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토폴로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네트워크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구조를 의미하며, 장치 연결 방식에 따라 버스, 스타, 링, 메시, 트리, 하이브리드 토폴로지 등으로 분류된다. 물리적 토폴로지는 전송 매체의 레이아웃을, 논리적 토폴로지는 신호 전달 방식을 나타낸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 매체로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무선 기술 등이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 리피터, 허브, 브리지, 스위치, 라우터, 모뎀, 방화벽 등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존재한다. 토폴로지 매니저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를 관리하고 경로를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토폴로지 - 메시 망
메시 네트워크는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기술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구성되어 높은 신뢰성, 유연성, 확장성을 가집니다. - 네트워크 토폴로지 -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킹)
브로드캐스팅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모든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며, IPv4에서 지원되고 DHCP를 통한 IP 주소 획득 등에 활용되지만 네트워크 부하 증가 및 보안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분권화 - 지역주의
지역주의는 특정 지역 주민들이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행정적, 경제적 자립과 문화적 독립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지방 자치 강화, 지역 내 발전, 전통문화 보존 등을 중시하며, 때로는 분리주의나 국가 간 협력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분권화 - 페루의 행정 구역
페루는 2002년 지역화 법에 따라 25개의 지역과 리마 주, 칼라오 주로 구성되며, 각 지역은 다시 주와 구로 세분되지만 리마 주는 어느 지역에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행정 구역이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 |
---|---|
네트워크 토폴로지 개요 | |
![]() | |
분류 | 네트워크 아키텍처 |
관련 주제 | OSI 모델 라우팅 스위칭 네트워크 프로토콜 컴퓨터 네트워크 |
일반적인 토폴로지 | |
버스형 토폴로지 | 모든 노드가 중앙 케이블을 공유하는 구조 |
링형 토폴로지 | 각 노드가 정확히 두 개의 다른 노드에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는 구조 |
스타형 토폴로지 | 모든 노드가 중앙 허브에 연결되는 구조 |
트리형 토폴로지 | 스타형 토폴로지의 확장으로, 계층적인 구조를 가짐 |
메시형 토폴로지 | 각 노드가 네트워크 내 다른 여러 노드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 |
하이브리드 토폴로지 | 두 개 이상의 기본 토폴로지를 결합한 구조 |
논리적 대 물리적 토폴로지 | |
논리적 토폴로지 |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흐르는 방식을 나타냄 |
물리적 토폴로지 | 네트워크의 물리적 레이아웃을 나타냄 |
주요 고려 사항 | |
비용 |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 비용 |
확장성 | 네트워크의 성장 및 변화에 대한 적응력 |
신뢰성 |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고장 발생 시의 복구 능력 |
2. 토폴로지의 분류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크게 물리적 토폴로지와 논리적 토폴로지로 나눌 수 있다.[5]
- 물리적 토폴로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매체의 레이아웃이다.
- 논리적 토폴로지: 신호가 네트워크 매체에서 작동하는 방식 또는 장치의 물리적 상호 연결과 관계없이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한 장치에서 다음 장치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물리적 토폴로지와 논리적 토폴로지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연구는 점대점, 버스형, 스타형, 링형 또는 원형, 메시형, 트리형, 하이브리드형 또는 데이지 체인과 같은 8가지 기본 토폴로지를 인식한다.[18]
2. 1. 물리적 토폴로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매체의 레이아웃은 네트워크의 물리적 토폴로지이다. 전도성 또는 광섬유 매체의 경우, 이는 케이블링 레이아웃, 노드 위치, 노드와 케이블링 간의 링크를 의미한다.[1] 네트워크의 물리적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 및 미디어의 기능, 원하는 제어 수준 또는 내결함성, 케이블링 또는 통신 회로와 관련된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2. 2. 논리적 토폴로지
논리적 토폴로지는 신호가 네트워크 매체에서 작동하는 방식[6] 또는 장치의 물리적 상호 연결과 관계없이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한 장치에서 다음 장치로 전달되는 방식이다.[7] 네트워크의 논리적 토폴로지는 물리적 토폴로지와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리피터 허브를 사용하는 최초의 트위스트 페어 이더넷은 물리적 스타 토폴로지에서 구현된 논리적 버스 토폴로지였다. 토큰 링은 논리적 링 토폴로지이지만, 미디어 액세스 유닛에서 물리적 스타 형태로 배선된다. 물리적으로, 항공전자 풀 듀플렉스 스위치 이더넷(AFDX)은 여러 개의 이중 중복 이더넷 스위치의 캐스케이드 스타 토폴로지가 될 수 있지만, AFDX 가상 링크는 시간 스위치 단일 송신기 버스 연결로 모델링되므로, 이전에 항공기에서 사용되었던 단일 송신기 버스 토폴로지의 안전 모델을 따른다. 논리적 토폴로지는 종종 매체 접근 제어 방식 및 프로토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일부 네트워크는 라우터 및 스위치의 구성 변경을 통해 논리적 토폴로지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3. 기본적인 토폴로지의 종류
토폴로지는 기본적으로 버스 토폴로지, 스타 토폴로지, 링 토폴로지, 트리 토폴로지, 메시 토폴로지(Mesh topology)로 나뉜다.[18]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크게 물리적 토폴로지와 논리적 토폴로지로 나눌 수 있다.[5]
물리적 토폴로지는 장치를 연결하는 전송 매체 레이아웃, 케이블링 레이아웃, 노드 위치, 노드와 케이블링 간의 링크를 의미한다.[1] 이는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 및 미디어의 기능, 제어 수준, 내결함성, 비용 등에 의해 결정된다.
