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고데모의 복음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고데모의 복음서는 예수의 재판, 부활, 지옥 강하 등을 다루는 기독교 외경이다. 이 책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스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 초기 기독교의 빌라도 행전에 대한 반박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현존하는 형태는 4~5세기경에 나타났다. 이 복음서는 묵상 작품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 롱기누스, 디스마스, 게스타스 등 정경에 언급되지 않은 인물들의 이름을 언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난복음서 - 베드로의 복음서
베드로의 복음서는 2세기 전반에 쓰여진 기독교 외경으로, 예수의 십자가형과 부활 이야기를 정경 복음서와 다른 관점으로 묘사하며, 빌라도의 책임 면제와 유대인 역할 강조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신약 외경 - 디다케
디다케는 "열두 사도의 주님의 가르침"으로도 불리는 1873년 발견된 고대 기독교 문헌으로, 기독교 생활 지침, 의례, 교회 조직, 종말론적 예언을 담고 있으며, 특히 '두 길' 가르침을 통해 윤리적 지침을 제시하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생활과 신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신약 외경 - 바르나바 복음서
바르나바 복음서는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을 비판하며, 예수의 십자가형 대신 유다가 십자가에 못 박히는 내용 등을 담고 있으며, 기독교보다는 무슬림의 생각과 더 잘 부합하는 복음서이다. - 4세기 문서 - 고백록 (아우구스티누스)
아우구스티누스가 397년부터 401년 사이에 쓴 자전적 저서인 고백록은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삶과 회심 과정, 철학적, 신학적 성찰을 담아 인간의 죄성과 신의 은총, 시간과 영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 4세기 문서 - 니케아 신경
니케아 신경은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채택되어 삼위일체 교리를 명확히 하고 아리우스주의를 반대하며, 기독교 신앙의 기준 역할을 한다.
니고데모의 복음서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빌라도 행전 그리스도에 대한 재판과 사형 선고를 기록한 기억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일들에 대한 보고서 |
일반 정보 | |
저자 | 불명 |
쓰여진 시기 | 4세기 중반 |
언어 |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
장르 | 기독교 위경 |
내용 | |
구성 | 니고데모 복음서 하데스 강하 |
줄거리 | 예수의 재판, 십자가형, 부활, 그리고 하데스 강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음. |
중요성 | |
특징 | 중세 시대에 예수의 고난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자료 중 하나였음. 예수의 사후 세계에서의 승리를 묘사함. |
관련 정보 | |
다른 제목 | Acta Pilati (빌라도 행전) Gesta Salvatoris (구세주의 행적) |
관련 인물 | 니고데모 빌라도 예수 |
2. 역사와 진정성
니고데모 복음서의 정확한 기원과 저자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존재한다. 가장 오래된 부분은 그리스어로 쓰여진 것으로 보이지만, 원본 언어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며, 라틴어, 시리아어, 콥트어, 조지아어, 슬라브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된 사본들이 전해진다.[6] 텍스트 자체도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있고 문체가 달라, 여러 저자에 의해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2]
이 복음서의 작성 연대에 대해서도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다. 일부에서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지만,[13] 현재 전해지는 형태의 문서는 4세기 또는 5세기 이후에 완성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2][3] 초기 교부인 유스티누스 순교자(155년경)나 에피파니우스(376년경) 등이 언급한 '빌라도의 행적'(Acta Pilatila)이[8][13] 현재의 니고데모 복음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9] 교회 역사가 유세비우스(325년경)는 이 복음서의 존재를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10] 또한, 이 복음서가 초기 이교도들이 작성한 반기독교적인 빌라도 행전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있다.[13][7] 이러한 여러 요소들로 인해 니고데모 복음서의 역사적 진정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2. 1. 초기 기원과 발전
이 복음서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그리스어로 처음 나타난다. 텍스트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체가 일정하지 않고 여러 저자가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판본의 서문에서는 이 글이 예루살렘의 프라에토리움에서 발견된 목격자 기록을 그리스어로 번역한 것이라고 주장한다.[5][2] 원본 언어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그리스어 외에도 라틴어, 시리아어, 콥트어, 조지아어, 슬라브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된 판본이 존재한다.[6]일반적으로 기독교의 '빌라도 행전'(니고데모 복음서의 일부 또는 초기 형태)은 초기 이교도들이 기독교를 비판하기 위해 작성한 빌라도 행전에 대한 반박으로 만들어졌다고 여겨진다.[13][7] 기독교의 '빌라도 행전'의 기초가 된 원본은 매우 이른 시기에 작성되었을 수 있지만,[13] 현재 전해지는 완전한 형태의 복음서는 4세기 또는 5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는다.[2][3]
유스티누스 순교자는 그의 저서인 제1 변증서 (155년경)에서 "Acta Pontii Pilatilat"을 언급하지만,[8] 이는 유스티누스가 존재한다고 추정한 불분명한 기록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9] 교회 역사가 유세비우스 (325년경 저술)는 이 복음서의 존재를 알지 못했으며, 다만 유스티누스와 테르툴리아누스가 언급한 "빌라도의 서신"이나 이교도 판본의 빌라도 행전과 같은 관련 문서는 알고 있었다.[10] 에피파니우스는 Acta Pilatilat (376년경)에 대해 언급하지만, 현존하는 그리스어 텍스트는 그 이후 시대의 편집 흔적을 보여준다.
