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카하시 유니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하시 유니온스는 1954년 창단되어 1957년 다이에이 스타스와 합병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일본 프로 야구 팀이다. 퍼시픽 리그의 7개 팀 체제에서 경기를 치르기 어려워 창단되었으며, 다카하시 료타로가 스폰서로 참여했다. 팀은 가와사키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며, 1955년에는 돈보 연필과의 제휴로 '돈보 유니온스'로 팀명을 변경하기도 했다. 팀의 전력은 약했으나, 빅토르 스타루힌이 300승을 달성하고 사사키 신야가 신인으로 활약하는 등 주목할 만한 선수들이 있었다. 경영 악화와 8팀 체제로 인한 경기 일정 문제로 인해 다이에이 스타스와 합병, 이후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되어 지바 롯데 마린스의 전신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설립된 야구팀 - 레오네스 데 유카탄
    레오네스 데 유카탄은 1954년에 창단되어 멕시칸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여러 차례 중단과 재창단을 거쳤으며, 페르난도 발렌수엘라가 선수로 뛰었고 멕시코시티의 두 팀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다카하시 유니온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다카하시 유니온스
영어 표기Takahashi Unions
이전 이름톰보 유니온스 (1955년)
창단 연도1954년
해체 연도1956년
소속 리그
리그니폰 프로 야구
퍼시픽 리그
구단 정보
모기업다카하시 구단 (해산 시)
구단주다카하시 류타로 (해산 시)
감독가사하라 가즈오 (해산 시)
홈 구장가와사키 구장
연고지가나가와현 (1954년 - 1956년)
기록
일본 시리즈 우승 횟수0회
리그 우승 횟수0회
기타 정보
흡수 합병다이에이 유니온스에 흡수 합병 (1957년 개막 직전)
2군 명칭톰보 B 유니온스 (1954년 - 1956년)

2. 구단의 역사

1953년 당시 퍼시픽 리그는 7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어 경기 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1954년 다카하시 료타로를 스폰서로 하는 다카하시 유니온스가 창단되었다. 팀 이름은 다이닛폰 맥주의 '유니온 맥주'에서 따왔다.

1955년에는 톰보 연필과의 제휴로 톰보 유니온스로 팀명을 변경했으나, 1년 만에 다시 다카하시 유니온스로 돌아왔다. 그러나 재정난과 경기 일정 문제로 1957년 다이에이 스타스와 합병하여 다이에이 유니온스가 되었고, 이듬해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하여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가 되었다.

홈구장은 가와사키 구장을 사용했으며, 다이요 웨일스와 공동으로 사용했다.[9] 예산과 선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관중 수도 매우 적었다. 사사키 신야는 관중이 30명 미만인 경기도 있었다고 회고했다.[9]

1969년 이시카와 스스무 선수의 은퇴를 끝으로, 다카하시 유니온스에 소속되었던 모든 선수가 현역에서 은퇴했다. 이후 2004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창단되기 전까지 50년 동안 일본 프로 야구에 새로운 팀이 참가하지 않았다.

빅토르 스타르핀이 다카하시 유니온스에서 300승을 달성했다.

2. 1. 창단 배경

1953년 당시 퍼시픽 리그는 7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어, 팀 수가 홀수여서 모든 팀이 모여 공식 경기를 개최할 수 없었다. 그래서 승률 3할 5푼을 밑도는 팀은 강제로 해산하는 벌칙을 마련했지만, 벌칙이 적용된 팀은 없었다.

