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 관내 및 광주광역시, 옥과, 순창, 장성 방면으로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2019년 1월 1일 기준으로 요금은 단일화되어 있으며, 일반, 청소년, 어린이 요금이 적용된다. 동광담양고속이 운수 업체이며, 1번대부터 70번대까지 다양한 노선 번호를 사용한다. 담양군과 광주광역시를 연결하는 311번, 322번, 333번 등의 노선과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일부 노선도 담양군을 경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양군의 교통 - 담양공용버스터미널
담양공용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위치하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등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되는 터미널이다. - 담양군의 교통 - 호남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순천에서 충청남도 천안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로, 1973년 전 구간 개통 후 확장 및 개선 공사를 거쳐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통합되었으며,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 등 이용객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전라남도의 버스 교통 - 담양공용버스터미널
담양공용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위치하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등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되는 터미널이다. - 전라남도의 버스 교통 - 영광종합버스터미널
영광종합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영광군에 위치하며 고속버스는 서울, 시외버스는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방면 노선이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청주시의 시내버스
청주시의 시내버스는 급행, 일반, 청주콜버스로 구분되어 다양한 요금 체계와 교통카드, 환승 할인 제도를 운영하며, 여러 운수 업체가 세 자리 노선 번호 체계로 운행하며 학생 심야 버스도 운영한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관리 기관 | 담양군청 지역경제과 교통관리담당 |
서비스 지역 | 전라남도 담양군 |
기타 지역 | 광주광역시 |
노선 수 | 37 |
인가 대수 | 49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 한페이, 레일플러스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카드, 현대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
사이트 | 담양군청 농어촌버스 노선안내 담양군 버스정보시스템 |
2. 운임
2019년 1월 1일부터 담양군 관내 요금이 단일화되어 기본 요금이 적용된다.[3] 이전에는 10km까지는 기본 요금, 10km 초과 구간에 대해서는 1km당 116.14원씩 추가 요금이 부과되었다. 담양군 외에 광주광역시, 옥과, 순창군, 장성군 방면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2013년 7월 19일부터 광역환승제도가 시행되어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와 광주 도시철도로 환승할 때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단, 광주광역시 경계를 넘나들 때만 가능하다.
2. 1. 요금표 (2019년 1월 1일 기준)
2019년 1월 1일 기준이다.[3]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
일반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28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200 | 98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750 | 630 |
- 10km까지는 기본 요금, 10km 초과 구간에 대해서는 1km당 116.14원씩 추가 요금이 붙었으나, 2019년 1월 1일부로 담양군 관내 지역 요금은 단일화되었다. 담양군 이외 광주광역시, 옥과, 순창군, 장성군 방면까지 이용할 경우 이전과 동일하게 추가 요금이 가산된다.
- 2013년 7월 19일부터 광역환승제도 시행으로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와 광주 도시철도로 환승할 때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다만 광주광역시 경계를 진출입 할 경우에만 가능하다.
