 경찰행정연락소 설치, 여객선 신흥호 운항이 시작되었고, 1978년 향토예비군 남면 제5중대(화태,두라, 행간) 창설, 화태, 소두 경찰행정연락소 설치, 화태국민학교 나발분교장이 설치되었다. 1979년 여객선 강화호 운항이 시작되었고, 1980년 계도 보건지소 설치, 나발 경찰 출장소 설치, 향토예비군 남면중대(제1, 3중대 통합), 안도출장중대(제2중대), 화태출장중대(제5중대)로 개칭, 여객선 강화호가 폐지되었다. 1981년 여남우체국 이설, 안도 보건지소 설치, 여남중학교 계도분교 설립, 수항도, 대두라도 경찰 출장소 설치,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 여객선 경주호 운항이 시작되었다. 1982년 남면일주도로 개설(장지), 안도고등공민학교 폐교, 두라국민학교 승격 및 소두분교로 변경, 화태국민학교 여동분교 격하되었고, 1983년 여남중학교 화태분교 설립, 계도고등공민학교 폐교, 안도우체국이 신축되었다. 1984년 여남고등학교 설립, 여남중학교 안도분교 설립, 유송국민학교 항금분교장 격하, 화태보건진료소 설치, 안도보건진료소 격하되었고, 1985년 금오도 개척 백주년 기념 행사 및 기념비 제막, 진명 조남선 선생 영덕비 제막(여남고등학교), 남면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2층 신축, 송고보건진료소가 설치되었다. 1988년 두라, 행간 보건진료소 설치, 화태국민학교 두라분교가 격하되었고, 1990년 우학~두모간 도로 군도로 승격, 여남국민학교 유송분교, 항금분교 격하, 화태국민학교 여동분교 격하, 여동국민학교 소횡간분교가 폐교되었다. 1991년 여남국민학교 유포분교장 격하, 화태국민학교 두라분교장 격하 및 소두분교장으로 변경되었고, 1992년 여남국민학교 두모분교장 격하, 화태국민학교 소두분교장이 폐교되었다. 1994년 안도 출장소신축, 여안국민학교 부도분교장, 화태국민학교 나발분교장이 폐교되었고, 1998년 4월 1일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 통합으로 여수시 남면으로 개칭되었다.
2. 1. 신라 시대 - 조선 초기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 승평군 여산현에 속했다.
- 995년 (고려 성종 14년) : 해양도 승주군 해군절도사 돌산현에 속했다.
- 1010년 (고려 현종 9년) : 나주목 승주군 돌산현에 속했다.
- 1396년 (조선 태조 5년) : 순천부 전라좌수사 돌산포진에 속했다.
- 1413년 (조선 태종 13년) : 전라도 순천도호부 돌산만호에 속했다.
2. 2. 조선 후기 - 일제강점기
1888년에 횡간도에 관왕조|關王廟중국어가 설치되었다.[1] 1895년에는 면제가 실시되었다.[1] 1896년에는 돌산군 및 금오도가 설치되었다.[1]1910년에는 소리도 등대가 설치되었다.[1] 1917년에는 금오면이 남면으로 개칭되었고, 남면 사무소 수조병가가 신축되었다.[1] 1918년에는 안도 경찰 주재소가 설치되었고, 금오도 민유지 해결 기념비가 설립되었다.[1]
1919년, 남면에서 3.1 운동 시위가 발생했다.[1] 같은 해, 일본인 전용 학교인 안도 심상소학교가 설립되었다.[1] 1921년에는 남면 사립보통학교가, 1922년에는 안도 사립보통학교가 설립되었다.[1] 1924년에는 여남 공립 보통학교가 개설되었고, 화태에서 김 인공양식에 성공하였다.[1]
1932년에는 여수경찰서 안도지서가 설치되었다.[1] 1937년에는 장지에 남면 사설우체국(심장우편소)이 설립되었다.[1] 1938년에는 여남수상소학교가 개칭되었고, 여수 화태수상소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여객선 쓰르마루가 운항을 시작했다.[1] 1940년에는 계도사립수상소학교가 설립되었다.[1]
1942년에는 여안공립보통학교가 개설되어 안도수상소학교와 합병되었고, 여안 공립국민학교로 개칭되었다.[1] 1943년에는 여수화태공립국민학교로 개칭되었다.[1]
다음은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남면(여수시)의 주요 사건을 정리한 표이다.
