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기 다쿠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기 다쿠야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공격수로 활약하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44경기 27골을 기록했고, 1992년 AFC 아시안컵 우승을 이끌었다. 클럽팀에서는 산프레체 히로시마, 베르디 가와사키, 콘사돌레 삿포로 등에서 뛰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변신하여 요코하마 FC, 도쿄 베르디, 로아소 구마모토, V-파렌 나가사키, 오미야 아르디자, SC 사가미하라 등을 지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V-파렌 나가사키의 축구 감독 - 데구라모리 마코토
데구라모리 마코토는 스미토모 금속, NEC 야마가타에서 선수로 활동한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베갈타 센다이 J1리그 승격 및 U-23 일본 대표팀 AFC U-23 챔피언십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했다. - V-파렌 나가사키의 축구 감독 - 요시다 다카유키
요시다 다카유키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으로, 선수 시절 공격수와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은퇴 후 비셀 고베와 V-파렌 나가사키의 감독을 역임하며 J1리그 우승 및 천황배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하고 J리그 우승 감독상을 2회 수상했다. - 로아소 구마모토의 축구 감독 - 요시다 야스시
요시다 야스시는 미쓰비시 자동차에서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우라와 레즈에서 지도자 생활을 했으며, 일본 U-20 국가대표팀 감독을 거쳐 로아소 구마모토와 사뭇 프라칸 시티 FC의 감독을 역임했다. - 로아소 구마모토의 축구 감독 - 오키 다케시
오키 다케시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선수 시절에는 미드필더와 포워드로 활약했고, 시미즈 에스펄스 등 여러 팀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2010 FIFA 월드컵에 참여했고, 2021년에는 로아소 구마모토를 J3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다. - SC 사가미하라의 축구 감독 - 아키바 다다히로
아키바 다다히로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서, 선수 시절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의 감독과 대표팀 코치를 거쳐 2023년 시미즈 에스펄스 감독으로 J2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 SC 사가미하라의 축구 감독 - 니시가야 다카유키
니시가야 다카유키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나고야 그램퍼스 등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쓰쿠바 대학 코치, 메이지 대학 감독 등을 거쳐 미토 홀리호크, SC 사가미하라 감독,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 후 현재 태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다카기 다쿠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67년 11월 12일 |
출생지 | 나가사키현 미나미시마바라시 |
키 | 1.88m |
포지션 | 공격수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구니미 고등학교 (1983–1985) 오사카 상업대학 (1986–1989) |
클럽 | 후지타 공업 (1990–1991) 산프레체 히로시마 (1991–1997) 베르디 가와사키 (1998–1999) 콘사돌레 삿포로 (2000) |
국가대표 | 일본 (1992–1997) |
총 출장 / 골 | 245 / 76 |
국가대표 출장 / 골 | 44 / 27 |
수상 내역 (선수) | |
소속팀 | 산프레체 히로시마 |
준우승 | J1리그 1994 천황배 1995 천황배 1996 |
대회 | AFC 아시안컵 |
우승 | 1992 일본 |
감독 경력 | |
클럽 | 요코하마 FC (2006–2007) 도쿄 베르디 (2009) 로아소 구마모토 (2010–2012) V-파렌 나가사키 (2013–2018) 오미야 아르디자 (2019–2020) SC 사가미하라 (2021–2022) |
2. 선수 경력
다카기 다쿠야는 구니미 고등학교와 오사카 상과대학에서 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1990년 대학 졸업 후 일본 사커 리그의 후지타 공업(현 쇼난 벨마레)에 입단했다. 1991년 마쓰다(현 산프레체 히로시마)로 이적, 1992년 JSL 영 플레이어 상을 수상했고, 이반 하셰크와의 공격 콤비로 1994년 J1 리그 2스테이지 우승을 이끌었다.
1998년 베르디 가와사키로 이적했고, 2000년에는 J2 리그의 콘사돌레 삿포로로 이적하여 그 해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는 44경기에 출전해 27골을 기록했다.[1] 1992년 한스 오프트 감독 체제 하에서 국가대표팀에 발탁, 아르헨티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데뷔했다.[1] 1992년 AFC 아시안컵에서 사우디 아라비아와의 결승전 결승골로 일본의 첫 우승을 이끌었고, '아시아의 대포'라는 별명을 얻었다.[28]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과 1996년 AFC 아시안컵에도 참가했다.
