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나귀 가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나귀 가죽'은 왕비의 죽음 이후 딸과 결혼하려는 아버지와 이를 피하기 위해 당나귀 가죽을 뒤집어쓰고 도망치는 공주의 이야기를 다룬다. 공주는 요정의 조언에 따라 아버지에게 불가능한 요구들을 하여 결혼을 거부하려 하지만, 결국 당나귀 가죽을 뒤집어쓰고 이웃나라로 도망친다. 그곳에서 하녀로 일하며 자신의 정체를 숨기지만, 왕자의 도움으로 정체를 드러내고 결혼에 성공한다. 이 이야기는 ATU 510B 유형으로 분류되며, 샤를 페로의 동화가 발표된 이후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2. 줄거리

어느 나라에 왕과 왕비가 딸 하나를 두고 행복하게 살았는데, 왕비가 병으로 죽으면서 남편에게 자기보다 더 아름답고 현명한 여자와 재혼하라고 맹세하게 한다. 왕은 이 맹세를 지키려 했으나, 죽은 왕비만큼 아름답고 지혜로운 여자는 자신의 딸뿐임을 깨닫고 딸과 결혼하기로 결심한다. 이에 놀란 공주는 요정 대모에게 조언을 구하고, 요정 대모는 근친상간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꾀를 내지만 모두 실패한다.

왕궁에는 아침마다 금화와 보석을 쏟아 내는 희귀한 당나귀가 있었다. 왕이 이 당나귀를 소중히 여기는 것을 안 요정 대모는 당나귀를 죽일 것을 결혼 조건으로 내걸라고 공주에게 충고한다. 그러나 왕은 이 조건마저 받아들여 당나귀 가죽을 벗겨 딸에게 선물한다. 요정 대모는 당나귀 가죽을 공주에게 씌워 이웃나라로 도망치게 한다.

이웃나라 시골 마을에 도착한 공주는 당나귀 가죽을 뒤집어쓴 채 하녀 생활을 시작한다. 마을 사람들은 그녀를 '당나귀 가죽'이라 부르며 비웃었지만, 왕자만이 그녀의 진짜 모습을 엿보게 된다. 왕자는 그녀를 잊지 못해 병을 앓다가, '당나귀 가죽'이 만든 과자를 먹고 싶어 한다. 공주는 반죽 속에 반지를 넣어 과자를 굽고, 왕자는 과자를 먹다 반지를 발견한다. 왕자가 반지에 맞는 손가락을 가진 여자와 결혼하겠다고 선포하자, 왕국의 모든 여자들이 반지를 껴 보지만 아무에게도 맞지 않는다. 결국 '당나귀 가죽'의 차례가 오고, 반지가 끼워지는 순간 당나귀 가죽이 벗겨지며 공주의 본모습이 드러난다. 두 사람은 행복한 결혼식을 올리고, 공주는 아름다운 미망인과 재혼한 아버지와도 재회한다.

귀스타브 도레의 삽화.


귀스타브 도레의 삽화.

3. 분석

당나귀 가죽은 허드렛일에 일자리를 찾는다. 1908년 출판물의 삽화.


학자들에 따르면, 이 이야기 유형은 여주인공 어머니의 죽음, 아버지의 근친상간적인 욕망, 그리고 다른 왕국으로 도망쳐 천한 직업을 구하는 여주인공의 내용을 특징으로 한다.[6][7]

루스 보티하이머는 연구에서 샤를 페로의 이야기 이전에 프랑스 작가 보나벤처 데 페리에가 당나귀 가죽을 입은 여주인공 페르네트를 등장시켰으며(연인의 접근을 막기 위해), 이후 이야기에서는 여주인공이 "푀 도네"로 불리지만 개미의 도움을 받는다고 언급했다. 보티하이머는 또한 페로가 근친상간 모티프를 처음 도입한 것이 아니라, 이전 자료인 잠바티스타 바실레의 ''암곰''(《펜타메론》에서)과 스트라파롤라의 ''테오발도''(《유쾌한 밤》에서)에서 재작업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8]

톤 데커와 스티스 톰슨에 따르면, 여주인공이 집을 떠나 다른 곳에서 일자리를 구한 후, 이 이야기 유형의 두 번째 부분(세 개의 공과 세 벌의 드레스)은 510B 유형을 510A 유형, 즉 《신데렐라》와 연결한다.[9][10]