논리적 토폴로지는 신호가 네트워크 매체에서 작동하는 방식[6] 또는 데이터가 물리적 연결과 관계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방식이다.[7] 논리적 토폴로지는 물리적 토폴로지와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리피터 허브를 사용하는 초기 트위스트 페어 이더넷은 물리적 스타 토폴로지에서 구현된 논리적 버스 토폴로지였다. 토큰 링은 논리적 링 토폴로지이지만, 미디어 액세스 유닛에서 물리적 스타 형태로 배선된다. 항공전자 풀 듀플렉스 스위치 이더넷(AFDX)은 여러 개의 이중 중복 이더넷 스위치의 캐스케이드 스타 토폴로지가 될 수 있지만, AFDX 가상 링크는 시간 스위치 단일 송신기 버스 연결로 모델링되어 단일 송신기 버스 토폴로지의 안전 모델을 따른다. 일부 네트워크는 라우터 및 스위치의 구성 변경을 통해 논리적 토폴로지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3. 1. 버스 토폴로지 (Bus Topology)
버스 토폴로지는 모든 노드가 '버스', '백본', 또는 '트렁크'라고 불리는 하나의 중앙 케이블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성 방식이다.[1] 네트워크 내의 모든 데이터 전송은 이 공통 전송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모든 노드가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
데이터 신호는 출발지 컴퓨터에서 버스를 통해 연결된 모든 컴퓨터로 양방향으로 이동하며, 목적지 컴퓨터를 찾을 때까지 이동한다. 목적지 컴퓨터는 데이터를 수락하고, 만약 컴퓨터 주소가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와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데이터는 무시된다.
버스 토폴로지는 하나의 케이블만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저렴하지만,[1] 네트워크 관리에 더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또한, 단일 케이블에 문제가 생기면 네트워크 전체가 단일 실패 지점이 되어 마비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1]
3. 1. 1. 선형 버스 (Linear Bus)
선형 버스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는 두 개의 종단점만 있는 공통 전송 매체에 연결된다. 전기 신호가 버스 끝에 도달하면 신호가 라인을 따라 반사되어 원치 않는 간섭을 일으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스의 두 종단점은 일반적으로 터미네이터라는 장치로 종단 처리된다.[1]CSMA/CD(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에서 사용되는 토폴로지로, 전송된 신호가 모든 단말에서 수신된다. 또한 신호의 충돌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1]
무선 통신, 10BASE-5, 10BASE-2 등의 예가 있다. 10BASE-T부터는 케이블 형태의 변경으로 물리적으로는 스타형 토폴로지가 되었지만, 논리 토폴로지는 버스형이다.[1]
유선 버스에서는 단선이 발생했을 경우, 그보다 먼 노드와의 통신이 끊어지기 때문에 장애 내성이 낮다.[1]
3. 1. 2. 분산 버스 (Distributed Bus)
분산 버스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는 두 개 이상의 종단점을 가진 공통 전송 매체에 연결된다. 이는 전송 매체의 주 섹션에 분기를 추가하여 생성된다. 물리적 분산 버스 토폴로지는 모든 노드가 공통 전송 매체를 공유하기 때문에 물리적 선형 버스 토폴로지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1]CSMA/CD(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에서 사용되는 토폴로지로, 전송된 신호가 모든 단말에서 수신된다. 또한 신호의 충돌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1]
무선 통신, 10BASE-5, 10BASE-2 등의 예가 있다. 10BASE-T부터는 케이블 형태의 변경으로 물리적으로는 스타형 토폴로지가 되었지만, 논리 토폴로지는 버스형이다.[1]
유선 버스에서는 단선이 발생했을 경우, 그보다 먼 노드와의 통신이 끊어지기 때문에 장애 내성이 낮다.[1]
3. 2. 스타 토폴로지 (Star Topology)