2. 2. 언어와 번역
이 책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최초로 그리스어로 나타난다. 이 텍스트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체가 균일하지 않고 다른 저자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일부 버전에서 발견되는 서문은 이 텍스트가 예루살렘의 프라에토리움에서 발견된 목격자들의 증언을 그리스어로 번역한 것이라고 주장한다.[5][2] 원본 언어에 대한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그리스어 외에도 라틴어, 시리아어, 콥트어, 조지아어, 슬라브어 및 기타 언어로 번역된 버전이 존재한다.[6]2. 3. 유스티누스와 유세비우스의 증언
유스티누스 순교자는 그의 저서인 ''제1 변증서'' (155년경)에서 '본디오 빌라도의 행적'(Acta Pilatila)을 언급했다.[8] 하지만 이는 유스티누스 본인이 존재한다고 추정한, 구체적이지 않은 기록들을 가리킨 것으로 해석된다.[9]교회 역사가인 유세비우스는 325년경 저술 활동 당시, 현재 우리가 아는 형태의 니고데모 복음서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유스티누스와 테르툴리아누스가 언급한 '빌라도의 서신'이나 이교도 버전의 빌라도 행전과 같은 관련 문헌들은 인지하고 있었지만, 니고데모 복음서 자체에 대한 언급은 없다.[10]
에피파니우스 역시 376년경 Acta Pilatila를 언급하기는 했지만,[13] 현존하는 그리스어 텍스트는 그 이후 시대의 편집 흔적을 보여준다.[2][3] 따라서 유스티누스나 유세비우스가 언급한 '빌라도 행전'이 오늘날 전해지는 '니고데모의 복음서'와 직접적으로 동일한 문헌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현존하는 니고데모 복음서의 완성된 형태는 4세기 또는 5세기 이후의 것으로 추정된다.[2][3]
3. 주요 내용
니고데모 복음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일부 필사본에는 부록이 추가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1~16장)은 예수의 재판(1~11장)과 예수의 부활(12~16장)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특히 재판 이야기는 누가복음 23장을 바탕으로 하며, 그리스어와 라틴어 외에도 시리아어, 아르메니아어, 콥트어 등 다양한 고대 언어 판본으로 전해진다.[9]
두 번째 부분(17~27장)은 지옥으로의 강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여기서는 예수의 십자가형 이후 부활한 레우키우스와 카리누스라는 두 인물이 산헤드린 앞에서 그리스도가 지옥에 내려가 구약 성서의 의로운 인물들을 구원한 과정을 증언한다. 또한, 회개한 강도 성 디스마스의 구원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다. 이 내용은 주로 라틴어 필사본에서 발견되며, 그리스어 필사본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난다.[11]
일부 라틴어 필사본에는 부록이 포함되기도 한다. 여기에는 본디오 빌라도가 클라우디우스 황제에게 보낸 보고서 형식의 편지(빌라도의 클라우디우스에게 보낸 편지)와 성 베로니카 전설의 초기 형태인 Cura Sanitatis Tiberii|쿠라 사니타티스 티베리이la("티베리우스의 치유") 이야기가 실려 있다.[12][13][2]
3. 1. 빌라도의 보고서 (1-16장)
니고데모 복음서의 첫 번째 부분(1~16장)은 예수의 재판(1~11장)과 예수의 부활에 대한 이야기(12~16장)를 담고 있다. 특히 재판에 대한 이야기는 누가복음 23장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부분은 그리스어와 라틴어 판본 외에도 시리아어, 아르메니아어, 콥트어로 된 세 가지 주목할 만한 고대 판본이 존재한다.[9]3. 2. 예수의 지옥 강하 (17-27장)
니고데모 복음서의 두 번째 부분(17~27장)은 지옥으로의 강하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11] 이 부분에서는 예수의 십자가형 이후 죽음에서 부활한 두 영혼, 레우키우스와 카리누스가 등장한다. 이들은 산헤드린 앞에서 그리스도가 지옥으로 내려가 구약 성서의 의로운 족장들을 구원한 과정을 증언한다. 또한, 회개한 강도인 성 디스마스가 어떻게 구원받았는지에 대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다. 이 지옥 강하 이야기는 나중에 행전에 추가된 것으로 보이지만, 더 오래된 문서를 바탕으로 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내용은 라틴어 필사본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그리스어 필사본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난다.[11]3. 3. 부록: 빌라도의 편지와 베로니카 전설