3. 1. 유형

이 이야기는 국제적인 아르네-톰슨-우더 색인에서 ATU 510B, "금, 은, 별의 드레스(갈대 모자)"로 분류된다.[4] 그러나 이 이야기 유형은 독일 민속학자 한스-요르크 우터가 2004년 민담 색인을 개정하면서 번호를 유지하면서 "당나귀 가죽"으로 이름을 변경했다.[5]

3. 2. 주제

학자들에 따르면, 이 이야기 유형은 여주인공 어머니의 죽음, 아버지의 근친상간적인 욕망, 그리고 다른 왕국으로 도망쳐 천한 직업을 구하는 여주인공의 내용을 특징으로 한다.[6][7]

3. 3. 기원

학자들에 따르면, 이 이야기 유형은 여주인공의 어머니가 죽고, 아버지가 근친상간적인 욕망을 품으며, 여주인공은 다른 왕국으로 도망쳐 천한 직업을 구하는 내용을 특징으로 한다.[6][7]

루스 보티하이머는 연구에서 페로의 이야기 이전에 프랑스 작가 보나벤처 데 페리에가 당나귀 가죽을 입은 여주인공 페르네트를 등장시켰으며(연인의 접근을 막기 위해), 이후 이야기에서는 여주인공이 "푀 도네"로 불리지만 개미의 도움을 받는다고 언급했다. 보티하이머는 또한 페로가 근친상간 모티프를 처음 도입한 것이 아니라, 이전 자료인 잠바티스타 바실레의 ''암곰''(''펜타메론''에서)과 스트라파롤라의 ''테오발도''(''유쾌한 밤''에서)에서 재작업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8]

3. 4. 다른 이야기와의 관계

이 이야기는 국제적인 아르네-톰슨-우더 색인에서 ATU 510B, "금, 은, 별의 드레스(갈대 모자)"로 분류된다.[4] 그러나 이 이야기 유형은 독일 민속학자 한스-요르크 우터가 2004년 민담 색인을 개정하면서 번호를 유지하면서 "당나귀 가죽"으로 이름을 변경했다.[5]

톤 데커와 스티스 톰슨에 따르면, 여주인공이 집을 떠나 다른 곳에서 일자리를 구한 후, 이 이야기 유형의 두 번째 부분(세 개의 공과 세 벌의 드레스)은 510B 유형을 510A 유형, 즉 《신데렐라》와 연결한다.[9][10]

4. 각색 및 번안

샤를 페로의 동화 '당나귀 가죽'은 발표 직후 큰 인기를 얻어 1781년 산문판으로 각색되어 더 큰 대중적 인기를 누렸으나, 산문판 작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당나귀 가죽'은 소설, 그림책, 만화, 영화, 애니메이션, 연재만화, 인형극, 종이 인형, 카드 게임, 오페라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주목할 만한 각색 작품으로는 라울 라빠라의 오페라(1899), 알베르 꺄뺄라니의 흑백 무성 단편 영화 2편(1904, 1908), 자크 데미의 영화 《당나귀 공주》(1970) 등이 있다.

'당나귀 가죽' 이야기는 유럽 각지(그리스, 동슬라브족, 슬로바키아, 남슬라브,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등)와 미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전승되었는데, 아버지와의 근친상간을 피하려는 딸이 특별한 드레스나 가죽 옷을 요구하고 도망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각 지역의 문화적 특색을 반영하여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음은 '당나귀 가죽'을 각색한 작품 목록이다.

제목제작자연도비고
오페라라울 라빠라1899
영화알베르 꺄뺄라니1904, 1908흑백 무성 단편 영화
당나귀 공주자크 데미1970영화
하늘의 옷(Das Himmelskleid)에르만노 볼프-페라리1927오페라
당나귀 가죽(Peau d'âne)자크 드미1970프랑스 영화, 장 마레, 카트린 드뇌브 출연
Donkey Skin앤젤라 카터1976샤를 페로의 옛날 이야기 번역
당나귀 가죽(The Donkey's Hide)1982소련 영화
슬픔(Sapsorrow)짐 헨슨1988TV 시리즈 이야기꾼 에피소드
사슴 가죽(Deerskin)로빈 맥킨리1993소설
Donkeyskin테리 윈들링1995단편 소설
Donkeyskin미도리 스나이더1995
The Tale of the Skin엠마 도노휴1997단편 소설
Pelzmantel: A Medieval TaleK. A. 레이티2003소설
부자연스러운 문제(Unnatural Issue)메르세데스 래키2011소설
The Color Master에이미 벤더2013포스트모던 동화, 드레스 메이커들의 고군분투 묘사
Riverbed디어드리 설리번2017단편 소설
Donkeyskin 또는 Faith텔테일 게임즈게임 시리즈 더 울프 어몽 어스 캐릭터
모피를 가진 아가씨그림 동화, 변형