| 연도 | 사건 |
|---|---|
| 1860년 | 안도 대화재(무신 대화재)로 100여 호 전소 |
| 1885년 | 금오도 봉산 해제, 집강 설치, 심포마을에 서당 개설 |
| 1888년 | 횡간도 관왕조 설치 |
| 1895년 | 면제 실시 |
| 1896년 | 돌산군 및 금오도 설치 |
| 1910년 | 소리도 등대 설치 |
| 1917년 | 금오면 남면으로 개칭, 남면 사무소 수조병가 신축 |
| 1918년 | 안도 경찰 주재소 설치, 금오도 민유지 해결 기념비 설립 |
| 1919년 | 남면에서 3.1운동 시위 발생, 안도 심상소학교(일본인 전용 학교) 설립 |
| 1921년 | 남면 사립보통학교 설립 |
| 1922년 | 안도 사립보통학교 설립 |
| 1924년 | 여남 공립 보통학교 개설, 화태 김 인공양식 성공 |
| 1932년 | 여수경찰서 안도지서 설치 |
| 1937년 | 장지에 남면 사설우체국(심장우편소) 설립 |
| 1938년 | 여남수상소학교 개칭, 여수 화태수상소학교 설립, 여객선 쓰르마루 운항 |
| 1940년 | 계도사립수상소학교 설립 |
| 1942년 | 여안공립보통학교 개설, 안도수상소학교와 합방, 여안 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 1943년 | 여수화태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2. 3. 광복 이후 - 현재
- 1945년: 안도의용소방대 결성, 여객선 쓰르마루 폐지[1]
- 1946년: 남면지서 설치 (현 여남중학교 위치), 유송공립국민학교 설립, 화태공립국민학교 개설, 여객선 동도호 운항[1]
- 1949년: 여남 우편국 개국, 여남공립국민학교 두포분교장 설립, 유송공립국민학교 항금 분교장 설립[1]
- 1951년: 여수화태국민학교 횡간분교장 설립, 여남고등공민학교 설립[1]
- 1952년: 초대 면의원 선거, 안도 우체국 개국, 여객선 동도호 폐지[1]
- 1953년: 여객선 웅천호 운항[1]
- 1956년: 계도출장소 개설, 제2대 면의원 선거, 초대 면장 선거[1]
- 1959년: 여객선 웅천호 폐지[1]
- 1960년: 여객선 조양호 운항, 남면사무소 석조 스레트 신축, 두포국민학교 승격, 여남국민학교 유포분교장과 장지분교장 설립, 제3대 면의원 선거, 제2대 면장 선거[1]
- 1962년: 여객선 창운호 운항, 항금국민학교 승격[1]
- 1963년: 유포국민학교 승격, 여객선 조양호와 창운호 폐지[1]
- 1964년: 여남고등공민학교 폐교, 여객선 장구호와 창영호 운항[1]
- 1965년: 여남중학교 설립[1]
- 1966년: 안도우체국 계도분국 개설, 여수화태국민학교 소두분교장 설립, 남면지서 이축 (내외진 현 위치)[1]
- 1967년: 안도 화태출장소 개설, 여동국민학교 승격, 화태 경찰행정연락소 설치[1]
- 1968년: 여수우체국 화태분국 개설, 향토예비군 남면 제1중대 창설 (남면 전역), 향토예비군 남면 제2중대 창설(안도, 계도 제1중대에서 분리), 소횡간도 경찰행정연락소 설치, 계도국민학교 역포분교장 설립, 여수화태국민학교 나발분교장 설립, 여동국민학교 소행간분교장 설립, 여안국민학교 부도분교장 설립, 여객선 여1호 운항[1]
- 1969년: 남면 단위농협 설립, 여객선 장구호 폐지[1]
- 1972년: 박재규선생 선덕불망비 재막, 남면 단위농협건물 신축, 횡간도 자가발전소 시설, 두포국민학교를 두모국민학교로 개칭[1]
- 1973년: 향토예비군 남면 제3중대 창설(유송, 제1중대에서 분리), 화태국민학교로 개칭, 여객선 창영호 폐지[1]