일부 라틴어 필사본에는 부록으로 빌라도의 클라우디우스에게 보낸 편지라는 글이 실려 있다. 이 편지는 본디오 빌라도가 클라우디우스 황제에게 보낸 공식 보고서 형식이며, 예수의 십자가형과 부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은 그리스어로 된 베드로와 바울 행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2][13] 또한 일부 라틴어 필사본에는 성 베로니카 전설의 가장 오래된 형태인 Cura Sanitatis Tiberii|쿠라 사니타티스 티베리이la("티베리우스의 치유")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다.[2]4. 신학적, 문화적 의의와 영향
니고데모 복음서는 정경 복음서에는 기록되지 않은 상세한 이야기와 인물들을 소개하며 중세 기독교 신앙과 문화, 특히 예술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복음서에 담긴 예수의 수난에 대한 확장된 묘사는 여러 묵상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르네상스 시기 화가들의 작품에도 영향을 끼쳤다.[14] 또한, 정경에는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 롱기누스, 디스마스, 게스타스와 같은 인물들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전승 형성에 기여했다.
4. 1. 중세 묵상 문학과 예술에 미친 영향
니고데모의 복음서는 오랫동안 묵상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이 복음서의 확장된 일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수난을 묘사한 Meditatione sopra la Passione del nostro signore Iesu Christoit는 1476년에서 1500년 사이 이탈리아에서 28번이나 인쇄되었으며, 폰토르모의 빌라도 앞의 그리스도 묘사에 영감을 주었다.[14]니고데모의 복음서는 정경에는 언급되지 않은 몇몇 작은 신약 인물들의 이름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십자가에서 예수를 창으로 찌른 군인은 롱기누스로, 예수 옆에서 십자가에 못 박힌 두 죄수는 디스마스와 게스타스로 언급된다.
4. 2. 신약 인물들의 이름 언급
니고데모의 복음서는 정경 복음서에는 이름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몇몇 인물들의 이름을 밝힌다. 예를 들어, 십자가형 당시 예수를 창으로 찌른 군인은 롱기누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두 죄수는 각각 디스마스와 게스타스라는 이름으로 언급된다.참조
[1]
서적
The Apocryphal Gospels: Texts and Trans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3]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William B. Eerdmans
1979
[4]
서적
The Gospel of Nicodemus or The Acts of Pilate
Crossreach Publications
[5]
서적
The Apocryphal New Testament
Clarendon Press
[6]
서적
Gospel of Nicodemus
[7]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0
[8]
wikisource
T. & T. Clark
1870
[9]
harvnb
[10]
서적
New Testament Apocrypha: Gospels and related writings
Lutterworth Press
1963
[11]
harvnb
[12]
harvnb
[13]
서적
New Testament Apocrypha: Gospels and Related Writing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3
[14]
학술지
Christ before Pilate: a major composition study by Pontormo
1991
[15]
웹사이트
Acta Pilati (Or the Gospel of Nicodemus).
http://www.newadvent[...]
[16]
간행물
Acta Pilati
https://en.wikisourc[...]
Robert Appleton Company
1913
[17]
서적
New Testament Apocrypha, Vol. 1
1990-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