2. 1. 클럽 경력
다카기 다쿠야는 구니미 고등학교와 오사카 상과대학을 졸업하고, 1990년 일본 사커 리그의 후지타 공업(현 쇼난 벨마레)에 입단하면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1년 마쓰다(현 산프레체 히로시마)로 이적하여 1992년 JSL 영 플레이어 상을 수상했다. 이반 하셰크와 함께 공격을 이끌며, 히로시마가 1994년 J1 리그 2스테이지에서 우승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20][21]1998년, 히로시마의 재정 문제로 베르디 가와사키로 이적했다. 이적 첫해 22경기에서 9골을 넣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18] 잦은 부상으로 출전 기회가 줄었다. 1999년 말 오카다 타케시 감독의 권유로 콘사돌레 삿포로로 이적, 2000년 팀의 J2 리그 우승에 힘을 보탰으나, 리그 경기에서 골을 기록하지는 못하고[18] 그해 은퇴했다.
2. 1. 1. 선수 시절 특징
현역 시절에는 184cm, 85kg(선수 시절에는 188cm, 82kg)의 뛰어난 체격을 활용한 포스트 플레이와 헤딩을 무기로 득점을 올린 센터 포워드였다. "아시아의 대포"라고 불렸으며[11], 한스 오프트 감독 재임 시절의 일본 대표팀에서 핵심 선수였다.[12] 마크 휴즈를 동경하는 선수로 삼았다.[12]2. 1. 2. 상세 기록
클럽 | 시즌 | 리그 | 천황배 (Emperor's Cup) | J.리그컵 (J.League Cup)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후지타 공업 | 1990-91 | JSL 디비전 2 | 15 | 3 | 0 | 0 | 0 | 0 | 15 | 3 |
마츠다 | 1991-92 | JSL 디비전 1 | 22 | 9 | 0 | 0 | 0 | 0 | 22 | 9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992 | J1 리그 | – | 0 | 0 | 7 | 4 | 7 | 4 | |
1993 | 29 | 11 | 2 | 0 | 0 | 0 | 31 | 11 | ||
1994 | 42 | 14 | 0 | 0 | 1 | 0 | 43 | 14 | ||
1995 | 24 | 5 | 5 | 4 | – | 29 | 9 | |||
1996 | 30 | 11 | 5 | 2 | 6 | 1 | 41 | 14 | ||
1997 | 26 | 12 | 2 | 1 | 0 | 0 | 28 | 13 | ||
베르디 가와사키 | 1998 | J1 리그 | 22 | 9 | 3 | 0 | 1 | 0 | 26 | 9 |
1999 | 18 | 2 | 0 | 0 | 3 | 1 | 21 | 3 | ||
콘사돌레 삿포로 | 2000 | J2 리그 | 17 | 0 | 3 | 1 | 1 | 0 | 21 | 1 |
통산 | 245 | 76 | 20 | 8 | 20 | 6 | 285 | 90 |
'''기타 공식전'''
- 1991년: 코니카컵 6경기 3득점
- 1994년: J리그 챔피언십 2경기 0득점
2. 2. 국가대표 경력
다카기 다쿠야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44경기에 출전하여 27골을 기록했다.[1] 1992년 한스 오프트 감독 체제 하에서 국가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어, 5월 31일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데뷔했다.[1] 같은 해 8월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다이너스티컵에서 중국을 상대로 국가대표팀 첫 골을 기록했다.[1]1992년 AFC 아시안컵에서 일본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와의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일본의 첫 우승에 기여했다.[27] 이 대회에서 4경기 5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을 차지했고, '아시아의 대포'라는 별명을 얻었다.[28]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도 참가했지만, 2경기에서 골을 기록하지 못했고, 옐로 카드 누적으로 이라크와의 최종전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1996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시리아를 상대로 1골을 기록했다.[1]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1차 예선에서는 마카오와 네팔을 상대로 2경기 연속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가마모토 구니시게 이후 두 번째 기록을 세웠다.[32] 최종 예선 카자흐스탄과의 경기에서 1골을 기록했지만,[33] 이 경기가 그의 국가대표팀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일본 | 1992 | 11 | 5 |
1993 | 13 | 7 | |
1994 | 5 | 2 | |
1995 | 0 | 0 | |
1996 | 10 | 6 | |