- 1974년: 여객선 산양호 운항, 여객선 창녕호 서편운항, 횡간 경찰행정연락소 설치[1]
- 1975년: 남면 단위농협 계도분소 설치, 여객선 여1호 폐지[1]
- 1976년: 남면 보건지소 설치, 부도 경찰행정연락소 설치, 여객선 신흥호 운항[1]
- 1978년: 향토예비군 남면 제5중대 창설(화태,두라, 행간 제1중대에서 분리), 화태, 소두 경찰행정연락소 설치, 화태국민학교 나발분교장 설치[1]
- 1979년: 여객선 강화호 운항[1]
- 1980년: 계도 보건지소 설치, 나발 경찰 출장소 설치, 향토예비군 남면중대로 개칭(제1, 3중대 통합), 향토예비군 안도출장중대로 개칭(제2중대), 향토예비군 화태출장중대로 개칭(제5중대), 여객선 강화호 폐지[1]
- 1981년: 여남우체국 이설, 안도 보건지소 설치, 여남중학교 계도분교 설립, 수항도, 대두라도 경찰 출장소 설치,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 여객선 경주호 운항[1]
- 1982년: 남면일주도로 개설(장지), 안도고등공민학교 폐교, 두라국민학교 승격, 두라국민학교 소두분교로 변경, 화태국민학교 여동분교 격하[1]
- 1983년: 여남중학교 화태분교 설립, 계도고등공민학교 폐교, 안도우체국 신축[1]
- 1984년: 여남고등학교 설립, 여남중학교 안도분교 설립, 유송국민학교 항금분교장 격하, 화태보건진료소 설치, 안도보건진료소 격하[1]
- 1985년: 금오도 개척 백주년 기념 행사 및 기념비 제막, 진명 조남선 선생 영덕비 제막(여남고등학교), 남면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2층 신축, 송고보건진료소 설치[1]
- 1988년: 두라, 행간 보건진료소 설치, 화태국민학교 두라분교 격하[1]
- 1990년: 우학~두모간 도로 군도로 승격, 여남국민학교 유송분교, 항금분교 격하, 화태국민학교 여동분교 격하, 여동국민학교 소횡간분교 폐교[1]
- 1991년: 여남국민학교 유포분교장 격하, 화태국민학교 두라분교장 격하, 화태국민학교 소두분교장으로 변경[1]
- 1992년: 여남국민학교 두모분교장 격하, 화태국민학교 소두분교장 폐교[1]
- 1994년: 안도 출장소신축, 여안국민학교 부도분교장 폐교, 화태국민학교 나발분교장 폐교[1]
- 1998년 4월 1일: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 통합으로 여수시 남면으로 개칭[1]
3. 행정 구역
남면은 7개의 법정리와 24개의 행정리, 46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2]
3. 1. 법정리 및 행정리
| 법정리 | 행정리 | 자연마을 |
|---|---|---|
| 두라리(斗羅里) | 나발리(羅發) | 나발도(羅發島), 소두라도(小斗羅島) |
| 대두리(大斗) | 대두(大斗) | |
| 봉통리(峰桶) | 벌통구미(峰通), 선창(船艙) | |
| 두모리(斗母里) | 두포리(斗浦) | 두포(斗浦), 가는고지, 굴등, 분무골, 양지포 |
| 모하리(母賀) | 모하(母賀), 조피동(鳥皮洞), 늦은목, 연화동, 어드미 | |
| 직포리(織浦) | 보대(織浦), 쌔받꼴창(쌔앗골) | |
| 심장리(心張里) | 미포리(尾浦) | 망끄미(尾浦), 사발개 |
| 심포리(深浦) | 짚은개(深浦), 막개(莫浦) | |
| 장지리(張芝) | 진작지, 숮구지, 작은우실개(小牛室浦) | |
| 안도리(安島里) | 안도리(安島) | 안도(安島), 이야포(以也浦), 상산동(上山洞), 오지암, 동고지(東古地) |
| 서고지리(西古地) | 서고지(西古地), 가마도(釜島) | |
