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기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기달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아무르강 하류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 집단이다.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네기달어를 사용하며, 주로 하바롭스크 지방의 울치스키 구와 폴리니 오시펜코 구, 니콜라옙스키 구 등에 거주한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 513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에벤키족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어업과 수렵, 순록 사육을 하며, 정령 숭배와 샤머니즘 신앙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우데게족
    우데게족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퉁구스어족 소수 민족으로, 전통적으로 수렵과 어로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20세기 후반부터 언어 사용 인구 감소와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오로치인
    오로치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으로 생활하고 샤머니즘 신앙을 가진 소수 민족으로, 러시아화를 겪으며 인구 감소와 문화 쇠퇴의 어려움 속에서 문화와 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퉁구스족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퉁구스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북아시아의 원주민 - 이텔멘족
    이텔멘족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코사크 정복 이후 인구 감소와 문화적 동화 과정을 겪었으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문화를 유지하며 문화 부흥 운동을 펼치고 있고, 유전적으로 특정 하플로그룹과 연관되어 있다.
  • 북아시아의 원주민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네기달인
기본 정보
암군강 상류의 네기달인
암군강 상류의 네기달인
인구533명
거주 지역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481명)
우크라이나 (52명)
언어네기달어
종교샤머니즘
관련 민족나나이족, 울치족
기타 정보
러시아어 명칭негидальцы
언어별 명칭네기달어: элькан бэйенин
참고
주석네기달어는 퉁구스 제어 중에서도 북퉁구스어군에 속함.

2. 분포

네기달인은 주로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의 울치스키 구와 폴리니 오시펜코 구에 거주하며, 니콜라옙스키 구, 나나이스키 구 등에도 소수가 분포한다. 19세기 말부터 러시아 극동 지역의 소수 민족으로 인구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513명으로 집계되었다.[4]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에도 소수의 네기달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연도인구
1897423
1926426
1959350
1970537
1979504
1989622
2002527
2010513


3. 언어

네기달어퉁구스어족에 속하며, 에벤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3]

네기달어에는 위 네기달어(''Verkhovskoj'')와 현재는 소멸된 것으로 보이는 아래 네기달어(''Nizovskoj'') 두 가지 방언이 있다. 이 방언들은 하부 민족 구분인 아래 네기달인과 위 네기달인에 해당하며, 두 하위 그룹은 지역 문화, 전통, 언어적 차이를 보인다.

네기달 문자는 2009년에 도입되었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러시아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네기달인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5]

네기달어는 소멸 위기 언어로 간주된다. 2017년 연구에서는 아래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를 찾지 못했으며, 블라디미로프카에서는 소수의 고령자만이 위 네기달어를 사용하고 있었다.[6]

4. 역사

네기달인은 철기 시대 동안 암군 분지에 정착한 에벤키족의 후손으로 여겨진다.[3] 퉁구스족에서 분리되어 오호츠크 해안에 도달한 후 지리적으로 고립되었다.[3]

암군 강은 고립된 네기달인 정착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이 지역에 정착한 고대 네기달인들은 주로 어업에 의존했으며 경제적, 문화적 전통을 유지했다. 에벤키족과의 전통적인 유대 관계를 유지했지만, 울치족, 나나이족, 니브흐족과 같은 토착 민족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이들 민족이 네기달인의 민족 형성과 문화적, 경제적 생활에 영향을 미쳤으며, 어느 정도 동화되었다.

2천 년대 중반부터 19세기까지 네기달인은 다른 지역 집단과 마찬가지로 청나라에 조공을 바쳤으며 만주족 상인들과 교역 관계를 유지했다.

17세기 초에 러시아인들과 처음 접촉했다.[3] 러시아가 이 지역으로 팽창하면서 러시아 제국과 우크라이나에서 온 이주민들이 극동 지역에 적극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소련에서 네기달인은 소련의 집단화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1945년에는 작은 콜호스의 합병으로 인해 추크차가르스코예와 카멘카의 네기달인들이 블라디미로프카 마을로 재정착되었다.[7]

5. 종교

공식적으로는 동방 정교회 정교회 신자로 여겨지지만, 자체적인 정령 숭배 신앙과 샤머니즘을 보존해왔다.[3]

6. 전통 생활과 사회

전통적으로 네기달인은 주로 어업과 수렵에 의존했다. 상 네기달인은 순록 사육도 병행했는데, 이는 전적으로 운송 수단을 위한 것이었다. 겨울과 여름에 어업을 했고, 작살을 사용하여 물개와 같은 해양 포유류를 사냥했다.[8]

상 네기달인과 하 네기달인 모두 개 썰매를 사용했고, 상 네기달인은 순록 썰매도 이용했으며, 때로는 순록 등에 직접 올라타기도 했다. 보트와 스키는 또 다른 전통적인 이동 수단이었다. 과거에는 큰 사냥감을 운반하기 위해 트라보이(''켈치'')를 사용하기도 했다.

