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그메트 누르마코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그메트 누르마코프는 1895년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1937년 처형된 카자흐스탄의 정치인이다. 옴스크 신학교에서 수학하며 문화 교육 단체를 설립했고, 혁명기에 카르카린스크 소비에트에서 활동했다. 1922년부터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공화국에서 활동하며 법무 인민 위원, 인민 위원회 의장을 역임하며 카자흐스탄의 수도 이전을 추진했다. 1929년 모스크바로 소환된 후, 1937년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나, 1956년 명예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간다주 출신 - 아슬란 마스하도프
    아슬란 마스하도프는 소련군 대령 출신으로 제1차 체첸 전쟁에서 체첸 측 최고 지휘관으로 활약 후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으나, 제2차 체첸 전쟁 중 러시아군에 의해 암살당했다.
  • 카라간다주 출신 - 알리한 부케이하노프
    알리한 부케이하노프는 카자흐의 정치인이자 지식인으로서 알라시 자치국 수립을 주도하고 알라시 오르다의 의장을 역임하며 카자흐 민족의 자치 쟁취와 민족의식 고취에 헌신했다.
  • 카자흐스탄의 총리 - 올자스 벡테노프
    올자스 벡테노프는 카자흐스탄의 정치인으로, 2024년 2월 6일 카자흐스탄 총리로 임명되었으며, 카자흐스탄 독립 역사상 최초의 실로비크 출신 총리이다.
  • 카자흐스탄의 총리 - 알리한 스마일로프
    알리한 스마일로프는 카자흐스탄의 정치인으로, 알파라비 카자흐 국립 대학교와 KIMEP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여러 관료 직책을 거쳐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카자흐스탄 총리를 역임하며 코로나19 팬데믹 대응과 사회 경제 안정화에 주력했다.
니그메트 누르마코프
기본 정보
원어 표기러시아어: Ныгмет Нурмакович Нурмаков
카자흐어: Нығмет Нұрмақұлы Нұрмақов
로마자 표기러시아어: Nygmet Nurmakovich Nurmakov
카자흐어: Nyğmet Nūrmaqūly Nūrmaqov
출생1895년 4월 25일
출생지러시아 제국세미팔라틴스크주 카르칼린스크 군 쿠
사망1937년 9월 27일
사망지소비에트 연방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자녀1남 1녀
교육
졸업 학교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속 고등 당학교
옴스크 신학교
경력
전직교사
정치 활동
소속 정당볼셰비키
직책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 (1920년-1925년) 인민위원회의 의장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 인민위원회의 의장
임기 시작1924년 10월
임기 종료1929년 4월
기타 직책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 법무 인민위원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 최고 혁명 재판소 장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재판소 키르기스 부 장
기타 직책 임기 시작1923년 5월 (법무 인민위원)
1922년 10월 (최고 혁명 재판소 장)
기타 직책 임기 종료1924년 9월 9일 (법무 인민위원)
1923년 가을 (최고 혁명 재판소 장)

2. 생애

니그메트 누르마코프는 러시아 제국 시기 태어나 소련 시대 카자흐스탄의 주요 정치인으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1895년 카자흐스탄 북부에서 태어나 옴스크 신학교에서 교육받으며 민족 문화 운동에 참여했다.[3]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카자흐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립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3][5]

그는 카자흐스탄 최고 법원의 전신인 키르기스 자치 공화국 최고 혁명 재판소 장관, 법무 인민 위원 등을 역임하며 사법 체계 정비와 카자흐어 사용 확대에 기여했다.[3] 특히 1924년부터 약 4년 반 동안 인민 위원회 의장으로 재임하며 투르크스탄-시베리아 철도 건설 착수, 광산 개발, 수도 이전 등 국가의 주요 정책을 이끌었다.[3][4][5]

그러나 1929년 당내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모스크바로 소환되었고[3], 1937년 스탈린의 대숙청 광풍 속에서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어 총살형에 처해졌다.[3][6] 그의 비극적인 죽음 이후 가족들 역시 체포되어 수용소로 보내지는 등 큰 고초를 겪었다.[7]

2. 1. 초기 생애 (1895년 ~ 1915년)

1895년 4월 25일, 러시아 제국 세미팔라틴스크 주 쿠에서 태어났다. 마을의 러시아인 학교를 다니다가 카르카린스크의 2년제 러시아인-카자흐인 학교로 진학했다[3]. 1911년에 이 학교를 졸업했다[4]. 같은 해 옴스크에서 열린 로마노프 왕조 300주년 기념 농업 박람회에 통역으로 참여하여 지리학자 그리고리 포타닌과 옴스크 신학교 교원 알렉산드르 세델리니코프를 만났다[3]. 그들의 도움을 받아 옴스크 신학교에 입학했으며, 재학 중 사켄 세이풀린, 마그잔 주마바예프, 무흐타르 사마토프 등과 함께 문화 교육 단체 "비르리크"를 설립했다[3].