3. 운수 업체
2015년 11월 기준, 동광담양고속이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하고 있다.[4]
3. 1. 운수 업체 목록 (2015년 11월 기준)
동광담양고속 1개 업체에서 49대를 운행하고 있다.[4]운행업체 | 등록대수 |
---|---|
동광담양고속 | 49 |
합계 | 49 |
4. 버스 노선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1번대부터 70번대까지 다양한 노선 번호를 사용하며, 일부 노선은 225번 또는 303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4. 1. 담양군 관내 노선
2번대 노선은 차량에 225번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노선은 303번 차량이 운행한다. 1번대 ~ 70번대 노선은 담양군 내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노선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 비고 |
---|---|---|---|---|
1-1 | 창평 ↔ 외동 | 대덕면, 입석, 풍암, 청촌 | 4회 | |
1-2 | 대인광장 ↔ 창평 | 서방시장, 문화동, 석곡, 고서면, 가사문학면, 풍암, 가사문학면, 고서면 | 1회 | |
2-1 | 구산 ↔ 광천터미널 | 가사문학면, 광주호,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7회 | |
2-1 | 구산 → 고서 | 가사문학면, 광주호 | 3회 | |
2-2 | 구산 ← 광천터미널 | 자창, 가사문학면, 광주호,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1회 | |
2-3 | 구산 ↔ 광천터미널 | 무동, 자창, 가사문학면, 광주호,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1회 | |
2-4 | 구산 ↔ 광천터미널 | 무동, 풍암, 가사문학면, 신양,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2회 | |
2-5 | 구산 ← 광천터미널 | 가사문학면, 신양,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1회 | |
3-1 | 담양 ↔ 대인광장 | 무정, 대덕, 창평, 고서, 주산*, 서방시장 | 11회 | * : 광주 행 2회, 담양 행 1회 |
3-2 | 담양 ← 대인광장 | 무정, 대덕, 창평, 고서, 주산, 서방시장 | 1회 | |
4-1 | 담양 ↔ 대인광장 | 차동, 창평, 고서, 서방시장 | 4회/2회 | |
4-1 | 담양 ↔ 현암 | 성도 | 1회 | |
4-2 | 담양 ↔ 대인광장 | 현암, 차동, 창평, 고서, 서방시장 | 3회/5회 | |
4-2 | 담양 → 창평 | 현암, 차동 | 1회 | |
4-3 | 담양 ↔ 대인광장 | 차동,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2회/4회 | |
4-4 | 담양 → 대인광장 | 차동, 대덕, 창평, 고서, 주산, 서방시장 | 1회 | |
4-8 | 담양 ← 대인광장 | 차동, 유천, 창평, 고서, 서방시장 | 1회 | |
5-1 | 담양 ← 대인광장 | 기동, 해곡, 차동, 창평, 고서, 서방시장 | 1회 | |
5-2 | 해곡 ↔ 대인광장 | 창평, 고서, 서방시장 | 3회 | |
5-4 | 해곡 ↔ 대인광장 | 동절산, 장전, 창평, 고서, 서방시장 | 2회 | |
5-5 | 해곡 ↔ 대인광장 | 일산, 창평, 고서, 서방시장 | 4회/3회 | |
6-1 | 산정 ↔ 대인광장 |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4회 | |
6-2 | 산정 ↔ 대인광장 | 청운,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1회 | |
7-1 | 시목 ↔ 대인광장 | 내문,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2회/3회 | |
