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엉덩이를 핥아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 엉덩이를 핥아줘"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작곡한 것으로 추정되는 카논(canon)이다. 1791년 모차르트 사후, 그의 미망인 콘스탄체 모차르트는 이 곡의 악보를 출판사에 의뢰했으나, 저속한 가사로 인해 "기뻐하자!"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어 출판되었다. 1991년에 원본 텍스트로 추정되는 악보가 발견되었으며, "Leck mich im A... g'schwindi, g'schwindi!"라는 가사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곡은 모차르트가 1782년과 1788년에 작곡한 유사한 카논들과 함께, 16세기부터 독일에서 사용된 관용구인 "Leck mich im Arsch"를 사용하며, 권위에 대한 저항, 불복종, 조롱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1791년 모차르트가 사망한 후, 그의 미망인 콘스탄체는 1799년 이 카논의 악보를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에 출판을 의뢰했다. 출판사는 이 카논의 저속한 제목과 가사를 "Laßt froh uns sein|기뻐하자!de"로 변경했다.[3]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에서 제작한 모차르트 작품 목록에는 원본 텍스트의 첫 단어만 기록되어 있었다.
이 곡의 가사는 "Leck mich im Arsch"라는 구절을 반복하며, 이는 영어의 "Kiss my arse!" 또는 미국식 표현인 "Kiss my ass!"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2] 초판본에서는 "Laßt uns froh sein!"(기뻐하자!)라는 점잖은 가사로 대체되기도 했다. 검열되지 않은 다른 버전에서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희곡 괴츠 폰 베를리힝겐의 대사를 인용하기도 한다.
2. 작곡 및 출판 경위
작곡 경위에 대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지만, 친한 친구들과의 사적인 모임에서 여럿이 모여 노래하며 흥을 돋우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K.231은 6성부 카논이므로, 모차르트를 포함하여 최소 6명이 "내 엉덩이를 핥아줘"라고 합창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19세기 연구자들은 이 곡들의 가사를 무시했지만, 20세기 후반부터 일반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현재는 녹음도 이루어지고 있다.
"Leck mich im Arsch"라는 독일어 표현은 직역하면 "내 엉덩이를 핥아줘"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1500년대 이전부터 독일에 전해지는 욕설 관용구로, 한국어로는 "엿 먹어라", "꺼져", "물러가" 등에 해당한다. 마르틴 루터도 악마에게 이 말을 사용했으며, 괴테의 기사 이야기 괴츠 폰 베를리힝겐에서도 적대자에게 "엿 먹어라"라는 욕설을 퍼붓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2. 1. 원본 가사 논란
1991년, 원본 텍스트일 가능성이 있는 악보가 발견되었다. 이 악보에는 Leck mich im A... g'schwindi, g'schwindi!|내 엉덩이를... 빨리, 빨리!de[9][10]라는 구절이 반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여기서 "A..."는 "Arsch"(엉덩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g'schwindi"는 표준 독일어 "geschwind"(빨리)에 해당하는 방언 단어이다.[4]
이 작품 및 몇몇 유사한 카논들에 대한 수기 텍스트가 하버드 대학교 음악 도서관에서 입수한 역사적인 인쇄본 악보에 추가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텍스트는 출판된 이후 어느 시점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들 중 여섯 항목에서 이 텍스트들이 그동안 원본 악보에서 독립적으로 발견된 텍스트와 일치했기 때문에, 나머지 세 개, 즉 K. 231 ("내 엉덩이를 핥아줘" 자체) 및 또 다른 모차르트 작품인 Leck mir den Arsch fein recht schön sauber ("내 엉덩이를 깨끗하게 핥아줘", K. 233, 개정 번호 K. 382d)의 텍스트도 원본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4] 이후 연구에서 K. 233은 벤젤 트르카가 작곡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5][6][7][8]
3. 가사
3. 1. 다양한 버전의 가사
1991년에 재발견된 텍스트는 Leck mich im A... g'schwindi, g'schwindi!de [9][10] 구절과 단어가 반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A..."는 "Arsch"를 의미하며, "g'schwindi"는 "빨리"를 뜻하는 표준 독일어 "geschwind"의 방언이다.