스타형 토폴로지는 모든 주변 노드(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또는 기타 주변 장치)가 허브 또는 스위치라고 하는 중앙 노드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이다. 허브는 서버이고 주변 장치는 클라이언트이다. 네트워크가 별 모양 네트워크로 분류되기 위해 반드시 별 모양을 닮을 필요는 없지만, 네트워크의 모든 주변 노드는 하나의 중앙 허브에 연결되어야 한다.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모든 트래픽은 중앙 허브를 통과하며, 중앙 허브는 신호 증폭기 역할을 한다.스타형 토폴로지는 설계 및 구현이 가장 쉬운 토폴로지로 간주된다. 장점 중 하나는 노드를 추가하기가 간단하다는 것이다. 주요 단점은 허브가 단일 장애 지점이라는 것이다. 즉, 중앙 노드의 고장이 모든 주변 노드의 고장을 유발한다. 또한, 모든 주변 통신이 중앙 허브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집계된 중앙 대역폭은 대규모 클러스터에 대한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타형 토폴로지에서는 임의의 주변 노드와 중앙 노드를 연결하는 전송선의 고장은 해당 주변 노드를 다른 모든 노드로부터 격리시키지만, 나머지 주변 노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중앙 노드가 ''수동적''인 경우, 송신 노드는 양방향 왕복 전송 시간과 중앙 노드에서 생성된 모든 지연으로 지연된 자체 전송의 에코 수신을 감내할 수 있어야 한다. ''능동적'' 스타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에코 관련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진 능동적 중앙 노드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의 신원을 추적할 수 있는 더 발전된 중앙 노드이다. 이러한 스위치는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중에 각 포트를 ''청취''하고, 데이터 패킷을 검사하고, 각 연결된 노드의 주소/식별자와 메모리에 보관된 조회 테이블에서 연결된 포트를 기록함으로써 네트워크 레이아웃을 ''학습''한다. 이 조회 테이블은 미래의 전송을 의도된 목적지로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교환 설비(허브)에서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토폴로지이다. 주로 LAN의 단말 장치 연결 지점, 공중 통신망의 가입자 수용 부분 등에서 사용된다.
버스형에 비해 허브에 연결된 각 선은 독립되어 있어 장애 내성이 높지만, 허브가 고장나면 모든 통신이 끊기므로 네트워크의 장애 내성은 허브에 의존한다. 주로 XBASE-T 등 이더넷의 물리적 구조이며, 링형(고리형)에서도 링 부분을 하나의 "허브"에 담아 스타형의 물리적 토폴로지를 가지는 네트워크도 있다.
3. 2. 1. 확장 스타 (Extended Star)
확장 스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중앙 노드와 주변 노드 사이에 하나 이상의 리피터를 추가하여 물리적 스타 토폴로지를 확장한 것이다. 리피터는 중앙 노드와 주변 노드 간의 점대점 거리를 늘려 물리 계층의 최대 전송 거리를 확장하는 데 사용된다. 리피터를 사용하면 중앙 노드의 전송 능력만으로는 불가능한 더 먼 거리를 전송할 수 있다.[1] 또한, 물리 계층의 기반이 되는 표준의 제한 사항을 극복할 수도 있다.[1]리피터 대신 허브나 스위치를 사용한 물리적 확장 스타 토폴로지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한 유형이며, 물리적 계층적 스타 토폴로지라고도 한다. 다만, 일부 문헌에서는 두 토폴로지를 구분하지 않기도 한다.[1]
물리적 계층적 스타 토폴로지는 계층 스타 토폴로지라고도 불린다.[1] 이 토폴로지는 스타 네트워크가 연결되는 방식에서 트리 토폴로지와 다르다.[1] 계층 스타 토폴로지는 중앙 노드를 사용하는 반면, 트리 토폴로지는 중앙 버스를 사용하므로 스타-버스 네트워크라고도 할 수 있다.[1]
3. 2. 2. 분산 스타 (Distributed Star)
분산 스타 토폴로지는 물리적 스타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개별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중앙 또는 최상위 연결 지점 없이 선형 방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스택된' 허브와 관련 스타 연결 노드 또는 '스포크'가 있다.3. 3. 링 토폴로지 (Ring Topology)
링 토폴로지는 닫힌 루프 형태의 데이지 체인이다. 데이터는 링을 따라 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 노드가 다른 노드에 데이터를 보낼 때, 데이터는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링의 각 중간 노드를 통과한다. 중간 노드는 신호를 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반복(재전송)한다.[5] 모든 노드는 피어(peer)이며,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계층적 관계는 없다. 만약 한 노드가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없으면, 해당 노드는 버스에서 앞뒤 노드 간의 통신을 차단한다.