이에 따라 1954년 시즌 개막 전에 다카하시 료타로를 후원하여 '''주식회사 다카하시 구단'''을 설립하였다. 다카하시 료타로는 전쟁 이전에 이글스의 오너였다. 급조된 팀이었기 때문에 퍼시픽 리그 각 팀에서 젊은 선수들을 공출하도록 합의했지만, 실제로 모인 것은 문제가 있는 선수들이나 전력 외 선수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렇게 다카하시 유니온스가 결성되었다. 팀의 애칭인 '유니온스'는 다카하시가 전쟁 전에 경영하던 대일본 맥주의 주력 상품이었던 '유니온 맥주'에서 따온 것이다.[9]

2. 2. 팀명 변경

1954년 시즌 개막 전에 다카하시를 스폰서로 주식회사 다카하시 구단을 설립하여 다카하시 유니온스가 결성되었다. 유니온스라는 이름은 징발품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다카하시가 전전에 경영했던 다이닛폰 맥주의 주력 상품이었던 '유니온 맥주'에서 따온 것이다.[1]

1955년에 톰보 연필 제작소(현: 톰보 연필)와 업무 제휴하여 '''톰보 유니온스'''로 팀명을 변경했지만,[1] 1년 만에 제휴가 해소되고 1956년에 다시 '''다카하시 유니온스'''로 돌아왔다.[1]

2. 3. 합병과 해체

1955년 '돈보 연필'과 제휴하여 '''돈보 유니온스'''(トンボユニオンズ)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그러나 이 또한 개선되지 않아 1년 만에 제휴가 해소되어 다시 다카하시 유니온스로 돌아왔다. 본래 야구에 관심이 없었던 돈보 측에서는 의지가 없었지만, 1년만이라도 구단 명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퍼시픽 리그에서 간절히 부탁했고, 해소는 사전에 협의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9]

그 후 경영 악화와 8개 팀의 경기 일정이 많다는 이유로 1957년 2월 26일 다이에이 스타스와 합병하여 '''다이에이 유니온스'''가 되었고,[9] 1958년 3월 10일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하여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가 되었다.[9]

한편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의 후신인 지바 롯데 마린스는 구단 역사에서 다카하시 유니온스를 방계 취급하며, 결성 연도 및 기타 기록은 일절 포함하지 않는다.[9]

사사키 신야에 따르면, 관중이 30명 미만인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우사미 데쓰야의 저서 《프로 야구 기록 대감》(고단샤)에는 3년 동안 집계된 관중 수가 1954년 140경기에서 212,000명, 1955년 141경기에서 163,000명, 1956년 154경기에서 146,00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위장 관중도 포함된 수치로 추측된다. 따라서 3년 동안의 관중 수는 한신 타이거스요미우리 자이언츠의 9경기분과 같다고도 한다. 또한 사사키는 다카하시 유니온스와 다이에이 스타스의 합병에 대해 "팀이 다이에이 유니온스(15명), 도에이 플라이어스(6명), 긴테쓰 펄스(4명), 해고(7명)의 네 갈래로 찢어진 경위상 합병이라기보다는 구단 해산으로 표현을 수정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고 있다.[9]

3. 팀의 특징

다카하시 유니온스는 여러 면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진 팀이었다.


  • 선수단 및 주요 선수:
  • 빅토르 스타루힌: 1955년에 일본 프로 야구 최초로 300승을 달성한 투수이다. 그 해 은퇴했기 때문에 기록이 보도될 당시 소속 구단은 '돈보'라고 표기되었다.[1] 다카하시 유니온스의 제1호 계약 선수이기도 했다.
  • 사사키 신야: 1956년에 입단하여 신인이면서도 전 경기, 전 이닝에 출장하며 리그 최다 안타와 베스트 나인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 돈 부산: 타구에 대해 반드시 한 걸음을 앞으로 나간 후 뒤로 물러서는 독특한 수비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 자이언트 바바: 고등학교 2학년 때 팀 동료 포수와 함께 돈보 유니온스의 입단 테스트를 받을 뻔했지만, 요미우리의 초대를 받아 입단하게 되었다.

  • 팀 성적 및 분위기:
  • 1955년, 개막 이후 12연패(무승부 없음) 및 개막 후 14경기 시점에서 1승 13패(승률 7푼 1리)를 기록하며 당시 NPB 최악의 기록을 세웠다. (이후 1979년에 세이부가 동률, 2022년에 한신 타이거스가 갱신)[1]
  • 베테랑 선수들로 구성된 팀은 험악한 분위기였으며, 응원단 또한 경기 중 심판에게 야유를 하는 등 행실이 좋지 않았다.
  • 하지만 팀 내 분위기는 따뜻해서, 끝내기 실책을 범한 선수를 격려하는 선수도 있었다고 한다.