| 연도리(鳶島里) | 연도리(鳶島) | 연도(鳶島), 서랑(西部), 까랑포(南部), 북랑(北部), 떡포(德浦) |
| 역포리(力浦) | 역포(力浦) | |
| 우학리(牛鶴里) | 내외진리(內外珍) | 안진개, 안골, 웃동네, 밧진개 |
| 우실리(牛室) | 우실개, 건바구(黑岩洞), 찬물내기(伶水洞) | |
| 학동리(鶴洞) | 학동(鶴洞), 작은머리개, 큰머리개, 못동 | |
| 유송리(柳松里) | 대유리(大柳) | 큰버들개(大柳) |
| 소유리(小柳) | 작은버들개(小柳), 연목 | |
| 송고리(松高) | 솔고지(松高), 관철수, 외건바구 | |
| 여천리(汝泉) | 여천구미(汝泉) | |
| 함구미리(含九味) | 함구미(含九味), 용머리(龍頭) | |
| 화태리(禾太里) | 월전리(月田) | 달밭구미(月田) |
| 화태리(禾太) | 화태(禾太), 마족, 독쟁이, 뻘끄미, 괴머리 | |
| 횡간리(橫干里) | 횡간리(橫干), 빗가니(橫刊), 작은빗가니(小橫干) |
4. 부속 도서
4. 1. 유인도
| 이름 | 위치 | 면적(km2) | 비고 |
|---|---|---|---|
| 금오도 | 남면 두모리, 심장리, 우학리, 유송리 | 27.481 | |
| 나발도 | 남면 두라리 | 0.115 | |
| 대두라도 | 남면 두라리 | 1.013 | |
| 대부도 | 남면 안도리 | 0.159 | |
| 대횡간도 | 남면 횡간리 | 0.344 | |
| 소두라도 | 남면 두라리 | 0.158 | |
| 소횡간도 | 남면 횡간리 | 0.076 | |
| 수항도 | 남면 유송리 | 0.054 | |
| 안도 | 남면 안도리 | 3.956 | |
| 연도 | 남면 연도리 | 6.813 | |
| 화태도 | 남면 화태리 | 2.171 |
4. 2. 무인도
| 이름 | 위치 | 면적(m2) | 비고 |
|---|---|---|---|
| 검등여 (검둥여) | 남면 연도리 산602 | 3268m2 | 국유지 |
| 구몽여 | 남면 안도리 산403 | 2153m2 | 국유지 |
| 기름여 | 남면 연도리 산605 | 764m2 | 국유지 |
| 납작도 | 남면 연도리 산603 | 471m2 | 국유지 |
| 대가리여 | 남면 유송리 산339 | 1035m2 | 국유지 |
| 대구몽암 | 남면 심장리 산291 | 1013m2 | 국유지 |
| 대배다도 (배다여) | 남면 안도리 산401 | 10226m2 | 국유지 |
| 돔담여 (돔당여) | 남면 연도리 산606 | 452m2 | 국유지 |
| 몽여 | 남면 횡간리 산2 | 1411m2 | 국유지 |
| 소가리여 | 남면 유송리 산338 | 637m2 | 국유지 |
| 소배다도 (소배다여) | 남면 안도리 산402 | 5198m2 | 국유지 |
| 소알마도 | 남면 연도리 산604 | 4584m2 | 국유지 |
| 작도 | 남면 연도리 산607 | 50766m2 | 국유지 |
| 형제도 | 남면 유송리 산341 | 6017m2 | 국유지 |
5. 교통
남면 북부에 있는 화태도에는 화태대교가 연결되어 국도 제77호선이 지나간다. 하지만, 화태도에서 대두라도, 금오도 사이의 해협에는 아직 교량 건설 계획이 없다.[2]
참조
[1]
웹사이트
일반현황 | 읍면동-남면
http://dong.yeosu.go[...]
2015-12-16
[2]
웹사이트
여수시 남면 소개
http://nam.yeosu.go.[...]
2011-08-22
[3]
웹사이트
해양수산부 연안포털 - 무인도서 관리
http://www.coast.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