초기 인쇄본의 검열된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 |
Brilliant Classics의 ''The Complete Mozart'' 에디션 녹음에서는 반쯤 검열된 또 다른 각색본을 찾아볼 수 있다.[11][12]
| |
이는 1773년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가장 잘 알려진 중세 후기 독일 기사 괴츠 폰 베를리힝겐의 대사 "... er kann mich im Arsche lecken!"(문자 그대로 "그는 내 엉덩이를 핥을 수 있다" 또는 관용적으로 "그는 내 엉덩이에 키스할 수 있다")를 분명히 암시한다. 이 카논의 텍스트는 괴테의 출처에 대해 약간의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대사는 3막에 나온다.[13][14]
width=300px| | | |
4. "Leck mich im Arsch"의 문화사적 의미
"Leck mich im Arsch"는 단순한 욕설이 아니라, 16세기부터 독일에서 사용된 관용구이다.[2] 한국어로는 "엿 먹어라", "꺼져" 정도에 해당한다. 마르틴 루터도 이 표현을 사용했으며,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희곡 괴츠 폰 베를리힝겐에서도 등장한다.
괴츠 폰 베를리힝겐에서 이 표현은 "... er kann mich im Arsche lecken!" (직역하면 "그는 내 엉덩이를 핥을 수 있다") 형태로 나타나며, 권위에 대한 저항, 불복종, 조롱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13][14]
5. 1782년 및 1788년의 유사 카논
모차르트는 1782년과 1788년에 "Leck mich im Arsch"와 유사한 저속한 가사를 가진 카논들을 작곡했다.[3][4] 1991년, 하버드 대학교 음악 도서관에서 원본 텍스트일 가능성이 있는 악보가 발견되었다. 이 악보는 역사적인 인쇄본에 추가된 텍스트가 이전까지 발견된 원본 악보의 텍스트와 일치한다는 특징을 가졌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 이들 중 일부는 벤젤 트르카가 작곡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6][7][8]
5. 1. 1782년 카논
1782년에는 다음과 같이 6곡의 독일어 카논이 남아 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제6판의 쾨헬 번호이다.번호 | 원제 | 한국어 제목 | 조성 | 비고 |
---|---|---|---|---|
K.229 (382a) | Sie ist dahinde | 그녀는 죽었다 | 다단조 | |
K.230 (382b) | Selig, alle selig siede | 행복하여라, 모두 행복하여라 | 다단조 | |
K.231 (382c) | Leck mich im Arschde | 내 엉덩이를 핥아줘 | 내림 라장조 | 출판 당시 가사는 "Laßt froh uns seinde" (유쾌하게 살아가자) |
K.233 (382d) | Leck mir den Arsch fein recht schön sauberde | 내 엉덩이를 핥아줘, 깨끗하게 깨끗하게 | 내림 라장조 | 출판 당시 가사는 "Nichts labt mich mehr als Weinde" (나는 술을 가장 좋아한다) |
K.234 (382e) | Beider Hitz im Sommer, eß ichde | 여름 더위에 나는 먹는다 | 사장조 | 출판 당시 가사는 "Essen, Trinken, das erhält den Leibde" (먹고, 마시고, 몸을 지킨다) |
K.347 (382f) | Wo der perlende Wein im Glase blinktde | 거품 이는 술이 잔에 빛나는 곳 | 라장조 |
1, 2, 6번째 곡에는 원래 가사가 남아 있지 않아, 나중에 악보가 출판되었을 때 가사가 붙여졌다. 3, 4, 5번째 곡의 가사는 한 줄밖에 남아 있지 않아, 출판사가 무난한 가사를 붙여 출판했다. '내 엉덩이를 핥아줘' 외의 곡도, 원래 불렸을 때는 저속한 가사였을지도 모른다[18]。
음악학자 볼프강 플라트는 1988년에 발표한 문헌에서 4번째 곡과 5번째 곡은 모차르트의 작품이 아니고, 아마추어 작곡가 벤첼 요한 트른카의 작품이라고 주장했다.[19]。
5. 2. 1788년 카논
1788년에도 비슷한 저속한 가사의 캐논이 작곡되었다. 여기서는 3곡을 예로 든다.- 전쟁 기록을 읽는다는 건 내겐 너무[20] (Difficile lectu mihi marsla) K. 559 바장조
- 오, 너 바보 파이엘 (O du eselhafter Peierlde) (K. 559a) 바장조[21]
- 캐논 『오, 너 바보 마르틴』 K. 560은 가사의 "파이엘"을 "마르틴"으로 바꾸고 사장조로 조옮김한 곡이다.