  • 구단 운영 및 해체:
  • 1955년 시즌 중에는 코치인 가미바야시 시게지로가 후나바시시 시의원 선거에 입후보하여 당선되기도 했다.[3]
  • 1957년 2월, 오카야마현 야구장에서 해단식이 열렸다. "다카하시 유니온스 해단"이라는 현수막 아래 기념 촬영 후, 선수들은 다른 구단 관계자에게 불려가 이적 처리되었다. 이적하지 못한 15명의 선수는 그대로 야구계를 떠났다.[5]

  • 오너:
  • 오너였던 다카하시 료타로는 차 안에서 선수(사사키 신야)의 타율을 계산할 정도로 야구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7]

3. 1. 전력


  • 1955년, 빅토르 스타루힌 투수가 일본 프로야구 사상 첫 300승을 달성했다. 이 해에 스타루힌은 은퇴했기 때문에, 그의 기록이 보도될 때는 소속 구단 란에 "돈보"라고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1] 스타루힌은 구단의 계약 선수 1호이기도 했다.
  • 1956년, 사사키 신야가 입단하여 신인이면서도 전 경기(당시는 154경기) 전 이닝 출장, 리그 최다 안타, 베스트 나인을 수상하며 활약했다.
  • 1955년, 개막전부터 12연패(무승부 없음)라는 당시 NPB 최악의 기록을 세웠다.
  • 같은 해, 개막 후 14경기 시점에서 1승 13패(승률 7푼 1리)를 기록하여, 시즌 도중 승률로서 당시 NPB 최악의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1979년 세이부 라이온스가 16경기 시점에서 1승 13패 2무로 동률을 이루었고, 2022년 한신 타이거스가 16경기 시점에서 1승 14패 1무(승률 6푼 7리)를 기록하며 갱신되었다.[1]
  • 외야수 돈 부산은 타구에 대해 반드시 한 걸음 전진한 후 뒤로 가는 독특한 수비 방식을 보였다.
  • 1955년 시즌 중, 가미바야시 시게지로 코치가 후나바시시 시의원 선거에 입후보하여 당선되었다.[3]
  • 다카하시 유니온스의 마지막 경기는 1956년 10월 8일 우라와 시립 구장에서 열린 마이니치 오리온즈와의 경기였다. 4-1로 앞서가던 9회말, 마이니치에게 1점차까지 추격당했지만, 투수 이토 시로가 마지막 타자를 삼진으로 잡아내며 승리했다. 이 해 다카하시의 최종 승률은 3할 5푼 0리 6모 5사(0.35065)로, 제재금은 면제받았다.[4]
  • 자이언트 바바는 고등학교 2학년 때 돈보 유니온스의 테스트를 받을 뻔했으나, 요미우리의 초대로 입단했다.[6]
  • 오너였던 다카하시 료타로는 운전사에게 사사키 신야의 타율을 계산하고 있다고 말했고, 이를 전해 들은 사사키는 감격했다.[7]

3. 2. 열악한 환경

다카하시 유니온스는 선수, 구단 운영, 팬, 심지어 해단식까지 여러 면에서 열악한 환경을 보여주었다.

  • 선수 관련 일화:
  • 외야수 돈 부산은 타구 판단에 미숙하여 평범한 타구를 놓치는 실수를 자주 범했다. 한번은 좌익수 앞 타구를 놓치고 펜스까지 달려갔지만, 펜스에 맞고 나온 공을 다시 놓치는 진기한 플레이를 펼치기도 했다.[2]
  • 자이언트 바바는 고등학교 2학년 때 팀 동료 포수와 함께 돈보 유니온스의 입단 테스트를 받을 뻔했으나, 요미우리의 초대로 입단했다. 당시 테스트에 합격한 10명의 통산 성적은 투수 0승, 타자 38안타에 불과했고,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한 선수도 4명이나 되었다.[6]