'''장점:'''
- 네트워크 부하가 증가할 때, 버스 토폴로지보다 성능이 좋다.
- 워크스테이션 간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서버가 필요하지 않다.
'''단점:'''
- 집계된 네트워크 대역폭은 두 노드 간의 가장 약한 연결에 의해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환형으로 교환 설비를 연결한 토폴로지이며, 대표적인 예로는 토큰 링이 있다.
하나의 구간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역방향 연결로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도 있다. 단, 두 곳에서 단절이 발생했을 경우, 더 이상 통신이 불가능해지므로, 네트워크 토폴로지 단독으로는 장애 내성이 높지 않다. 신호 전송을 한 방향으로 제한하고, 다중화한 네트워크도 있다.
3. 4. 메시 토폴로지 (Mesh Topology)
메시 토폴로지(Mesh topology)는 각 노드가 다른 여러 노드와 점대점(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리드의 법칙에 따르면, 망의 가치는 연결된 노드 수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메시 토폴로지는 완전 메시형(Fully connected mesh topology)과 부분 메시형(Partially connected mesh topology)으로 나뉜다. 각 노드는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와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노드마다 통신 비용이 다르다. 높은 안정성과 가용성을 제공하지만, 설치 및 관리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3. 4. 1. 완전 연결형 (Fully Connected Mesh Topology)
완전 연결 네트워크는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그래프 이론에서는 이를 완전 그래프라고 부른다.) 가장 단순한 완전 연결 네트워크는 노드 2개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완전 연결 네트워크는 패킷 교환이나 브로드캐스팅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연결 수는 노드 수에 따라 제곱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비실용적이다. 이 유형의 토폴로지는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에 영향을 주거나, 다른 노드에 영향을 미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하나의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노드와의 통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장애 내성은 네트워크 중 가장 높다.[1] 반면,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도 복잡해진다.[1]
3. 4. 2. 부분 연결형 (Partially Connected Mesh Topology)
부분 연결 네트워크에서 특정 노드는 다른 하나의 노드에만 연결되지만, 일부 노드는 둘 이상의 다른 노드에 점대점 링크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 간 연결에 필요한 비용과 복잡성 없이, 물리적으로 완전하게 연결된 메시 토폴로지의 중복성을 활용할 수 있다. 각 노드는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와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노드마다 통신 비용이 다르다.[1]3. 5. 트리 토폴로지 (Tree Topology)
하나의 뿌리(루트 노드)에서 가지가 뻗어나가는 형태의 토폴로지이다.트리형 토폴로지(계층적 토폴로지)는 계층 구조로 배열된 스타 네트워크의 모음으로 볼 수 있다. 이 트리 구조는 다른 하나의 노드에만 전송하고 수신해야 하며 리피터 또는 재생기 역할을 할 필요가 없는 개별 주변 노드(예: 잎)를 가지고 있다. 스타 네트워크와 달리 중앙 노드의 기능은 분산될 수 있다.
기존 스타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개별 노드는 노드로의 전송 경로의 단일 지점 고장으로 인해 네트워크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잎을 연결하는 링크가 고장나면 해당 잎이 격리되고, 비 잎 노드에 대한 연결이 고장나면 네트워크 전체 섹션이 나머지 부분과 격리된다.
