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의 최고 사령관이다. 대통령은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에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고 연임은 2번으로 제한된다. 대통령은 헌법에 따라 다양한 권한을 가지며, 법률 제정, 외교, 국방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한다. 아파르트헤이트 시기에는 국민당 소속 대통령이, 이후에는 아프리카 민족 회의 소속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2. 역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직은 여러 단계를 거쳐 변화해왔다. 나탈희망봉 영국 식민지의 행정 수반은 총독에게 위임되었고, 트란스발과 오렌지 자유국의 보어 공화국 대통령에게도 위임되었다. 남아프리카 전쟁 이후 베레니깅 조약으로 주권이 교체되면서, 1910년 5월 31일 영국 군주를 명목상 국가 원수로 하는 남아프리카 연방이 수립되었고, 총독이 부왕으로서 이를 대리했다.

1960년 국민투표를 거쳐 1961년 5월 31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국가 원수 직이 창설되었다.[4] 이 직책은 초기에는 의전상의 직책이었으나, 1983년 헌법에 따라 총리 직이 폐지되고 그 권한이 국가 원수에게 이양되면서 1984년부터 행정상의 직책이 되었다.

대통령소속 정당임기재임 기간비고
1찰스 로버츠 스와트
찰스 로버츠 스와트/Charles Robberts Swartaf
국민당1961년 5월 31일
- 1967년 5월 31일
테오필러스 에벤하저 된게스
테오필러스 에벤하에젤 덩게스/Theophilus Ebenhaezer Döngesaf
국민당rowspan="2" |--취임 전에 뇌출혈로 의식 불명이 되어 직무 불능 상태가 되었고, 다음 해 사망하였다.
요주아 프랑수아 나우데
조슈아 프랑수아 노데/Jozua François Naudéaf
국민당1967년 6월 1일
- 1968년 4월 10일
대통령 권한대행
(상원의장)
2야코부스 요하네스 포우체
야코부스 요하네스 푸셰/Jacobus Johannes Fouchéaf
국민당rowspan="2" |1968년 4월 10일
- 1975년 4월 9일
요한 데 클레르크
요하네스 데 클레르크/Johannes de Klerkaf
국민당1975년 4월 9일
- 1975년 4월 19일
대통령 권한대행
(상원의장)
3니콜라스 요하너스 디데리흐스
니콜라스 요하네스 디데리히스/Nicolaas Johannes Diederichsaf
국민당rowspan="2" |1975년 4월 19일
- 1978년 8월 21일
재임 중 사망
마라이스 필윤
마레이 빌요엔/Marais Viljoenaf
100px
국민당1978년 8월 21일
- 1978년 10월 10일
대통령 권한대행
(상원의장)
4발타자르 요하너스 포스터
발타자르 요하네스 포르스터/Balthazar Johannes Vorsteraf
국민당rowspan="2" |1978년 10월 10일
- 1979년 6월 4일
뮬더게이트 사건의 책임을 지고 임기 만료 전에 사임
마라이스 필윤
마레이 빌요엔/Marais Viljoenaf
국민당1979년 6월 4일
- 1979년 6월 19일
rowspan="2" |대통령 권한대행
(상원의장)
51979년 6월 19일
- 1984년 9월 3일
6피터르 빌럼 보타
피터 빌렘 보타/Pieter Willem Bothaaf
100px
국민당rowspan="5" |1984년 9월 3일
- 1984년 9월 14일
rowspan="2" |총리 겸임 (9월 14일 총리직 폐지)
1984년 9월 14일
- 1989년 1월 19일
뇌졸중으로 인한 요양으로 직무 불능
크리스 회니스
얀 크리스티안 헤우니스/Jan Christiaan Heunisaf
국민당1989년 1월 19일
- 1989년 3월 15일
대통령 권한대행
(헌법 개정 장관)
(6)피터 빌렘 보타
피터 빌렘 보타/Pieter Willem Bothaaf
국민당1989년 3월 15일
- 1989년 8월 15일
임기 만료 전에 사임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Frederik Willem de Klerkaf
국민당1989년 8월 15일
- 1989년 9월 20일
rowspan="2" |대통령 권한대행
(국가 교육 계획 장관)
71989년 9월 20일
- 1994년 5월 10일
총선거 조기 실시를 위해 임기 만료 전에 사임


2. 1.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직의 기원 (1910년 이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직은 여러 형태로 존재해왔으며, 오늘날 대통령직에도 이러한 직책의 여러 측면이 남아 있다. 나탈희망봉 영국 식민지의 행정 수반은 총독에게 위임되었다. 마찬가지로, 트란스발과 오렌지 자유국의 보어 공화국 대통령에게도 위임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주권 교체는 남아프리카 전쟁을 종결시킨 베레니깅 조약으로 절정에 달했다.[3]