  • 구단 운영 및 분위기:
  • 1955년 개막전부터 12연패(무승부 없음)를 기록하며 당시 NPB 최악의 기록을 세웠다.[1] 같은 해 개막 후 14경기 시점에서 1승 13패(승률 7푼 1리)를 기록, 시즌 도중 승률로는 당시 NPB 최악의 기록이었다.[1] (이후 갱신됨)
  • 선수단은 베테랑 위주로 험악한 분위기였고, 응원단 역시 경기 중 심판에게 "입원하고 싶냐"는 등의 야유를 퍼붓는 등 행실이 좋지 않았다.[2]
  • 팀 내 분위기는 따뜻해서, 끝내기 실책을 범한 사사키 신야를 아무도 나무라지 않고 안아서 벤치로 데려간 선수도 있었다고 한다.[2]

  • 해단:
  • 1957년 2월, 캠프지인 오카야마현 야구장에서 해단식이 열렸다. 펜스에는 "다카하시 유니온스 해단"이라는 현수막이 걸렸고, 선수들은 기념 촬영 후 다른 구단 관계자에게 불려가 이적하는 방식으로 해산되었다. 이적하지 못한 15명은 그대로 야구계를 떠나게 되었다.[5]

  • 오너:
  • 오너였던 다카하시 료타로는 차 안에서 선수(사사키 신야)의 타율을 계산할 정도로 야구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7]

3. 3. 따뜻한 팀 분위기

팀 내 분위기는 따뜻해서, 끝내기 실책을 범한 사사키 신야를 아무도 나무라지 않고, 안아서 벤치로 데려간 선수도 있었다고 한다. 사사키는 당시 "아, 정말 좋은 팀이구나"라고 생각했지만, 훗날 "그런 타카하시라서 약했던 거겠지"라고 회고하고 있다. 사사키는 마지막 캠프에서 찍은 사진을 지금도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2]

3. 4. 독특한 에피소드


  • 1955년, 빅토르 스타루힌이 일본 야구 최초로 300승을 달성했다. 스타루힌은 그 해 은퇴했기 때문에, 기록 보도 당시 소속 구단은 '돈보'로 표기되었다. 스타루힌은 구단 제1호 계약 선수이기도 했다.[1]
  • 1956년, 사사키 신야가 입단하여 신인으로 전 경기 전 이닝 출전, 리그 최다 안타, 베스트 나인을 수상했다.[1]
  • 외야수 돈 부산은 타구에 대해 반드시 한 걸음을 전진한 후 뒤로 가는 독특한 수비 방식을 보였다. 좌측 타구를 놓쳐 펜스까지 달려갔으나, 펜스에 맞고 나온 공을 다시 놓치는 플레이를 펼치기도 했다.[2]
  • 1957년 2월, 오카야마현 야구장에서 해단식이 열렸다. 펜스에 "다카하시 유니온스 해단" 현수막이 걸렸고, 선수단 전원이 기념 촬영 후 다른 구단 관계자에게 불려가 이적이 처리되었다. 이적하지 못한 15명은 야구계를 떠났다.[5]
  • 자이언트 바바는 고등학교 2학년 때 돈보의 입단 테스트를 받을 뻔했으나, 요미우리의 초대로 입단했다.[6]
  • 구단주 다카하시 료타로는 자동차 안에서 사사키 신야의 타율을 계산할 정도로 야구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 운전사에게 이 이야기를 들은 사사키는 감격했다.[7]
  • 1955년, 개막 후 12연패(무승부 없음)라는 당시 NPB 최악의 기록을 세웠다.
  • 같은 해, 개막 후 14경기 시점에서 승률 7푼 1리(1승 13패)를 기록, 당시 NPB 최악의 승률이었다. 2022년 한신 타이거스가 16경기 시점에서 승률 6푼 7리(1승 14패 1무)를 기록하며 갱신되었다.[1]
  • 선수들은 베테랑 위주였고, 험악한 분위기 속에서 상대 포수에게 위협적인 언행을 하기도 했다. 응원단 역시 경기 중 심판에게 야유를 퍼붓는 등 행실이 좋지 않았다.
  • 팀 내 분위기는 따뜻해서, 끝내기 실책을 범한 사사키를 격려하는 선수도 있었다. 사사키는 훗날 "그런 다카하시였기에 약했던 것"이라고 회고했다.[2]
  • 1955년, 가미바야시 시게지로 코치가 지바현 후나바시시 시의원 선거에 입후보하여 당선되었다.[3] 노무라 다케시, 오다노 가시와 등이 선거 운동에 관여했다. 이들은 창가학회 신자였으며, 선거 운동 문제로 퇴단했다. 이는 니치렌종 신자였던 나가타 마사카즈의 분노를 사 구단 소멸의 원인이 되었다.
  • 1956년 10월 8일, 우라와 시립 구장에서 마이니치 오리온즈와의 경기가 다카하시 유니온스의 마지막 경기였다. 2년 연속 승률 3할 5푼 미만으로 해산 위기였으나, 마이니치 투수 나카가와 다카시의 배려에도 3회까지 득점하지 못했다. 4회 초 사사키 신야의 2점 2루타 등으로 3점을 얻고, 7회에 1점을 추가하여 4-1로 앞섰다. 다나카 테루오를 구원한 이오 타메오는 4회에 1점을 잃었지만, 이후 호투했다. 9회말 2사 만루에서 오카다 모리오에게 좌전 안타를 맞아 4-3, 1점 차가 되었다. 이토 시로가 하시모토 지카라를 삼진으로 잡아내며 승리, 최종 승률 3할 5푼 6리 5사(0.35065)로 제재금을 면했다. 그러나 다음 해 2월 다이에이 스타즈와 합병하여 구단은 소멸했다.[4]
  • 다카하시 료타로의 손자 아키야마 테쓰오가 2015년, 『"타카하시 구단(유니온스)" 3년간의 발자취』를 자비 출판했다.[8]