7-2 | 시목 ↔ 대인광장 | 내문,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3회/2회 | |
8-1 | 유천 ↔ 대인광장 |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5회/4회 | |
10-1 | 담양 ↔ 버실 | 금성면, 담양온천, 담양댐 | 7회 | |
10-2 | 담양 ↔ 버실 | 봉황, 금성면, 담양온천, 담양댐 | 1회 | |
10-3 | 담양 ↔ 버실 | 내천, 금성면, 테마공원, 담양온천, 담양댐 | 1회 | |
11-1 | 담양 ↔ 문암 | 금성면, 덕성, 봉서 | 4회 | |
11-2 | 담양 ↔ 문암 | 금성면, 덕성, 봉서, 하성* | 5회 | * : 담양 행 2회, 담양 출발 3회 |
12-1 | 담양 ↔ 테마공원 | 내천, 금성면 | 4회 | |
13-1 | 담양 ↔ 봉황 | 학동, 금성면(소재지*) , 산이천 | 3회 | * : 담양 행 2회 |
13-2 | 담양 ↔ 봉황 | 금성면, 대실 | 2회 | |
13-3 | 담양 ↔ 상신기 | 금성면, 봉황 | 2회 | |
13-4 | 담양 ↔ 상신기 | 금성면, 대실, 봉황 | 1회 | |
30-1 | 담양 ↔ 신촌 | 무정, 오례 | 3회 | |
30-2 | 담양 ↔ 신촌 | 무정, 덕곡, 오례 | 1회 | |
31-1 | 담양 ↔ 덕곡 | 무정 | 2회 | |
32-1 | 담양 ↔ 서흥 | 무정, 정석 | 2회 | |
32-2 | 담양 ↔ 서흥 | 무정, 덕곡*, 정석 | 4회 | * : 담양 행 1회, 담양 출발 3회 |
33-1 | 담양 ↔ 무정농공단지 | 오봉, 성도 | 4회 | |
34-1 | 담양 ↔ 현암 | 성도 | 1회 | |
40-1 | 담양 ↔ 대치 | 수북면 | 2회 | |
40-2 | 담양 ↔ 대치 | 수북면, 고성, 계곡 | 2회 | |
40-3 | 담양 ↔ 대치(응룡) | 수북면 | 3회 | |
40-4 | 담양 ↔ 대치(응룡) | 수북면, 고성, 계곡 | 1회 | |
41-1 | 담양 ↔ 야영장 | 수북면, 두정 | 6회 | |
42-1 | 담양 ↔ 정중, 황금, 삼지, 남산 | 수북면, 개동 | 7회 | |
50-1 | 담양 ↔ 약수(북하) | 월산면 | 7회 | |
50-2 | 담양 ↔ 약수(북하) | 월산면 | 3회 | |
51-1 | 담양 ↔ 광덕 | 월산면, 동산, 공원묘지 | ||
51-2 | 담양 ↔ 광덕 | 월산면, 월평, 동산, 공원묘지 | ||
52-1 | 담양 ↔ 죽림(용흥사) | 월산면 | 5회 | |
53-1 | 담양 ↔ 월평 | 월산면, 원월산 | ||
54-1 | 담양 → 담양 | 운교, 월산면, 회룡, 가산, 삼다 | 4회 | |
54-2 | 담양 → 담양 | 운교, 월산면(월평), 회룡, 가산, 삼다 | 4회 | |
60-1 | 담양 ↔ 가마골 | 용면, 추월산, 용치 | 9회 | |
61-1 | 담양 ↔ 쌍태 | 통천, 박곡*, 용면 | 8회 | |
62-1 | 담양 ↔ 전원마을 | 용면초교, 와산 | 4회 | |
70-1 | 담양 ↔ 와우 | 연동, 상덕, 봉산, 삼지 | 3회 |
4. 2. 광주광역시 연계 노선
담양군과 광주광역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는 311번, 322번, 333번 노선이 있다. 이 중 311번 노선은 고속도로를 경유한다.311번은 전남도립대학교와 광천터미널을 잇는 노선으로, 담양공고, 봉산면을 경유하며, 일부는 (백동)주공아파트와 청전아파트를 경유하는 지선(311-1)도 운행한다. 또한, 메타프로방스에서 출발하는 311-2번, 에코하이테크농공단지에서 출발하는 311-3번, 대덕에서 출발하는 311-4번 노선도 있다.
322번은 담양과 대인광장, 광주역을 연결하며, 봉산치안센터, 석곡, 서방시장을 경유한다. 322-1번은 대추리와 봉산면소재지를, 322-2번은 수북면과 양지를 경유한다.
333번은 담양과 대전면(대치)을 잇는 노선으로, 주평, 수북면, 한빛고, 갑향을 경유한다.
이 외에도 광주광역시 면허의 시내버스 노선 중 용전84, 두암181, 용전184, 충효187, 충효188번이 담양군 일부 지역을 운행한다.