2. 2. 남아프리카 연방 시대 (1910년 ~ 196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직은 여러 형태로 존재해왔으며, 오늘날 대통령직에도 이러한 직책의 여러 측면이 남아 있다. 나탈희망봉 영국 식민지의 행정 수반은 총독에게 위임되었고, 트란스발과 오렌지 자유국의 보어 공화국 대통령에게도 위임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주권 교체는 베레니깅 조약으로 절정에 달했고, 이는 남아프리카 전쟁을 종결시켰다.[3]

영국 자치령인 남아프리카 연방은 1910년 5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영국 군주가 명목상의 국가 원수였고, 부왕인 총독이 이를 대리했다.[3]

2. 3. 남아프리카 공화국 초기 대통령 (1961년 ~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직은 여러 형태로 존재해왔다. 나탈희망봉 영국 식민지의 행정 수반은 총독에게 위임되었고, 트란스발과 오렌지 자유국의 보어 공화국 대통령에게도 위임되었다. 남아프리카 전쟁 이후 베레니깅 조약으로 주권이 교체되면서, 1910년 5월 31일[3] 영국 군주를 명목상 국가 원수로 하는 남아프리카 연방이 수립되었고, 총독이 부왕으로서 이를 대리했다.

1960년 국민투표를 거쳐 1961년 5월 31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국가 원수 직이 창설되었다.[4] 이 직책은 초기에는 의전상의 직책이었으나, 1983년 헌법에 따라 총리 직이 폐지되고 그 권한이 국가 원수에게 이양되면서 1984년부터 행정상의 직책이 되었다.

대통령소속 정당임기재임 기간비고
1찰스 로버츠 스와트
찰스 로버츠 스와트/Charles Robberts Swartaf
25px
국민당
(NP)
11961년 5월 31일
- 1967년 5월 31일
테오필러스 에벤하에젤 덩게스
테오필러스 에벤하에젤 덩게스/Theophilus Ebenhaezer Döngesaf
국민당
(NP)
2--취임 전에 뇌출혈로 의식 불명이 되어 직무 불능 상태가 되었고, 다음 해 사망하였다.
조슈아 프랑수아 노데
조슈아 프랑수아 노데/Jozua François Naudéaf
국민당
(NP)
1967년 6월 1일
- 1968년 4월 10일
대통령 권한대행
(상원의장)
2야코부스 요하네스 푸셰
야코부스 요하네스 푸셰/Jacobus Johannes Fouchéaf
국민당
(NP)
31968년 4월 10일
- 1975년 4월 9일
요하네스 데 클레르크
요하네스 데 클레르크/Johannes de Klerkaf
국민당
(NP)
1975년 4월 9일
- 1975년 4월 19일
대통령 권한대행
(상원의장)
3니콜라스 요하네스 디데리히스
니콜라스 요하네스 디데리히스/Nicolaas Johannes Diederichsaf
국민당
(NP)
41975년 4월 19일
- 1978년 8월 21일
재임 중 사망
마레이 빌요엔
마레이 빌요엔/Marais Viljoenaf
국민당
(NP)
1978년 8월 21일
- 1978년 10월 10일
대통령 권한대행
(상원의장)
4발타자르 요하네스 포르스터
발타자르 요하네스 포르스터/Balthazar Johannes Vorsteraf
국민당
(NP)
51978년 10월 10일
- 1979년 6월 4일
뮬더게이트 사건의 책임을 지고 임기 만료 전에 사임
마레이 빌요엔
마레이 빌요엔/Marais Viljoenaf
국민당
(NP)
1979년 6월 4일
- 1979년 6월 19일
rowspan="2" |대통령 권한대행
(상원의장)
561979년 6월 19일
- 1984년 9월 3일
6피터 빌렘 보타
피터 빌렘 보타/Pieter Willem Bothaaf
국민당
(NP)
71984년 9월 3일
- 1984년 9월 14일
rowspan="2" |총리 겸임 (9월 14일 총리직 폐지)
1984년 9월 14일
- 1989년 1월 19일
뇌졸중으로 인한 요양으로 직무 불능
얀 크리스티안 헤우니스
얀 크리스티안 헤우니스/Jan Christiaan Heunisaf
100px
국민당
(NP)
1989년 1월 19일
- 1989년 3월 15일
대통령 권한대행
(헌법 개정 장관)
(6)피터 빌렘 보타
피터 빌렘 보타/Pieter Willem Bothaaf
국민당
(NP)
1989년 3월 15일
- 1989년 8월 15일
임기 만료 전에 사임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Frederik Willem de Klerkaf
국민당
(NP)
1989년 8월 15일
- 1989년 9월 20일
rowspan="2" |대통령 권한대행
(국가 교육 계획 장관)
781989년 9월 20일
- 1994년 5월 10일
총선거 조기 실시를 위해 임기 만료 전에 사임


2. 4.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이후의 대통령 (1994년 ~ 현재)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대통령을 선출하고 있다.