USB와 같이 1대다 통신이 주가 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1]
3. 6. 하이브리드 토폴로지 (Hybrid Topology)
하이브리드 토폴로지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라고도 한다.[19]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는 둘 이상의 토폴로지를 결합한 것으로, 결과 네트워크는 표준 토폴로지(예: 버스, 스타, 링 등)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트리 네트워크 (또는 ''스타-버스 네트워크'')는 스타 네트워크가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하이브리드 토폴로지이다.[20][21] 그러나 다른 트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트리 네트워크는 여전히 토폴로지적으로 트리 네트워크이며, 별개의 네트워크 유형은 아니다. 하이브리드 토폴로지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기본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연결될 때 항상 생성된다.''스타-링'' 네트워크는 중앙 집중식 허브로 다중 스테이션 접근 장치(MAU)를 사용하여 연결된 두 개 이상의 링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스노우플레이크'' 토폴로지는 코어에서는 메시 형태를 띠지만, 가장자리에서는 트리 형태를 띤다.[22]
다른 두 가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유형에는 ''하이브리드 메쉬''와 ''계층적 스타''가 있다.[20]
기본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각각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 대규모 네트워크나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네트워크의 경우, 실제로는 여러 네트워크 구성을 다층적 또는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운용된다.
4. 전송 매체
장치를 연결하여 컴퓨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매체는 흔히 ''물리적 매체''라고 불리며, 전기 케이블(이더넷, HomePNA, 전력선 통신, G.hn), 광섬유(광섬유 통신), 전파(무선 네트워킹) 등이 있다.[1] 이러한 전송 매체들은 OSI 모형에서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인 1계층과 2계층에서 정의된다.
근거리 통신망(LAN) 기술에 널리 사용되는 전송 매체는 이더넷이라고 통칭한다. IEEE 802.3은 이더넷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 및 프로토콜 표준을 정의한다. 이더넷은 구리 및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무선 LAN 표준(예: IEEE 802.11)은 전파를 사용한다. 이 외 다른 표준은 적외선 신호를 전송 매체로 사용한다. 전력선 통신은 건물의 전력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4. 1. 유선 기술 (Wired Technologies)
유선 기술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물리적인 케이블을 사용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동축 케이블, 연선(UTP, STP), 광섬유 케이블 등이 있다.OSI 모형에서 유선 기술은 1계층(물리 계층)과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정의된다. 근거리 통신망(LAN) 기술에 널리 사용되는 전송 매체의 ''패밀리''는 통칭하여 이더넷이라고 하며, IEEE 802.3에 의해 정의된다. 이더넷은 구리 케이블과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 '''동축 케이블'''은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 사무실 건물 및 기타 작업장에서 근거리 통신망(LAN)에 널리 사용된다.
- '''연선'''은 모든 통신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매체이다.
- '''광섬유'''는 유리 섬유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빛의 펄스를 전달한다.
이 외에도 ITU-T G.hn 기술은 기존의 가정 배선 (동축 케이블, 전화선 및 전력선)을 사용하여 고속(최대 1 기가비트/s) 근거리 통신망을 구축한다.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 트레이스''는 특히 특정 유형의 집적 회로 간의 보드 레벨 직렬 통신에 일반적이며, 일반적인 예로는 SPI가 있다. ''리본 케이블''(꼬이지 않고, 보호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단거리 또는 낮은 데이터 속도에서 금속 인클로저 내 또는 구리 편조 또는 호일에 롤링된 직렬 프로토콜에 비용 효율적인 매체였다.
가격은 사업에서 유선 및 무선 기술 옵션을 구별하는 주요 요인이다. 무선 옵션은 유선 컴퓨터, 프린터 및 기타 장치를 구매하는 것보다 재정적 이점이 될 수 있는 가격 프리미엄을 제공한다.
