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디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디아는 미낭카바우어에서 유래한 인도네시아의 전통 발효유이다. 물소의 젖을 대나무 통에 넣고 바나나 잎으로 덮어 자연 발효시켜 제조하며, 앙피앙, 팜슈가, 밥, 삼발 등과 함께 섭취한다. 다디아는 미낭카바우족의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지며, 발효 과정 및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음료 - 인도네시아의 커피 생산
- 인도네시아의 음료 - 히비스커스차
히비스커스차는 히비스커스 꽃잎을 우려낸 음료로 세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혈압을 낮추는 데 긍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으나 과다 섭취 시 간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어 섭취량에 유의해야 한다. - 요구르트 - 아이란
아이란은 요구르트에 물과 소금을 섞어 만든 중앙아시아 튀르크족의 전통 음료이며, 지역에 따라 제조법에 차이가 있다. - 요구르트 - 프로즌 요거트
프로즌 요거트는 1970년대 미국에서 개발되어 건강상의 이점과 달콤한 맛으로 인기를 얻어 여러 나라에서 대중화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요거트 아이스크림으로 불린다.
다디아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인도네시아 |
지역 | 수마트라바랏 주 |
주요 재료 | 물소 젖 |
일반 | |
다른 이름 | Dadih |
종류 | 발효유 |
2. 명칭
'''다디아'''(''Dadih'') 또는 '''다디'''는 미낭카바우어에서 유래한 말로, 인도네시아어로는 '다디아(Dadih)'라고도 불린다.
다디아는 미낭카바우족 사회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 음식으로 여겨지지만, 그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물소의 젖(생유)을 대나무 통에 넣고 바나나 잎으로 덮어 실온에서 2일 정도 두면, 생유에 포함된 유산균의 작용으로 자연 발효되어 다디아가 만들어진다.[11]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별도의 배양균(스타터)을 첨가하지 않는다.
3. 역사
4. 제조 방법
4. 1. 사용 재료
물소의 젖(생유)을 대나무 통에 넣고 바나나 잎으로 덮어 실온에서 2일 정도 두면, 생유에 포함된 유산균의 작용으로 자연 발효되어 다디아가 만들어진다.
5. 종류
다디아는 발효 시간, 사용되는 젖의 종류, 첨가물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6. 섭취 방법
인도네시아에서는 다디를 앙피앙(ampiang, 찹쌀을 튀겨 만든 전통적인 아라레)과 팜슈가(야자당)에 섞어 아침 식사로 먹거나, 따뜻한 밥과 삼발에 섞어 먹기도 한다.
7. 기타
다디아와 유사한 발효유는 세계 각지에서 발견된다. 요거트의 종류에는 커드, 다우, 프로즌, 마초운, 나이 라오, 카티크, 스트레인드 등이 있다.
7. 1. 다른 지역의 유사 발효유
다디아와 유사한 발효유는 세계 각지에서 발견된다. 요거트의 종류에는 커드, 다우, 프로즌, 마초운, 나이 라오, 카티크, 스트레인드 등이 있다.7. 2. 한국과의 관계
다디아는 인도네시아의 전통 발효유 제품으로,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과는 제조 방식 및 재료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유제품을 발효시켜 섭취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최근 한국에서도 인도네시아 전통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디아를 접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7. 3. 연구 및 개발
다디아에 대한 연구는 발효 과정과 유산균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다디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7. 4. 사회문화적 의의
다디아는 단순한 음식을 넘어 미낭카바우족의 정체성과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발효유의 일종인 다디아는 미낭카바우 사회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8. 같이 보기
요거트의 일종인 다디아는 발효유로, 인도네시아 요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로 미낭카바우족이 물소젖으로 만든다.
참조
[1]
서적
Fermented milks of Asia
Academic Press
2002
[2]
웹사이트
Indonesian's Culture Heritages Portal.
https://archive.toda[...]
2012-03-31
[3]
논문
Antimutagenicity of milk cultu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from dadiah against mutagenic terasi
1996
[4]
논문
"In vitro'' probiotic properties of indigenous dadiah lactic acid bacteria"
2003
[5]
논문
Potential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nd Enterococcus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dadiah fermented milk against pathogen intestinal colonization
2007
[6]
논문
Indigenous dadiah Lactic Acid Bacteria: Cell-surface Properties and Interactions with Pathogens
2007
[7]
논문
Effect of glucose and incubation temperature on metabolically active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dadiah in removing microcystin-LR
2008-02
[8]
논문
Effect of glucose in removal of microcystin-LR by viable commercial probiotic strains and strains isolated from dadiah fermented milk
2008
[9]
논문
Indonesian biodiversities, from microbes to herbal plants as potential functional foods
2008
[10]
논문
In vivo Antimutagenicity of Dadiah Probiotic Bacteria towards Trp-P1
2009
[11]
서적
Fermented milks of Asia
Academic Pres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