4. 2. 1. 세부 노선 목록
2번대 노선은 차량에 225번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노선은 303번 차량이 운행한다.노선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 비고 | ||
---|---|---|---|---|---|---|
1-1 | 창평 | ↔ | 외동 | 대덕면, 입석, 풍암, 청촌 | 4회 | |
1-2 | 대인광장 | ↔ | 창평 | 서방시장, 문화동, 석곡, 고서면, 가사문학면, 풍암, 가사문학면, 고서면 | 1회 | |
2-1 | 구산 | ↔ | 광천터미널 | 가사문학면, 광주호,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7회 | |
2-1 | 구산 | → | 고서 | 가사문학면, 광주호 | 3회 | |
2-2 | 구산 | ← | 광천터미널 | 자창, 가사문학면, 광주호,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1회 | |
2-3 | 구산 | ↔ | 광천터미널 | 무동, 자창, 가사문학면, 광주호,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1회 | |
2-4 | 구산 | ↔ | 광천터미널 | 무동, 풍암, 가사문학면, 신양,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2회 | |
2-5 | 구산 | ← | 광천터미널 | 가사문학면, 신양, 고서면, 석곡,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1회 | |
3-1 | 담양 | ↔ | 대인광장 | 무정, 대덕, 창평, 고서, 주산* | 11회 | * 광주 행 2회, 담양 행 1회 |
3-2 | 담양 | ← | 대인광장 | 무정, 대덕, 창평, 고서, 주산, 서방시장 | 1회 | |
4-1 | 담양 | ↔ | 대인광장 | 차동, 창평, 고서, 서방시장 | 4회/2회 | |
4-1 | 담양 | ↔ | 현암 | 성도 | 1회 | |
4-2 | 담양 | ↔ | 대인광장 | 현암, 차동, 창평, 고서, 서방시장 | 3회/5회 | |
4-2 | 담양 | → | 창평 | 현암, 차동 | 1회 | |
4-3 | 담양 | ↔ | 대인광장 | 차동,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2회/4회 | |
4-4 | 담양 | → | 대인광장 | 차동, 대덕, 창평, 고서, 주산, 서방시장 | 1회 | |
4-8 | 담양 | ← | 대인광장 | 차동, 유천, 창평, 고서, 서방시장 | 1회 | |
5-1 | 담양 | ← | 대인광장 | 기동, 해곡, 차동, 창평, 고서, 서방시장 | 1회 | |
5-2 | 해곡 | ↔ | 대인광장 | 창평, 고서, 서방시장 | 3회 | |
5-4 | 해곡 | ↔ | 대인광장 | 동절산, 장전, 창평, 고서, 서방시장 | 2회 | |
5-5 | 해곡 | ↔ | 대인광장 | 일산, 창평, 고서, 서방시장 | 4회/3회 | |
6-1 | 산정 | ↔ | 대인광장 |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4회 | |
6-2 | 산정 | ↔ | 대인광장 | 청운,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1회 | |
7-1 | 시목 | ↔ | 대인광장 | 내문,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2회/3회 | |
7-2 | 시목 | ↔ | 대인광장 | 내문,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3회/2회 | |
8-1 | 유천 | ↔ | 대인광장 | 대덕, 창평, 고서, 서방시장 | 5회/4회 | |
10-1 | 담양 | ↔ | 버실 | 금성면, 담양온천, 담양댐 | 7회 | |
10-2 | 담양 | ↔ | 버실 | 봉황, 금성면, 담양온천, 담양댐 | 1회 | |
10-3 | 담양 | ↔ | 버실 | 내천, 금성면, 테마공원, 담양온천, 담양댐 | 1회 | |
11-1 | 담양 | ↔ | 문암 | 금성면, 덕성, 봉서 | 4회 | |
11-2 | 담양 | ↔ | 문암 | 금성면, 덕성, 봉서, 하성* | 5회 | * 담양 행 2회, 출발 3회 |
12-1 | 담양 | ↔ | 테마공원 | 내천, 금성면 | 4회 | |