4. 1. 1. 동축 케이블 (Coaxial Cable)
동축 케이블은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 사무실 건물 및 기타 작업장에서 근거리 통신망(LAN)에 널리 사용된다. 이 케이블은 절연층(일반적으로 유전율이 높은 유연한 재료)으로 둘러싸인 구리 또는 알루미늄 와이어로 구성되며, 절연층 자체는 전도성 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체 사이의 절연은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송 속도는 초당 2억 비트에서 초당 5억 비트 이상까지 다양하다.[8]4. 1. 2. 연선 (Twisted Pair)
연선은 모든 통신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매체이다. 연선 케이블은 꼬여 있는 구리선 쌍으로 구성된다. 일반 전화선은 꼬여 있는 절연된 두 개의 구리선으로 구성된다. 컴퓨터 네트워크 케이블(유선 이더넷은 IEEE 802.3에 의해 정의됨)은 음성 및 데이터 전송에 모두 활용할 수 있는 4쌍의 구리 케이블로 구성된다. 두 개의 전선을 함께 꼬아서 사용하면 누화 및 전자 유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전송 속도는 초당 200만 비트에서 초당 100억 비트까지 다양하다. 연선 케이블은 비차폐 연선(UTP)과 차폐 연선(STP)의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각 형태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여러 범주 등급으로 제공된다.4. 1. 3. 광섬유 (Optical Fiber)
광섬유 케이블은 한 컴퓨터/네트워크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빛을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12] 광섬유는 유리 섬유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빛의 펄스를 전달한다. 광섬유가 금속 전선보다 갖는 몇 가지 장점은 전송 손실이 매우 낮고 전기적 간섭에 대한 면역력이 있다는 것이다. 광섬유는 여러 파장의 빛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속도가 크게 증가하고, 초당 최대 수조 비트의 데이터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광섬유는 매우 높은 데이터 속도를 전달하는 긴 케이블에 사용할 수 있으며, 대륙을 상호 연결하는 해저 통신 케이블에 사용된다.[12]

4. 2. 무선 기술 (Wireless Technologies)

무선 기술은 전파나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주요 무선 기술은 다음과 같다.
- 지상 마이크로파: 기가헤르츠 대역에서 작동하며, 통신은 가시선으로 제한된다.
- 통신 위성: 마이크로파를 통해 통신하며, 음성, 데이터 및 TV 신호를 송수신한다.
- 셀룰러 및 PCS 시스템: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며, 서비스 지역을 여러 셀로 분할한다.
- 와이파이: IEEE 802.11 표준에 기반한 개방형 무선 전파 기술로,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사용하여 제한된 영역 내에서 여러 장치 간 통신을 지원한다.
- 자유 공간 광 통신: 가시광선 또는 비가시광선을 사용하며, 통신 장치는 가시선 전파 범위 내에 위치해야 한다.
4. 2. 1. 지상 마이크로파 (Terrestrial Microwave)
지상 마이크로파 통신은 위성 안테나와 유사한 지상 기반 송신기 및 수신기를 사용한다. 지상 마이크로파는 기가헤르츠 대역에서 작동하며, 모든 통신은 가시선으로 제한된다. 중계국은 약 50km 간격으로 배치된다.[1]4. 2. 2. 통신 위성 (Communication Satellite)
위성은 지구 대기에서 굴절되지 않는 마이크로파 전파를 통해 통신한다. 위성은 일반적으로 적도 상공 35786km의 정지 궤도에 위치한다. 이러한 지구 궤도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및 TV 신호를 수신하고 중계할 수 있다.4. 2. 3. 셀룰러 (Cellular)
셀룰러 및 PCS 시스템은 여러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한다. 이 시스템은 커버리지를 여러 지리적 영역으로 나눈다. 각 지역에는 한 지역에서 다음 지역으로 통화를 중계하는 저전력 송신기 또는 무선 중계 안테나 장치가 있다.[3]4. 2. 4. 와이파이 (Wi-Fi)
무선 및 확산 스펙트럼 기술 – 무선 근거리 통신망은 디지털 셀룰러와 유사한 고주파 무선 기술과 저주파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무선 LAN은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사용하여 제한된 영역 내에서 여러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IEEE 802.11은 와이파이로 알려진 개방형 표준 무선 전파 기술의 일반적인 형태를 정의한다.[1]
5.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노드는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으로, 전기, 광 또는 라디오 신호를 주고받는 장치이다. 노드는 컴퓨터와 연결될 수도 있지만, 마이크로컨트롤러만 있거나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가 전혀 없을 수도 있다. 가장 단순한 직렬 배열에서 하나의 RS-232 송신기는 한 쌍의 전선으로 하나의 수신기에 연결되어 두 개의 노드를 형성하는 점대점 토폴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일부 프로토콜은 단일 노드가 전송 또는 수신만 허용하는 반면(예: ARINC 429), 다른 프로토콜은 단일 채널에서 송수신이 모두 가능한 노드를 허용한다(예: CAN은 단일 버스에 여러 송수신기를 연결할 수 있음).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물리적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넘어 네트워크 문제점을 해결하며, 특정 물리적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단일 노드로 표현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