1997 | 5 | 7 | |
합계 | 44 | 27 |
2. 2. 1.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다카기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44경기에 출전하여 27골을 기록했다.[1] 1992년 5월 31일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1] 1992년 8월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다이너스티컵 경기에서 중국을 상대로 국가대표팀 첫 골을 기록했다.[1]1992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에서 사우디 아라비아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어 일본의 첫 우승에 기여했다.[27] 이 대회에서 4경기 5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에 올랐고, '아시아의 대포'라는 별명을 얻으며[28] 인기 선수가 되었다.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2경기에서 골을 기록하지 못했고, 옐로 카드 누적으로 이라크와의 최종전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1996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시리아를 상대로 1골을 기록했다.[1]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1차 예선에서 마카오와 네팔을 상대로 2경기 연속 해트트릭을 기록했다.[32] 이는 가마모토 구니시게 이후 두 번째 기록이었다. 최종 예선 카자흐스탄과의 경기에서 1골을 기록했지만,[33] 이것이 그의 국가대표팀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No. | 날짜 | 장소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1992년 8월 24일 | 베이징, 중국 | 2–0 | 2–0 | 1992년 다이너스티컵 | |
2. | 1992년 8월 26일 | rowspan=2| | 2–1 | 4–1 | ||
3. | 3–1 | |||||
4. | 1992년 8월 29일 | 2–1 | 2–2 (4–2 p) | |||
5. | 1992년 11월 8일 | 히로시마, 일본 | 1–0 | 1–0 | 1992년 AFC 아시안컵 | |
6. | 1993년 4월 11일 | 도쿄, 일본 | rowspan=2| | 2–0 | 8–0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7. | 6–0 | |||||
8. | 1993년 4월 15일 | rowspan=2| | 1–0 | 5–0 | ||
9. | 4–0 | |||||
10. | 1993년 4월 18일 | 2–0 | 2–0 | |||
11. | 1993년 4월 30일 | 두바이, UAE | 4–1 | 4–1 | ||
12. | 1994년 5월 5일 | 4–0 | 6–0 | |||
13. | 1994년 10월 5일 | 히로시마, 일본 | 1–1 | 1–1 | 1994년 아시안 게임 | |
14. | 1994년 10월 9일 | 오노미치, 일본 | 2–0 | 5–0 | ||
15. | 1996년 2월 10일 | 울릉공, 호주 | rowspan=2| | 2–0 | 4–1 | 친선 경기 |
16. | 3–0 | |||||
17. | 1996년 2월 19일 | 코즈웨이베이, 홍콩 | rowspan=2| | 2–0 | 5–0 | 1996년 음력 설날 컵 |
18. | 5–0 | |||||
19. | 1996년 8월 25일 | 오사카, 일본 | 3–? | 5–3 | 친선 경기 | |
20. | 1996년 12월 6일 | 알 아인, UAE | 2–1 | 2–1 | 1996년 AFC 아시안컵 | |
21. | 1997년 3월 25일 | 무스카트, 오만 | rowspan=3| | 2–0 | 10–0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22. | 3–0 | |||||
23. | 6–0 | |||||
24. | 1997년 3월 27일 | rowspan=3| | 2–0 | 6–0 | ||
25. | 3–0 | |||||
26. | 5–0 | |||||
27. | 1997년 11월 8일 | 도쿄, 일본 | 5–1 | 5–1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
다카기 다쿠야는 선수 경력을 마친 후 텔레비전 축구 해설가로 활동했으며, 2004년에 J리그 클럽 감독 자격 요건인 S급 코칭 라이센스를 취득했다.[2]
3. 지도자 경력
2006년, 요코하마 FC 수석 코치로 임명되었으나, 시즌 개막전 패배 후 해고된 아다치 유스케를 대신하여 감독으로 승진했다.[2] 코치 경험 부족과 아다치의 이른 해고는 팬들의 반발을 샀지만, 부임 후 15경기 연속 무패 행진을 기록하며 J리그 신기록을 세웠다. 770분 연속 무실점 기록으로 '하마나치오'라는 별명을 얻었고, 7경기 연속 클린 시트로 J2 리그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요코하마 FC는 J2 리그 우승과 함께 사상 첫 J1 리그 승격을 달성했다.