넬슨 만델라는 1994년 총선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아프리카 민족 회의 (ANC) 소속으로, 인종 차별 철폐와 사회 통합에 힘썼다. 그의 정부는 제도화된 인종 차별, 빈곤, 불평등을 해결하고 인종적 화해를 촉진하여 아파르트헤이트의 유산을 해체하는 데 주력했다. 넬슨 만델라는 1999년 6월 14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타보 음베키는 1999년 총선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2008년 9월 24일까지 재임했다.[11][12][13][14][15][16][17] 그는 아프리카 민족 회의 전국 집행 위원회의 소환에 따라 사임했다.[11][12][13][14][15][16][17]

칼레마 모틀란테타보 음베키의 사임 이후 2008년 대통령 선거를 통해 선출되어 2009년 5월 9일까지 재임했다.[18]

제이콥 주마는 2009년 총선을 통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2018년 2월 14일, 아프리카 민족 회의의 사임 요구에 따라 사임했다.

시릴 라마포사는 제이콥 주마의 사임 이후 2018년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6][27] 이후 2019년총선과, 2024년총선에서 재선되어 현재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번호사진이름선출취임퇴임재임 기간정당
1
100px
넬슨 만델라
(1918–2013)/Nelson Rolihlahla Mandela영어
1994년1994년 5월 10일1999년 6월 14일 - ) / 86400 round 0}}일ANC
2
100px
타보 음베키
(1942년 출생)/Thabo Mvuyelwa Mbeki영어
1999년
2004년
1999년 6월 14일2008년 9월 24일 - ) / 86400 round 0}}일ANC
3
100px
칼레마 모틀란테
(1949년 출생)/Kgalema Petrus Motlanthe영어
2008년2008년 9월 25일2009년 5월 9일 - ) / 86400 round 0}}일ANC
4
100px
제이콥 주마
(1942년 출생)/Jacob Zuma영어
2009년
2014년
2009년 5월 9일2018년 2월 14일 - ) / 86400 round 0}}일ANC
5
100px
시릴 라마포사
(1952년 출생)}}
2018년
2019년
2024년
2018년 2월 15일현직) / 86400 round 0}}일ANC


3. 선출 제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대통령 선출을 위한 독특한 제도를 가지고 있다. 의원 내각제 공화국 형태의 정부를 채택한 다른 옛 영국 식민지 및 자치령들과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따르는 국가들과는 달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며 남아프리카 국방군(SANDF)의 최고 사령관이다. 전 세계의 대통령제와 달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은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5]에서 선출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의회에 책임을 지며, 다수당 대표로서 실제적으로 입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통령은 선거 후 의회의 첫 회기에서, 그리고 공석이 발생할 때마다 선출된다. 대통령은 의회의 하원인 국민의회 의원 중에서 선출된다. 대법원장은 선거를 감독해야 한다. 일단 선출되면, 해당 인물은 더 이상 국민의회 의원이 아니다. 선거 후 5일 이내에 대통령으로 선서해야 한다. 공석이 발생할 경우, 새로운 선거 날짜는 대법원장이 정해야 하지만, 공석 발생 후 30일 이내여야 한다.[6] 국회 (국민의회)의 총선거 후, 국회는 국회의원 중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며, 대통령에 궐위가 발생한 경우에는 30일 이내에 후임 대통령을 선출한다[21]。대통령 선출 후, 국회의원으로서의 직무는 정지되며, 5일 이내에 헌법 준수 선서를 한다[22]

따라서 헌법은 의회제와 대통령제를 독특하게 결합한 시스템을 규정했다. 보츠와나와 몇몇 다른 국가만이 이와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 이스라엘은 이 두 시스템을 정반대로 결합하여 총리 선거를 직접 선출했다.[7]

대통령직이 핵심 기관이긴 하지만, 많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그랬던 것처럼 정부에 대한 전적인 지배를 막기 위해 수많은 견제와 균형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대통령 임기는 5년이며, 연임 제한은 2번이다. 따라서 이 선거 제도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발생했고, 현재 다른 많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대통령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적어도 서류상으로는) 방지하려 한다.[8]

4. 임기 및 승계

헌법 제5장에 따르면 대통령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만 대통령 직무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국외 여행을 하거나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대통령 권한대행을 임명할 수 있다.[9]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헌법에는 대통령 임기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지만, 총선거 후에 새 대통령을 선출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하원과 같은 5년이다.[23] 동일 인물의 3기 이상 연임은 금지되어 있지만, 대통령 직무 대행으로 취임하는 것은 허용된다.