- 리피터
- 허브
- 브리지
- 스위치
- 라우터
- 모뎀
- 게이트웨이
- 방화벽
5.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NI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는 컴퓨터가 전송 매체에 접근하고, 낮은 수준의 네트워크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하드웨어이다.[1] NIC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 무선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및 관련 회로를 가질 수 있다.[1]NIC는 자신 또는 컴퓨터 전체의 네트워크 주소로 지정된 트래픽에 응답한다.[1]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고유한 미디어 접근 제어(MAC) 주소를 가진다. 이 주소는 일반적으로 컨트롤러의 영구 메모리에 저장된다.[1] 네트워크 장치 간 주소 충돌을 피하기 위해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가 MAC 주소의 고유성을 관리한다.[1] 이더넷 MAC 주소는 6 옥텟 크기이다.[1] 가장 중요한 3개의 옥텟은 NIC 제조업체 식별용으로 예약되어 있으며, 이 제조업체들은 할당된 접두사만 사용하여 자체 생산하는 모든 이더넷 인터페이스에 나머지 3개의 옥텟을 고유하게 할당한다.[1]

5. 2. 리피터와 허브 (Repeaters and Hubs)
리피터는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여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고 재생산하는 전자 장치이다. 신호는 재구성되거나 더 높은 전력 수준으로 재전송될 수 있으며, 다른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장애물의 반대편으로 전송되어 신호가 열화 없이 더 먼 거리를 커버할 수 있다. 상업용 리피터는 RS-232 세그먼트를 15미터에서 1킬로미터 이상으로 확장했다.[15] 대부분의 꼬임쌍선 이더넷 구성에서 리피터는 100미터보다 긴 케이블에 필요하다. 광섬유를 사용하면 리피터 간의 거리가 수십 킬로미터 또는 수백 킬로미터에 달할 수 있다.리피터는 OSI 모델의 물리 계층 내에서 작동하며, 리피터 또는 리피터 쌍을 가로질러 물리적 프로토콜에 대한 종단 간 변경 사항은 없다. 또한 리피터 또는 리피터 쌍의 끝 사이에서 다른 물리 계층을 사용할 수 있다. 리피터는 신호를 재생산하는 데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는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적절한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파 지연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많은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피터의 수를 제한하며, 예를 들어 이더넷 5-4-3 규칙이 있다.
여러 포트가 있는 리피터는 허브라고 하며, 이더넷 네트워크에서는 이더넷 허브, USB 네트워크에서는 USB 허브라고 한다. USB 네트워크는 허브를 사용하여 계층형 스타 토폴로지를 형성한다. LAN의 이더넷 허브와 리피터는 최신 네트워크 스위치에 의해 대부분 구식이 되었다. '''스타형 토폴로지'''는 모든 주변 노드(컴퓨터 등)를 중앙 노드에 연결하여 네트워크 장애 발생 가능성을 줄인다. 물리적 스타형 토폴로지가 이더넷과 같은 논리적 버스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이 중앙 노드(전통적으로 허브)는 임의의 주변 노드에서 수신한 모든 전송을 네트워크의 모든 주변 노드로 다시 브로드캐스트하며, 때로는 송신 노드도 포함한다.
5. 3. 브리지 (Bridges)
네트워크 브리지는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계층 2)에서 두 개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트래픽을 필터링하여 단일 네트워크를 형성한다.[1] 이는 네트워크의 충돌 도메인을 분리하지만, 통합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유지한다.[1] 네트워크 세분화는 크고 혼잡한 네트워크를 더 작고 효율적인 네트워크들의 집합으로 분할한다.[1]브리지는 다음 세 가지 기본 유형으로 제공된다.[1]
- 로컬 브리지: LAN을 직접 연결한다.[1]
- 원격 브리지: LAN 간의 광역 네트워크(WAN) 링크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연결 링크가 최종 네트워크보다 느린 경우, 원격 브리지는 라우터로 대체되었다.[1]
- 무선 브리지: LAN을 연결하거나 원격 장치를 LAN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5. 4. 스위치 (Switches)
네트워크 스위치는 각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를 기반으로 OSI 레이어 2 데이터그램을 포트 간에 전달하고 필터링하는 장치이다.[16] 스위치는 모든 연결된 포트가 아닌 통신에 관련된 물리적 포트로만 프레임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허브와 다르며, 다중 포트 브리지로 생각할 수 있다.[17] 스위치는 수신된 프레임의 출발지 주소를 검사하여 물리적 포트를 MAC 주소에 연결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알 수 없는 목적지가 지정된 경우 스위치는 출발지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브로드캐스트한다.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여러 포트를 가지고 있어 장치에 대한 스타형 토폴로지를 용이하게 하며, 추가 스위치를 계단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멀티 레이어 스위치는 레이어 3 주소 지정 또는 추가 논리 레벨을 기반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스위치"라는 용어는 라우터 및 브리지와 같은 장치뿐만 아니라 부하 또는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예: 웹 URL 식별자)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5. 5. 라우터 (Routers)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에 패킷을 전달하는 인터네트워킹 장치로, 패킷 또는 데이터그램(계층 3의 인터넷 프로토콜 정보)에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처리한다.[1] 라우팅 정보는 라우팅 테이블 (또는 포워딩 테이블)과 함께 처리되며, 라우터는 이 테이블을 사용하여 패킷을 어디로 전달할지 결정한다.[1] 라우팅 테이블의 목적지는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지만 해당 데이터에 대한 추가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블랙홀(패킷 삭제)을 포함할 수 있다.[1]
