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플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플헬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장소로, 《산문 에다》와 《고 에다》에서 언급된다. 《산문 에다》의 〈길피가닝〉에서는 악한 자들의 영혼이 영원히 살게 되는 곳으로 묘사되며, 아홉 번째 세상에 위치한다고 설명된다. 《고 에다》의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에서는 오딘이 방문했던 죽은 자들의 세계로 언급되고, 〈발드르의 꿈〉에서는 오딘이 아들 발드르의 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방문하는 장소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후 세계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사후 세계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세르클란드
    세르클란드는 관련 연구 문헌을 다루는 문서이며, 투레 요한손 아르네, 스벤 B. F. 얀손, 칼 L. 툰베리 등이 세르클란드와 관련된 연구를 발표했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아스가르드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신족의 거처이자 요새로,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며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접근 가능한 신들의 회의 장소와 여러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아시아 지역의 실제 국가로 해석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니플헬
개요
신화
위치무스펠스헤임의 북쪽
특징아홉 세계 중 하나
얼음과 추위의 세계
기원김눙가가프의 북쪽 지역
흐베르겔미르 샘 위치
거주자니다호그
죽은 자들의 영혼
관련 개념헬 (죽은 자들의 영역)
니플 (고대 노르드어: 어둠, 그림자)
역할생명의 기원: 김눙가가프에서 무스펠스헤임의 열기와 니플헤임의 냉기가 만나 생명 창조
죽은 자의 세계: 늙거나 병들어 죽은 자들의 영혼이 가는 곳
어원'니플' (어둠, 그림자) + '헬' (감추다, 덮다)
'안개가 덮인 곳' 또는 '어두운 세계' 의미

2. 《산문 에다》에서의 니플헬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 중 〈길피가닝〉은 니플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길피가닝〉에서 스칸디나비아의 왕 길피는 세 명의 모습으로 나타난 오딘에게 북유럽 신화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길피는 오딘에게서 최초의 인간에게 정신을 부여했으며, 정의로운 자들의 영혼은 김리에서, 악한 자들의 영혼은 니플헬에서 영원히 살 것이라는 것을 배운다.[1]

2. 1. 〈길피가닝〉

스칸디나비아의 왕 길피는 세 명의 모습으로 나타난 오딘에게 북유럽 신화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길피는 오딘(''Þriði'')에게 오딘이 최초의 인간에게 정신을 부여했으며, 정의로운 자들의 영혼은 영원히 김리에서 살 것이고, 악한 자들의 영혼은 니플헬에서 영원히 살 것이라는 것을 배운다.[1]

3. 《고 에다》에서의 니플헬

고 에다》는 《산문 에다》보다 더 오래된 북유럽 신화의 내용을 담고 있다.

3. 1.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오딘은 거인(요툰)인 바프스루드니르와 지혜 대결을 벌였다. 오딘은 바프스루드니르에게 신들과 거인들의 모든 비밀을 말할 수 있는지 물었고, 바프스루드니르는 자신이 9개의 세계 모두, 심지어 니플헬까지 다녀왔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있다고 대답했다.

바프스루드니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43. "거인들의 룬과

:모든 신들에 관하여

:나는 진실을 말할 수 있네,

:(모든 곳에 갔기 때문에)

:아홉 세계에 왔었지,

:니플헬 아래로,

:그곳은 죽은 자들이

:사는 곳이라네."[2]

3. 2. 〈발드르의 꿈〉

발드르의 꿈》에서 오딘은 아들 발드르의 악몽에 대해 묻기 위해 직접 니플헬을 방문한다.[4] 오딘은 슬레이프니를 타고 니플헬로 내려가 사냥개를 만난다.[5] 이때 니플헬은 '깊은 니플헬'로 묘사된다.[5]


참조

[1] 서적 Gylfaginning Section III https://books.google[...] 1916-01-01
[2] 웹사이트 Vafþrúðnismál http://wayback.vefsa[...]
[3] 웹사이트 The Ballad of Vafthruthnir http://www.sacred-te[...] 1936-01-01
[4] 웹사이트 Baldrs draumar http://wayback.vefsa[...]
[5] 웹사이트 Baldr's Dreams http://www.sacred-te[...] 1936-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