대통령 유고 시에는 먼저 부통령이 그 직무를 승계한다. 그 다음 순서로는 대통령이 지명한 내각 장관, 내각이 지명한 내각 장관, 마지막으로 국민의회 의장이 권한을 대행한다.[9][25]

4. 1. 임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헌법에는 대통령 임기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지만, 총선거 후에 새 대통령을 선출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하원과 같은 5년이다.[23] 동일 인물의 3기 이상 연임은 금지되어 있지만, 대통령 직무 대행으로 취임하는 것은 허용된다.

4. 2. 대통령직 승계

헌법 제5장에 따르면 대통령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만 대통령 직무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국외 여행을 하거나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대통령 권한대행을 임명할 수 있다.[9]

대통령 유고 시에는 먼저 부통령이 그 직무를 승계한다. 그 다음 순서로는 대통령이 지명한 내각 장관, 내각이 지명한 내각 장관, 마지막으로 국민의회 의장이 권한을 대행한다.[9][25]

5. 대통령의 권한

대통령은 국가 원수, 정부 수반이자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의 최고사령관이다.[10] 대통령의 권한, 책임 및 보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 제5장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에서 통과된 수정안 및 법률에 의해 규정된다.[10]

공화국의 행정 권한은 대통령에게 있으며, 대통령은 헌법에 열거된 직위에 다양한 공무원을 임명하는데, 가장 중요한 직위는 항소법원 및 헌법재판소의 내각 장관과 대법관이다.[10] 대통령의 내각은 헌법과 법률을 시행하고 집행하며 대통령의 정치적 목표를 수행한다.[10] 판사는 사법 서비스 위원회의 조언에 따라 임명된다.[10]

대통령은 법률 제정 과정에서 역할을 수행한다. 대통령은 법안에 서명하여 법으로 만들거나 법률에 거부권을 행사(무효화 대상)하거나, 법안을 의회 또는 헌법 재판소로 되돌려 보내거나 국민 투표를 요구할 수 있다.[10] 대통령은 의회를 소집하며, 매 회기 시작 시 국정 연설을 한다.[10]

대통령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외교 및 안보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통제할 수 있다.[10] 대통령은 전쟁을 선포하고 평화를 만들 권한, 조약을 협상하고 서명(비준은 아님)할 권한 (그리고 그에 따른 동맹)을 부여받으며, 외교관을 접수하고 임명하며, 훈장을 수여하고 사면을 허가한다.[10]

6. 탄핵

하원 의원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할 경우 대통령은 탄핵된다. 대통령이 탄핵될 경우, 대통령 특권이 박탈되고 다른 공직 취임이 금지된다.

7. 역대 대통령

#이름이미지출생연도 - 사망연도취임일퇴임일정당
아파르트헤이트 실시 당시의 남아공 (1961-1994)
1찰스 로버츠 스와트
100px
1894–19821961년 5월 31일1967년 6월 1일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2(예우상)테오필루스 에벤하저 된게스
100px
1898–1968없음(취임 전 병으로 사망)없음(취임 전 병으로 사망)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리요주아 프랑수아 나우데
100px
1889-19691967년 6월 1일1968년 4월 10일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2야코부스 요하네스 포우체
default
1898-19801968년 4월 10일1975년 4월 9일 (정계에서 사임)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리요한 데 클레르크
100px
1903-19791975년 4월 9일1975년 4월 19일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3니콜라스 요하너스 디데리흐스
default
1903-19781975년 4월 19일1978년 8월 21일 (심장마비로 사망)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리마라이스 필윤1915-20071978년 8월 21일1978년 10월 10일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4발타자르 요하너스 포스터
default
1915-19831978년 10월 10일1979년 6월 4일 (정계에서 사임)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5마라이스 필윤1915-20071979년 6월 4일1984년 9월 3일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6피터르 빌럼 보타
default
1916-20061984년 9월 3일1989년 8월 15일 (정계에서 사임)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리크리스 회니스1927-20061989년 1월 19일1989년 3월 15일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7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100px
1936-20211989년 8월 15일1994년 5월 10일국민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이후의 남아공 (1994-현재)
8넬슨 만델라
100px
1918-20131994년 5월 10일1999년 6월 16일아프리카 민족 회의
9타보 음베키
100px
1942-1999년 6월 16일2008년 9월 24일아프리카 민족 회의
10칼레마 모틀란테
100px
1949-2008년 9월 25일2009년 5월 9일아프리카 민족 회의
11제이컵 주마1942-2009년 5월 9일2018년 2월 14일아프리카 민족 회의
12시릴 라마포사
100px
1952-2018년 2월 15일align=center |아프리카 민족 회의