5. 6. 모뎀 (Modems)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장치이다. 원래 디지털 네트워크 트래픽을 위해 설계되지 않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반송파가 디지털 신호에 의해 변조되어 전송에 필요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한다. 모뎀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가입자 회선 기술을 사용하여 전화선에 사용된다.[1]5. 7. 방화벽 (Firewalls)
방화벽은 네트워크 보안 및 접근 규칙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소스로부터의 접근 요청을 거부하고, 인식된 소스로부터의 행위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방화벽이 네트워크 보안에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은 사이버 공격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커지고 있다.[1]6. 토폴로지 매니저
토폴로지 매니저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를 유지하고 네트워크 내의 경로를 계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이는 현대 네트워킹의 기반이 되고 있다.[23]
참조
[1]
서적
Network+ Study Guide, Fourth Edition
Sybex, Inc.
[2]
웹사이트
mesh topology
http://www.atis.org/[...]
Alliance for Telecommunications Industry Solutions
2008-10-10
[3]
간행물
Towards Network X-ities From a Topological Point of View: Evolvability and Scalability
http://www.cs.unm.ed[...]
[4]
서적
Network Topology in Command and Control
https://books.google[...]
IGI Global
[5]
문서
Networking Complete
Inc, S.
[6]
citation
What Are Network Topologies?
http://www.webopedia[...]
2011-05-05
[7]
간행물
Algorithms for the Logical Topology Design in WDM All-Optical Networks
https://www.research[...]
2000
[8]
문서
Cable Serial Male To Female 25L 4' DB25 M-DB25 28 AWG 300V Gray
https://www.jameco.c[...]
Jameco Electronics
[9]
문서
Ten ways to bulletproof RS-485 Interfaces
http://www.ti.com/li[...]
Texas Instruments
[10]
문서
CANopen DR-303 V1.0 Cabling and Connector Pin Assignment
https://www.phoenixc[...]
CAN in Automation
[11]
문서
Cable 50-Pin SCSI Ribbon type # PCL-10152-3E
Advantech Co., Ltd.
[12]
문서
The Disadvantages of Wired Technology
http://smallbusiness[...]
Demand Media
[13]
웹사이트
Bergen Linux User Group's CPIP Implementation
http://www.blug.linu[...]
Blug.linux.no
2014-03-01
[14]
citation
Interplanetary Internet
http://www.ipnsig.or[...]
Third Annual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Radio Technologies
2000-09
[15]
문서
RS232 Repeater
http://www.usconvert[...]
U.S. Converters
[16]
웹사이트
Define switch.
http://www.webopedia[...]
1996-09
[17]
웹사이트
What bridge devices and bridging do for computer networks
http://compnetworkin[...]
[18]
서적
Network Design Basics for Cabling Professionals
McGraw-Hill Professional
2002
[19]
웹사이트
What is Hybrid Topology ?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http://www.orosk.com[...]
2018-01-26
[20]
서적
Networking Bible
Wiley Publishing
2009
[21]
서적
Understanding Computer Science (for Advanced Level): The Study Guide
https://books.google[...]
Nelson Thornes
2016-03-26
[22]
citation
An Analysis of Scaling Issues in MPLS-TE Core Networks RFC 5439
https://datatracker.[...]
2009-02
[23]
서적
Foundations of Modern Networking: SDN, NFV, QoE, IoT, and Cloud
Addison-Wesley Profess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