13-1 | 담양 | ↔ | 봉황 | 학동, 금성면*, 산이천 | 3회 | * 담양 행 2회 |
13-2 | 담양 | ↔ | 봉황 | 금성면, 대실 | 2회 | |
13-3 | 담양 | ↔ | 상신기 | 금성면, 봉황 | 2회 | |
13-4 | 담양 | ↔ | 상신기 | 금성면, 대실, 봉황 | 1회 | |
30-1 | 담양 | ↔ | 신촌 | 무정, 오례 | 3회 | |
30-2 | 담양 | ↔ | 신촌 | 무정, 덕곡, 오례 | 1회 | |
31-1 | 담양 | ↔ | 덕곡 | 무정 | 2회 | |
32-1 | 담양 | ↔ | 서흥 | 무정, 정석 | 2회 | |
32-2 | 담양 | ↔ | 서흥 | 무정, 덕곡*, 정석 | 4회 | * 담양 행 1회, 출발 3회 |
33-1 | 담양 | ↔ | 무정농공단지 | 오봉, 성도 | 4회 | |
34-1 | 담양 | ↔ | 현암 | 성도 | 1회 | |
40-1 | 담양 | ↔ | 대치 | 수북면 | 2회 | |
40-2 | 담양 | ↔ | 대치 | 수북면, 고성, 계곡 | 2회 | |
40-3 | 담양 | ↔ | 대치(응룡) | 수북면 | 3회 | |
40-4 | 담양 | ↔ | 대치(응룡) | 수북면, 고성, 계곡 | 1회 | |
41-1 | 담양 | ↔ | 야영장 | 수북면, 두정 | 6회 | |
42-1 | 담양 | ↔ | 정중, 황금, 삼지, 남산 | 수북면, 개동 | 7회 | |
50-1 | 담양 | ↔ | 약수(북하) | 월산면 | 7회 | |
50-2 | 담양 | ↔ | 약수(북하) | 월산면 | 3회 | |
51-1 | 담양 | ↔ | 광덕 | 월산면, 동산, 공원묘지 | ||
51-2 | 담양 | ↔ | 광덕 | 월산면, 월평, 동산, 공원묘지 | ||
52-1 | 담양 | ↔ | 죽림(용흥사) | 월산면 | 5회 | |
53-1 | 담양 | ↔ | 월평 | 월산면, 원월산 | ||
54-1 | 담양 | → | 담양 | 운교, 월산면, 회룡, 가산, 삼다 | 4회 | |
54-2 | 담양 | → | 담양 | 운교, 월산면(월평), 회룡, 가산, 삼다 | 4회 | |
60-1 | 담양 | ↔ | 가마골 | 용면, 추월산, 용치 | 9회 | |
61-1 | 담양 | ↔ | 쌍태 | 통천, 박곡*, 용면 | 8회 | |
62-1 | 담양 | ↔ | 전원마을 | 용면초교, 와산 | 4회 | |
70-1 | 담양 | ↔ | 와우 | 연동, 상덕, 봉산, 삼지 | 3회 |
노선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 비고 | ||
---|---|---|---|---|---|---|
311 | 전남도립대학교 | ↔ | 광천터미널 | 담양, 담양공고, 봉산면(담양 분기점),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15분 | 고속도로 경유 |
311-1 | 전남도립대학교 | ↔ | 광천터미널 | 담양, 담양공고, (백동)주공아파트, 청전아파트, 봉산면(담양 분기점),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20~55분 | 고속도로 경유, 주공, 청전 경유 지선 |
311-2 | 메타프로방스 | ↔ | 광천터미널 | 전남도립대학교, 담양, 담양공고, 청전아파트, 봉산면(담양 분기점),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5회 | 고속도로 경유 |
311-3 | 에코하이테크농공단지 | ↔ | 광천터미널 | 전남도립대학교, 담양, 담양공고, 청전아파트, 봉산면(담양 분기점), 문화동, 서방시장, 경신여고 | 10회 | 고속도로 경유 |
311-4 | 대덕 | ↔ | 광천터미널 | 창평, 농산물공판장, 광주병원, 문화동, 동강대, 서방시장, 전남대학교사거리, 경신여고 | 5회 | 고속도로 경유 |
322 | 담양 | ↔ | 대인광장, 광주역 | 봉산치안센터, 석곡, 서방시장 | 6회 | |
322-1 | 담양 | ↔ | 대인광장, 광주역 | 대추리, 봉산면소재지, 석곡, 서방시장 | 12회 | |
322-2 | 담양 | ↔ | 대인광장, 광주역 | 수북면, 양지, 석곡, 서방시장 | 6회 | |
333 | 담양 | ↔ | 대전면(대치) | 주평, 수북면, 한빛고, 갑향 | 8회 |
5. 타 지역 차적의 운행 노선
광주광역시/버스 시내버스 일부 노선이 담양군을 경유한다.
5. 1.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번호간격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