4. 유니폼의 변천


  • 1954년 - 모자 디자인은 "T"와 "U"를 조합했으며, 가슴 글자는 홈 유니폼은 고딕체로 "Unions", 원정 유니폼은 "TAKAHASI"였다.
  • 1955년 - "톤보 유니온스"가 되면서 왼쪽 가슴에 톤보 연필의 마크를 사용(마크 아래에 "UNIONS"). 원정 유니폼은 가슴 전체에 "Tombow"가 새겨졌다.

5. 역대 홈구장

다카하시 유니온스는 1954년부터 1956년까지 가와사키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1] 1955년 다이요 웨일스가 오사카 구장에서 가와사키 구장으로 이전해 오면서, 그 해부터 2년간 다이요 웨일스와 유니온스 두 구단이 가와사키 구장을 함께 사용했다.[1]

6. 연도별 팀 성적

가사하라 가즈오(9월 24일부터 대행)814142981.30057.0.2273.94401956년가사하라 가즈오815452984.34745.5.2143.2650

참조

[1] 뉴스 【データ】阪神1勝14敗1分け勝率・067 シーズン中の勝率6分台はプロ野球史上初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04-14
[2] 서적 きらめきのルーキ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3] 서적 最弱球団 高橋ユニオンズ青春記 白夜書房 2011
[4] 간행물 「文藝春秋」にみるスポーツ昭和史II 文藝春秋 1988-08
[5] 뉴스 セブンデイズ 東京中日スポーツ/中日スポーツ 2010-02-03
[6] 서적 巨人軍の巨人 馬場正平 イースト・プレス 2015
[7] 간행물 球団興亡史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04-09 # 추정 날짜. 가을호이므로 9월로 설정
[8] 뉴스 「高橋ユニオンズ」の歩み、オーナー孫が自費出版 https://web.archive.[...] スポーツ報知 2015-01-10
[9] 뉴스 ‘욕심’ 버리고 ‘인기’ 얻은 日롯데 역사 https://sports.news.[...] 엑스포츠뉴스 2012-05-15
[10] 뉴스 ‘욕심’ 버리고 ‘인기’ 얻은 日롯데 역사 https://sports.news.[...] 엑스포츠뉴스 2012-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