아파르트헤이트 실시 기간(1961년~1994년) 동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은 찰스 로버츠 스와트(1961년~1967년)를 시작으로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1989년~1994년)까지 국민당 소속이었다. 이 기간 동안 테오필루스 에벤하저 된게스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취임 전 병으로 사망하였고, 요주아 프랑수아 나우데, 요한 데 클레르크, 마라이스 필윤, 크리스 회니스가 대통령 대행을 맡았다. 야코부스 요하네스 포우체, 니콜라스 요하너스 디데리흐스, 발타자르 요하너스 포스터, 피터르 빌럼 보타가 대통령직을 역임했다.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이후(1994년~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은 넬슨 만델라(1994년~1999년)를 시작으로 현재 시릴 라마포사까지 모두 아프리카 민족 회의 소속이다. 타보 음베키(1999년~2008년), 칼레마 모틀란테(2008년~2009년), 제이컵 주마(2009년~2018년)가 대통령직을 역임했다.

8. 최근 선거

202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내용은 202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조

[1] 웹사이트 Ramaphosa's salary vs other world leaders https://businesstech[...] 2019-03-15
[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5: The President and National Executive, 88. Term of office of President http://www.gov.za/do[...]
[3] 웹사이트 General History of South Africa Timeline: 1910s http://sahistory.co.[...]
[4] 웹사이트 General History of South Africa Timeline: 1960s http://sahistory.co.[...] 2014-11-29
[5] 웹사이트 Voting Completed to Elect New President http://www.sanews.go[...]
[6] 웹사이트 Chapter 5 - The President and National Executive https://www.nelsonma[...] 2016-01-30
[7] 웹사이트 Botswana http://kids.national[...] 2014-04-29
[8] 웹사이트 Elections in South Africa http://www.etu.org.z[...] 2013-11-30
[9] 웹사이트 Succession planning for dummies http://www.dailymave[...] 2016-01-30
[10] 웹사이트 Responsibilities of the President of South Africa http://www.thepresid[...]
[11] 웹사이트 GCIS: profile information: Thabo Mvuyelwa Mbeki, Mr http://www.info.gov.[...] GCIS 2007-11-27
[12] 뉴스 Cabinet bids farewell to Mbeki http://www.sabcnews.[...] SABC news 2008-09-25
[13] 뉴스 SA's Mbeki says he will step down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9-21
[14] 웹사이트 Full Zuma Judgment http://www.news24.co[...] News24 2008-09-13
[15] 웹사이트 Judge Nicholson Red-carded by SCA http://www.mg.co.za/[...] Mail&Guardian Online 2009-01-12
[16] 웹사이트 National Director of Public Prosecutions v Zuma (573/08) [2009] ZASCA 1 (12 Jan 2009) http://www.mg.co.za/[...] South African Supreme Court of Appeal 2009-01-12
[17] 웹사이트 Mbeki lashes out at lying politicians http://www.iol.co.za[...] IOL/The Star 2009-01-14
[18] 뉴스 Zuma sworn in as SA's fourth democratic President http://196.35.74.238[...] SABC 2009-05-09
[19] 웹사이트 Ramaphosa's salary vs other world leaders https://businesstech[...] 2019-03-15
[20] 문서 南アフリカ共和国憲法第83条
[21] 문서 南アフリカ共和国憲法第86条
[22] 문서 南アフリカ共和国憲法第87条
[23] 문서 南アフリカ共和国憲法第88条
[24] 문서 南アフリカ共和国憲法第89条
[25] 문서 南アフリカ共和国憲法第90条
[26] 뉴스 シリル・ラマポーザ氏=南アフリカの新大統領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8-27
[27] 뉴스 与党ANC党首にラマポーザ氏、ビジネス界は歓迎 https://www.jetro.go[...] ジェトロ 2018-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