- 잘 자, 넌 정말 바보야 (Bonna box! bist a rechta OXla) K. 561 가장조
1곡째는, 친구인 테너 가수 파이엘(Johann Nepomuk Peyerlde, 1761년-1800년)을 놀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라틴어 흉내의 가사 "Difficile lectu mihi marsla"를 파이엘이 억양이 섞인 발음으로 부르면, 청중에게는 "내 엉덩이를 정성껏 핥아라(Diffizil(e) leck du mich im Arschde)"라는 독일어 가사가 들리도록 만들어졌다. 또한 "jonicula" (이오니아 시)라는 단어를 여러 번 반복해서 빠르게 노래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이탈리아어로 "고환"(coglioni, cujoniit)이라고 연호하는 것처럼 들린다. 2곡째는, 1곡째 뒤에 파이엘에게 속임수를 밝히기 위해 불렀으며, 역시 "내 엉덩이를 핥아라"라는 부분이 있다. 3곡째는 라틴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로 "안녕히 주무세요"라고 노래하면서, 마지막에 "침대에 똥을 싸고" "엉덩이를 핥아라"라는 가사로 끝난다.
참조
[1]
간행물
Wolfgang Amadeus Mozart
2007-09-09
[2]
서적
English-German Dictionary of Idioms
Routledge
[3]
웹사이트
Preface to the ''Neue Mozart Ausgabe''
http://dme.mozarteum[...]
[4]
뉴스
Three Naughty Mozart Texts Are Found
https://query.nytime[...]
1991-03-02
[5]
서적
Opera incerta. Echtheitsfragen als Problem musikwissenschaftlicher Gesamtausgaben
Kolloquium Mainz 1988
[6]
서적
Mozart-Handbuch
Metzler
2005-10
[7]
웹사이트
Endbericht
http://www.baerenrei[...]
Bärenreiter
2007-09-10
[8]
웹사이트
Koechel List
http://www.mozartfor[...]
Mozart Forum
2007-09-10
[9]
웹사이트
K. 233 and K. 234 Mozart's 'Kiss my Ass' Canons.
http://www.mozartfor[...]
[10]
학술지
'Nun sitze ich wie der Haaß im Pfeffer' – Sprichwörtliches in den Briefen von Wolfgang Amadeus Mozart
https://opus.bibliot[...]
University of Augsburg
2002-12
[11]
웹사이트
Mozart Edition, Complete Works
http://music.brillia[...]
Foreignmediagroup.com
2007-09-12
[12]
웹사이트
Mozart Complete Edition (Brilliant), Volume 8: CD 1, Canons
http://www.integrale[...]
Integrale Mozart
2007-09-12
[13]
웹사이트
Götz von Berlichingen/3. Akt (unexpurgated))
http://de.wikisource[...]
Wikisource
2007-09-12
[14]
웹사이트
Götz von Berlichingen/3. Akt (expurgated)
http://gutenberg.spi[...]
Project Gutenberg
2007-09-12
[15]
문서
直訳すれば「俺の尻をなめろ、上等に正しく美しく清潔に」となる。
[16]
웹사이트
シンポジウム1要旨 小林義武 厳格な資料研究に音楽そのものについての価値観が入り込む余地があるか
https://allabout.co.[...]
2014-09-28
[17]
웹사이트
クラシック正誤表
http://mvsica.sakura[...]
2014-09-28
[18]
문서
前掲の石井宏の解説による説。
[19]
문서
プラートは筆跡研究で名高い音楽学者。Plath, Wolfgang: Echtheitsfragen bei Mozart. Teil II: Wenzel Trnka und die angeblichen Mozart-Kanons KV 233 (382d) und KV 234 (382e), in: Opera incerta: Echtheitsfragen als Problem musikwissenschaftlicher Gesamtausgaben. Kolloquium Mainz 1988.
[20]
문서
この曲の邦題は定まっておらず、「[[マールス|マルス]]と[[イオニア人]]になるのは難しい」と訳されている場合もある。
[21]
문서
前掲の『モーツァルト事典』では、K.559aの成立時期を1785~1787年とし、K.560は1788年とし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