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원시의 시내버스는 2019년 1월 1일 기준으로 요금이 변경되어, 현금 1,000원, 카드 950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청소년과 어린이는 현금 500원, 카드 450원이다. 2018년 12월까지는 거리 비례 요금제와 2,000원 상한 요금제가 적용되었으나, 현재는 남원 시내/외 지역에 관계없이 단일 요금 1,000원이 적용된다.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1시간 이내 1회에 한해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동일 노선은 제외된다. 1997년 3월 24일에는 서도역 앞 건널목에서 시내버스와 무궁화호 열차의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16명이 사망하고 1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원시의 교통 - 남원역
남원역은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3년 영업을 시작하여 6.25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재건되었으며,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한다. - 남원시의 교통 - 옹정역
옹정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과거 여객 취급을 했으나 현재는 중지되었고, 전라선 복선 전철화로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남원역과 곡성역 사이에 위치하여 노선 상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남원시 주민들의 교통 편의에 기여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군산시의 시내버스
군산시 시내버스는 2002년 노선 개편 후 단일 체계를 유지하며 2009년 대한민국 최초로 모든 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 새만금 방조제 연결로 신설 노선이 생겼고, 근대관광 활성화를 위한 버스 신설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현재는 인구 변화에 따른 노선 조정 및 스마트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익산시의 시내버스
익산시의 시내버스는 익산시 전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도시순환, 좌석, 간선, 일반 버스 등 다양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드 이용 시 환승이 가능하고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남원시의 시내버스 | |
---|---|
일반 정보 | |
지역 | 남원시 |
구분 | 시내버스 |
관리 기관 | 남원시청 교통과 |
서비스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기타 지역 |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전라남도 곡성군 |
노선 수 | 84 |
인가 대수 | 44 |
지불 수단 | 교통카드, 현금 |
선불 카드 |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 레일플러스, 한페이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
사이트 | 남원시청 교통안내 사이트 |
2. 운임
2019년 1월 1일부터 남원시 시내버스는 요금이 단일화되어 거리에 관계없이 일반 1000KRW, 청소년 500KRW, 어린이 500KRW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1시간 이내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동일 노선 제외).[5]
과거에는 거리비례제가 적용되어 10km 초과 시 추가 요금이 발생했으며, '2천원 상한제'가 적용되어 최대 2000KRW(청소년 1600KRW, 어린이 1000KRW)까지만 요금을 낼 수 있었다.[3]
2. 1. 현재 운임
2019년 1월 1일 기준 요금은 다음과 같다.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
일반 | 어른 (만 19세 이상) | 1,000 | 95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500 | 45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500 | 450 |
2018년 12월까지는 10km까지는 기본요금, 2000KRW 미만(1,400~1,950원에 해당) 지역은 1km당 116.14원이 추가되는 요금이 적용되었고, 그밖에도 '''2000KRW 상한 요금제'''가 적용되어서 남원시 관내에서는 거리에 관계없이 '''최대 2000KRW(중고생 1600KRW / 어린이 1000KRW)'''까지 요금을 낼 수 있었지만,[3] 최근에는 남원 시계 내/외 지역에 관계없이 1000KRW만 낼 수 있도록 요금이 단일화되었다.[4]
또한, 교통카드를 이용한 '''무료 환승'''도 가능하다. (1인당 1회, 1시간 이내 / 단, 동일 노선은 제외.)[5]
2. 2. 과거 운임
2018년 12월까지 남원시의 시내버스는 10km까지 기본요금이 적용되었고, 이를 초과하면 1km당 116.14원의 추가 요금이 붙는 거리비례제를 시행했다. 당시 1,400원~1,950원 구간은 추가 요금이 적용되었으며, 남원시 관내에서는 '2천원 상한 요금제'가 적용되어 거리에 관계없이 최대 2,000원(중고생 1,600원, 어린이 1,000원)의 요금만 부과되었다.[3] 그러나 2019년 1월 1일부터 남원시 내/외 지역에 관계없이 요금이 1,000원으로 단일화되었다.[4]교통카드를 사용하면 1시간 이내 1회에 한하여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동일 노선은 환승 혜택에서 제외된다.[5]
2. 3. 환승 제도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1인당 1회, 1시간 이내에 환승해야 하며, 동일 노선으로는 환승할 수 없다.[5]3. 사건/사고
1997년 3월 24일 남원시 사매면 서도역 앞 건널목에서 발생한 열차 추돌 사고로, 남원 시내버스가 무궁화호 열차와 추돌하여 16명이 사망하고 1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자세한 내용은 1997년 서도역 열차 추돌 사고 문서를 참조하라.[6]
3. 1. 1997년 서도역 열차 추돌 사고
1997년 3월 24일 남원시 사매면 서도역 앞 건널목에서 남원으로 향하던 남원 시내버스가 서울로 가던 무궁화호 열차와 추돌해, 시장으로 향하던 마을 주민 16명이 사망하고 15명이 중경상을 입은 사고가 발생했다.[6]참조
[1]
문서
M형과 MT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2]
문서
M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3]
뉴스
남원시 7월부터 시내버스 2천원 상한 요금제 시행
http://m.domin.co.kr[...]
전북도민일보
2017-06-21
[4]
뉴스
남원 시내버스, 내년부터 1000원 단일요금제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8-12-20
[5]
뉴스
남원시, 내달부터 시내버스 무료환승제 시행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7-07-18
[6]
뉴스
전북 남원 열차와 시내 버스 충돌, 16명 사망 15명 부상
http://imnews.imbc.c[...]
MBC
1997-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