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우치 데이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케우치 데이조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1930년 제9회 극동 선수권 대회와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일본 대표로 출전했다. 그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주장을 맡아 스웨덴을 상대로 승리하며 '베를린의 기적'을 이끌었다.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종전 후 시베리아에 억류되었고, 1946년 사망했다. 2006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베리아 억류자 - 우노 소스케
우노 소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일본 정치인으로, 외무대신 등 요직을 거쳐 제75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여성 스캔들로 인해 69일 만에 사임하며 최단명 내각 중 하나를 이끌었고, 시베리아 억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 시베리아 억류자 - 사토 슌지
사토 슌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과 만주에서 생물무기 개발 및 사용에 관여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로, 전쟁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그의 행위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를 야기했다. -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김용식 (축구인)
김용식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대한민국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활동하며 일본 국가대표로 베를린 올림픽에 참가했고,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 겸 감독으로 런던 올림픽에 출전했으며, 1954년 FIFA 월드컵에서는 감독으로서 대한민국의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고, 은퇴 후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스즈키 야스오
스즈키 야스오는 와세다 WMW에서 선수로 활동하며 1934년 극동 선수권 대회와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했고, 은퇴 후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으며, 1958년 머데카 대회에서 일본 대표팀 코치 및 단장으로 우승을 이끌었다. - 1946년 사망 - 폴 랑주뱅
폴 랑주뱅은 프랑스의 물리학자로서 상자성 및 반자성 연구, 초음파 발생, 상대성 이론 전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하고 프랑스 인권연맹 회장을 역임하다가 1946년 사망하여 1948년 파리의 팡테옹에 안장되었다. - 1946년 사망 - 페르 알빈 한손
스웨덴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 페르 알빈 한손은 1936년부터 1946년 사망할 때까지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하며 "폴크헴메트" 비전을 제시, 스웨덴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의 중립 정책을 유지했다.
다케우치 데이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케우치 데이조 |
원어 이름 | 竹内 悌三 |
로마자 표기 | Takeuchi Teizō |
출생일 | 1908년 11월 6일 |
출생지 | 도쿄도 |
사망일 | 1946년 4월 12일 |
사망지 | 아무르주 |
신장 | 170cm |
체중 | 62kg |
포지션 | 수비수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우라와 고등학교 |
유소년 클럽 연도 | 해당 정보 없음 |
유소년 클럽 2 | 도쿄 제국대학 |
유소년 클럽 연도 2 | 1928-1932 |
클럽 | 도쿄 제국대학 LB |
클럽 2 | 도쿄 구락부 |
클럽 연도 | 해당 정보 없음 |
출장 | 해당 정보 없음 |
득점 | 해당 정보 없음 |
통산 출장 | 해당 정보 없음 |
통산 득점 | 해당 정보 없음 |
최종 클럽 성적 갱신일 | 해당 정보 없음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
국가대표팀 연도 | 1930-1936 |
국가대표팀 출장 | 4 |
국가대표팀 득점 | 0 |
국가대표팀 최종 성적 갱신일 | 해당 정보 없음 |
2. 선수 경력
도쿄부립 제5중학교(현: 도쿄도립 고이시카와중등교육학교) 재학 중 축구를 시작하여, 우라와고등학교를 거쳐 1928년 도쿄 제국대학에 입학하여 아식축구부에 입부했다. 1930년 제9회 극동 선수권 경기 대회의 축구 일본 대표로 선출되어, 필리핀 대표와의 경기에서 일본 대표로 첫 출전했다.
1932년 대학 졸업 후 도쿄 화재 보험 회사에 입사했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일본 대표로 선출되어[7] 주장으로서 스웨덴 대표와의 경기 등 2경기에 출전했다.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에 징집, 종전 후 시베리아 억류되어 1946년 4월 아무르주 제20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2006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특별 선고로 선정되었다.
2015년, 장녀 이시이 미키코에 의해 '다케우치 데이조상'이 창설되었다[8].
2. 1. 클럽 경력
다케우치는 1908년 11월 6일 도쿄에서 태어났다. 도쿄 제국 대학 선수들과 졸업생들로 구성된 도쿄 제국 대학 LB에서 선수로 활동했다.[7] 도쿄부립 제5중학교(현: 도쿄도립 고이시카와중등교육학교) 재학 중 축구를 시작하여, 우라와고등학교를 거쳐 1928년 도쿄 제국대학에 입학하여 아식축구부에 입부했다. 1932년 대학 졸업 후 도쿄 화재 보험 회사에 입사했다.[7]선수 경력은 다음과 같다.