네기달인은 전통적으로 동물의 가죽과 털, 물고기 가죽 등으로 의복과 신발을 만들었다. 털 담요나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식기 등 수제 가정용품도 제작했다. 전통 의상으로는 로브(''tetchennge, uykeli''), 레깅스(''heykii''), 다양한 종류의 신발(''onta''), 머리 장식(''avun'') 등이 있었다.[9]

거주 형태는 하위 집단(상 네기달인 또는 하 네기달인)과 계절에 따라 달랐다. 상 네기달인은 겨울에는 순록 가죽으로 덮인 크고 이동 가능한 춤 텐트에서 생활했다. 하 네기달인은 겨울에는 벽을 따라 강이 있는 큰 통나무집에서, 여름에는 나무 껍질로 만든 작은 박공 지붕 오두막에서 생활했다. 사냥꾼들은 임시 쉼터를 위해 숲속 오두막을 짓기도 했다.

18세기 후반부터 통나무집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바닥은 자작나무 껍질 매트로 만들었고, 오두막에는 화덕(나중에는 러시아인에게서 빌린 스토브)과 침대가 있었다. 침대는 침엽수 가지와 동물 가죽으로 덮여 있었으며, 테이블 겸 휴식 장소로 사용되었다. 도구와 식기는 벽에 걸거나 구석에 놓았다.

19세기 후반, 러시아 정착민의 영향으로 농업을 도입했다.[8] 소비에트 콜호즈에서 농업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기도 했지만, 소련 붕괴 이후에는 주로 자급자족을 위한 정원 형태로 남아 있었다.[8] 19세기에 아무르강 유역과 사할린에서 최초의 학술 조사를 실시한 L. 슈렌크는, 어로에 종사하는 니브흐족이 여름에는 물고기가 모이는 바다나 강가에, 겨울에는 악천후를 피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고 했다. 여름과 겨울로 나누어 살지만, 둘 다 정착지였다. 이처럼 여름과 겨울에 거처를 바꾸는 생활은 네기달족을 비롯하여, 울치족, 오로치족, 나나이족에게도 나타나며, 사할린 아이누(사할린의 아이누)도 하고 있다.

7. 현대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기달족의 인구는 513명으로, 대부분은 러시아 하바롭스크 변경주에 거주하고 있다.[4] 이들은 울치스키 구에 주로 거주하며, 폴리니 오시펜코 구(주로 블라디미로브카 마을)에도 소수가 거주한다. 또한, 니콜라옙스키 구, 나나이스키 구 및 기타 구에도 네기달 가구가 거주한다.

과거에는 아무르강 하구 지역과 좌안 지류인 아무군강 유역에 널리 거주했다. 이들은 아무군강에서 연어·송어 어업을 중심으로 생활했다.

네기달족은 최초의 인구 조사 이후 러시아 극동 지역의 소수 민족 공동체였으며,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인구
1897423
1926426
1959350
1970537
1979504
1989622
2002527
2010513[4]



소련 붕괴 이후,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52명의 우크라이나 시민이 자신을 네기달인으로 식별했다.[2] 이 중 31명은 네기달어를 모국어로, 11명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9명은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답했다.

19세기 아무르강 유역과 사할린에서 최초의 학술 조사를 실시한 L. 슈렌크는, 어로에 종사하는 니브흐족이 여름과 겨울에 거처를 바꾸는 생활을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생활은 네기달족을 비롯하여, 울치족, 오로치족, 나나이족에게도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08-31
[2]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2001 census http://2001.ukrcensu[...]
[3] 웹사이트 The Negidals –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Russian Empire https://arhiiv.eki.e[...]
[4] 웹사이트 2010 census in Russia http://www.gks.ru/fr[...]
[5] 웹사이트 Negidal language in the Great Russian Encyclopedia https://old.bigenc.r[...]
[6] 간행물 The endangered state of Negidal: A field report http://hdl.handle.ne[...] 2018-02
[7] 웹사이트 Vladimirovka village at the Khabarovsk Krai municipal council http://cmokhv.ru/mun[...]
[8] 서적 Istorii︠a︡ i kulʹtura negidalʹt︠s︡ev : istoriko-ėtnograficheskie ocherki https://www.worldcat[...] 2014
[9] 웹사이트 Negidals in the Great Russian Encyclopedia https://old.bigenc.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