2007년, 선수단에 큰 변화를 주며 J1 리그에 도전했지만, 주전 선수들의 부상과 구단과의 갈등으로 8월에 해고되었다.[5] 2008년에는 도쿄 베르디 코치, 2009년에는 감독을 맡았으나 부진한 성적으로 10월에 해임되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로아소 구마모토 감독, 2013년부터 2018년까지 V-바렌 나가사키 감독을 맡아 팀을 J1 리그로 승격시켰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는 오미야 아르디자 감독을 역임했다.팀 시작 종료 기록 경기 승 무 패 승률 요코하마 FC 2006 2007 69 29 17 23 42.0% 도쿄 베르디 2009 2009 44 17 9 18 38.6% 로아소 구마모토 2010 2012 116 42 34 40 36.2% V-파렌 나가사키 2013 2018 244 88 71 85 36.1% 오미야 아르디자 2019 2020 34 16 12 6 47.1% 합계 507 192 143 172 37.9%
3. 1. 감독으로서의 특징
다카기 다쿠야는 지도자 경험이 부족했음에도 2006년 요코하마 FC 감독으로 취임한 후 J리그 신임 감독 최장 기간 무패 기록(15경기)을 세우는 등 뛰어난 지도력을 보여주었다.[34] 특히 수비를 중시하는 전술로 770분 연속 무실점이라는 J리그 신기록을 세우며 '하마나치오'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35]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요코하마 FC를 J2 우승으로 이끌며 J1 승격을 달성했다.
2007년 J1에서도 요코하마 더비를 승리로 이끄는 등 선전했지만, 선수 부상과 구단과의 갈등으로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36] 이후 도쿄 베르디, 로아소 구마모토, V-바렌 나가사키, 오미야 아르디자 등 여러 클럽의 감독을 역임했다. 특히 V-바렌 나가사키를 J1으로 승격시키기도 했지만, 1년 만에 J2로 강등되기도 했다.[46]
그는 수비에 중점을 두면서 카운터를 노리는 전술을 주로 사용하며, 선수들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팀을 이끄는 스타일로 평가받는다.
4. 개인적인 면모
- 성격은 온후하며, 마에조노 마사토는 몸집이 크고 온후한 다카기를 "사장"이라고 불렀다. 나카야마 마사시 등 "도하 조"는 다카기를 "부-얀"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성이 같은 다카기 부와 타쿠야의 "琢"자가 "돼지"와 닮은 것에서 유래했다.[60] 요코하마 FC 감독이 된 후, 미우라 가즈요시는 인터뷰 등에서 "다카기 감독"이라고 부르며 연하의 지휘관에게 경의를 표했지만, 이와타에 재적하고 있던 동갑내기 나카야마는 "부-얀"이라는 별명을 바꾸지 않아 다카기를 곤혹스럽게 했다.
- 좋아하는 연예인은 하마다 쇼고이다. 중학생 시절부터 팬이었으며, 산프레체 히로시마 소속 당시 고향이 히로시마인 하마다 쇼고와 대면한 이후 다른 연예인에게는 흥미를 잃었다.
- 2006년부터 나가사키현의 "코코로넷코 운동" 이미지 캐릭터를 맡아, TV CM에서 아버지 역할을 했다. 이 운동은 지역·가정·학교가 협력하여 아이를 기르는 현민 운동이다.
5. 수상 경력
'''개인'''
'''클럽'''
'''국가대표'''
- 1992년 아시안컵 우승[1]
- 1992년 다이너스티컵 우승[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