학교 |
---|
도쿄부립 제5중학교(현: 도쿄도립 고이시카와 중등교육학교) |
우라와 고등학교 |
도쿄 제국 대학 |
직장 |
도쿄 화재 해상 보험 |
2. 2. 국가대표팀 경력
1930년 5월, 다케우치는 도쿄 제국대학 학생일 때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일본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고 일본은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5월 25일 필리핀을 상대로 데뷔했다. 1936년에는 1936년 하계 올림픽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어 주장으로 2경기에 출전했다.[1] 그는 1936년까지 일본 대표팀으로 4경기에 출전했다.[2]2. 2. 1. 베를린의 기적
193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어 팀 주장으로 2경기에 출전했다.[1] 일본은 스웨덴과의 첫 경기에서 역전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올림픽에서 일본의 첫 승리이자 강호팀을 상대로 거둔 역사적인 승리였다. 이 승리는 후에 일본에서 "베를린의 기적"(베를린의 기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2016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3. 사망
1944년, 다케우치 데이조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군 복무를 했고, 종전 후 소련에 억류되었다(소련의 일본군 포로). 1946년 4월 12일, 시베리아의 제20 포로 수용소에서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9] 2006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선정되었다.
4. 사후
1944년, 다케우치 데이조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징집되어 참전하였고, 종전 후 소련에 억류되었다 (소련의 일본군 포로). 1946년 4월 12일, 시베리아의 아무르주 제20 수용소에서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9] 2006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특별 선고로 선정되었다.
5. 통산 기록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골 |
1930년 | 2 | 0 |
1936년 | 2 | 0 |
합계 | 4 | 0 |
5. 1. 국가대표팀 기록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골 |
1930년 | 2 | 0 |
1931년 | 0 | 0 |
1932년 | 0 | 0 |
1933년 | 0 | 0 |
1934년 | 0 | 0 |
1935년 | 0 | 0 |
1936년 | 2 | 0 |
합계 | 4 | 0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대회 |
---|---|---|---|---|---|---|
1 | 1930년 5월 25일 | 도쿄도 | 메이지 진구 가이엔 경기장 | 필리핀 | ○ 7-2 | 극동 선수권 대회 |
2 | 1930년 5월 29일 | 도쿄도 | 메이지 진구 가이엔 경기장 | 중화민국 | △ 3-3 | 극동 선수권 대회 |
3 | 1936년 8월 4일 | 베를린 | 스웨덴 | ○ 3-2 | 1936년 하계 올림픽 | |
4 | 1936년 8월 7일 | 베를린 | 이탈리아 | ● 0-8 | 1936년 하계 올림픽 |
5. 2. 출전 대회
다케우치 데이조는 1930년 5월 도쿄 제국대학 재학 중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일본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우승을 차지했다. 5월 25일 필리핀과의 경기에서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1] 1936년에는 1936년 하계 올림픽에 일본 대표팀 주장으로 참가하여 2경기를 뛰었다. 특히 스웨덴과의 첫 경기에서 역전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올림픽에서 일본의 첫 승리이자 강팀을 상대로 거둔 역사적인 승리로 "베를린의 기적"으로 불리게 되었다.[2] 2016년, 이 팀은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는 1936년까지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총 4경기에 출전했다.[2]그의 주요 출전 대회는 다음과 같다.
- 1930년: 제9회 극동 선수권 대회
-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참조
[1]
웹사이트
Teizo Takeuchi
https://www.olympedi[...]
2021-09-23
[2]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3]
웹사이트
竹内悌三 (Teizo Takeuchi)
http://archive.footb[...]
2010-10-05
[4]
웹사이트
TAKEUCHI Teizo
https://www.jfa.jp/e[...]
2024-04-22
[5]
간행물
『人事興信録 第12版 上』
{{NDLDC|3430445/708}[...]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0-10-24
[6]
뉴스
東京タワーが青色に/W杯での健闘を願う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2-05-25
[7]
뉴스
オリムピックへ十六選手決定す
朝日新聞
1936-04-23
[8]
웹사이트
サッカーを愛する母と子のために ~照明デザイナーの石井幹子さんが竹内悌三賞を創設~
http://www.jfa.jp/fo[...]
2015-07-03
[9]
웹사이트
竹内悌三 (Teizo Takeuchi)
http://archive.footb[...]
2010-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