2. 2. 혁명기 (1915년 ~ 1921년)

1915년 신학교를 졸업한 후, 같은 해부터 1918년까지 카르카린스크의 러시아인-카자흐인 신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3] 이 시기 그는 노동자 소비에트 "다라 오다기"를 결성했으며[4], 1917년 가을에는 그 의장을 맡았다.[5]

1918년 2월부터 5월까지 카르카린스크 군 (ru) 소비에트의 의원이자 서기로 활동했으나, 곧 "다라 오다기"는 반혁명 세력인 알렉산드르 콜차크에 의해 강제로 해산되었다. 누르마코프 역시 동지들과 함께 체포되어 18개월 동안 수감되는 고초를 겪었다.[5]

1919년 2월 석방된 후, 그는 노동자 소비에트 창설 과정에서 볼셰비키인 P. 바빈과 Иван Иванович Радченко|이반 라트첸코ru를 만나 볼셰비키에 가입했다.[3] 1920년부터 1921년까지는 카르카린스크 군과 세미팔라틴스크 주의 집행위원회 및 혁명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1921년 10월에는 혁명재판소 장관을 역임했다.[5]

2. 3. 카자흐스탄에서의 활동 (1922년 ~ 1929년)

1922년 2월, 누르마코프는 오렌부르크로 이동하여 당 키르기스 주 위원회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5] 같은 해 10월에 열린 제3회 전키르기스 소비에트 대회에서는 키르기스 중앙집행위원회 참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키르기스 자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최고 혁명 재판소를 이끌었다.[3] 이 시기 그는 검찰관과 법무위원부 참의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1923년 2월 19일, 키르기스 자치 공화국 최고 법원이 러시아 공화국 최고 법원 산하 부서로 개편된 이후에도 그는 최고 법원 장관직을 유지하며 그해 가을까지 자리를 지켰다.[3]

1923년 5월부터 1924년 9월 9일까지는 법무 인민 위원을 맡아,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변화를 이끌었다. 그는 수사 기관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카자흐어로 전환하고, 사법관의 60%를 카자흐인으로 임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 또한 문예 활동에도 관심을 기울여 'Қазақ тілі|카자크 틸리kk'와 'Кзыл-Казахстан|크질 카자흐스탄ru' 신문의 편집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4]

이후 몇 달간 당 키르기스 주 위원회 선동·선전부 부장을 지낸 뒤, 1924년 10월부터 1929년 4월까지 약 4년 4개월 동안 키르기스 자치 공화국(이후 카자흐 자치 공화국으로 개칭)의 인민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5] 인민 위원회 의장으로서 누르마코프는 카자흐스탄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에키바스투즈, 카라간다, 발하슈 등지에서 광산 개발이 시작되었고,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를 잇는 투르크스탄-시베리아 철도 건설이 착수되었다.[3] 또한 그는 수도를 오렌부르크에서 크즐오르다로, 다시 알마티로 이전하는 계획을 주도적으로 추진했다.[4] 이 외에도 헌법 제정 위원회 위원, 카자흐어 알파벳 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며, 카자흐스탄 최초의 국립 연극 극장 설립에도 크게 기여했다.[4]

그러나 1929년 4월, 당 카자흐 지방위원회 책임 서기였던 필립 골로쇼킨과의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면서 누르마코프는 모스크바로 소환되었다.[3] 그는 '부유층 재산 몰수' 정책에 서명해야 했지만, 이 정책의 지나친 강압성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3]

2. 4. 후반 생애 및 숙청 (1929년 ~ 1937년)

1931년부터는 전러시아 중앙 집행위원회 간부회 부의장, 민족 문제부 부장 및 당 카자흐 지방위원회와 카자흐 자치 공화국 중앙 집행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또한 시베리아와 연볼가 지역에도 파견되어 활동했다[5].

그러나 스탈린의 대숙청이 진행되던 1937년 6월 3일, 누르마코프는 모스크바 자택에서 체포되었다. 그는 투라르 리스쿨로프와 공모하여 우라즈 이사예프와 압둘라 아실베코프에게 알마티와 카라간다에서 반혁명 조직을 결성하도록 지시했다는 혐의를 강요받고 이를 "인정"해야 했다[3]. 같은 해 9월 27일, NKVD 트로이카는 단 15분간의 형식적인 심리 끝에 누르마코프에게 사형을 선고했고[3], 그는 선고 당일 모스크바에서 알리한 부케이하노프와 함께 총살형에 처해졌다[6].

누르마코프의 숙청은 그의 가족에게도 비극을 안겼다. 아내와 두 명의 남동생(건축 기술자 카멜 누르마코프와 의학자 아만 누르마코프의 아버지) 역시 체포되어 각각 수용소로 보내졌다[7]. 아내는 처음에는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어린 자녀가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 징역형으로 감형되었다. 그녀는 이후 19년 동안 악몰린스크 조국 반역자의 아내 라게리(ALZHIR)를 포함한 여러 수용소에서 시간을 보냈다[7]. 부부의 두 자녀는 부모를 잃고 고아원으로 보내졌으며[7], 딸은 고아원에서 사망했다. 아들은 살아남아 훗날 대조국 전쟁에 참전하여 생환했다[7].

3. 사후

사후 누르마코프는 모스크바의 노보도스케 묘지에 묻혔다[6]. 1956년 8월에 명예 회복이 이루어졌다[5]. 누르마코프의 이름은 알마티, 크즐오르다, 카라간다, 카르카랄, 에긴디부라크의 거리에 붙여졌으며, 카라간다 제2 기숙 학교에도 그의 이름이 명명되었다. 또한 그의 고향 마을과 알마티의 옛집에도 기념비가 세워졌다[4].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azakhstan https://books.google[...]
[2] 서적 Empire, Islam, and Politics in Central Eurasia https://books.google[...] Slavic Research Center, Hokkaido University 2017-06-30
[3] 웹사이트 Нурмаков Ныгмет (1895–1937 гг.) http://www.tarih-beg[...] Тарих 2018-08-24
[4] 웹사이트 Нұрмақов Нығмет http://el.kz/kz/news[...] el.kz 2018-08-23
[5] 웹사이트 Нұрмақов Нығмет Нұрмақұлы http://www.tarih-beg[...] Тарих 2018-08-24
[6] 웹사이트 Следствие проведут знатоки http://collegy.ucoz.[...] Коллеги - педагогический журнал Казахстана 2018-08-24
[7] 간행물 Нұрмақовтың отбасы тартқан трагедия https://abai.kz/post[...] Проект «DAT» 2017-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