4. 1. 유럽

유럽 각 지역에서는 '당나귀 가죽' 유형의 민담이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그리스에서는 과부가 된 왕이 딸과의 결혼을 선언하자, 딸은 이를 피하기 위해 특별한 드레스와 침대를 요구하고 다른 도시로 도망친다. 그곳에서 왕자를 만나 신분을 숨기고 살아가지만, 결국 왕자와 결혼하게 된다.[11]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이 수집한 또 다른 그리스 이야기에서는 죽은 왕비의 반지에 맞는 여자와 결혼하겠다는 왕의 약속 때문에 딸이 아버지와의 결혼을 피하려 한다. 미렌이라는 존재의 도움을 받아 특별한 드레스를 요구하고, 다른 마을로 피신하여 왕자를 만나게 된다.[12]

동슬라브족 민담에서는 주인공이 아버지와의 근친상간을 피하기 위해 별, 달, 태양 무늬의 드레스를 요구하고 돼지 가죽을 쓴 채 다른 곳에서 일자리를 찾는다. 왕자는 그녀가 참석하는 세 번의 무도회를 통해 그녀를 알게 된다.[13]

슬로바키아 민담에서는 부유한 남자가 죽어가는 아내에게 자신만큼 아름다운 여자와 결혼하겠다는 약속을 한다. 아내가 죽은 후, 남자는 딸과 결혼하려 하지만, 딸은 이를 피하기 위해 특별한 드레스와 생쥐 가죽 코트를 요구하고 도망친다. 왕이 그녀를 발견하여 하녀로 삼고, 세 번의 무도회를 통해 왕과 결혼하게 된다.[14]

남슬라브어 민담에서는 황제가 자신의 딸과 결혼하려 하자, 공주는 노파의 조언을 듣고 특별한 드레스와 쥐 가죽 코트를 요구하여 궁궐을 탈출한다. 다른 왕국에서 왕자의 하녀가 된 공주는 세 번의 무도회를 통해 왕자와 결혼하고 아버지와 화해한다.[15]

포르투갈 민담 목록에도 "Peau d'Âne" 또는 A princesa na Pele de Burro|lit=당나귀 가죽 공주pt라는 제목으로 이 유형의 이야기가 존재한다.[17][18]

스페인에서는 죽어가는 아내에게 자신과 닮은 여자와 결혼하겠다고 약속한 남자가 딸과의 결혼을 결심한다. 소녀는 이웃 노파의 조언으로 특별한 드레스를 요구하고, 펠리컨 옷을 입고 도망쳐 왕궁에서 일한다. 세 번의 무도회를 통해 왕자와 결혼하게 된다.[19]

이탈리아에서는 왕비가 죽기 전 자신의 반지에 맞는 여자와 결혼하라는 유언을 남긴다. 왕은 딸과 결혼하려 하지만, 공주는 현명한 자의 조언에 따라 특별한 드레스를 요구하고 말가죽을 쓴 채 다른 왕국으로 도망친다. 왕자의 하녀가 된 공주는 빵을 만들어 그 안에 아버지의 유품을 숨겨 자신의 정체를 알리고, 결국 왕자와 결혼한다.[20]

4. 1. 1. 그리스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이 에페이루스에서 채집하여 ''알레르라이라우''라는 제목으로 출판한 그리스 변형에서, 과부가 된 왕은 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딸과 결혼하겠다고 선언한다. 딸은 왕을 지연시키기 위해 금으로 된 드레스 두 벌과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땅을 갈 수 있는 침대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다. 왕은 요청한 물건들을 주었고, 딸은 드레스와 약간의 두캇을 가지고 침대에 올라 다른 도시로 간다. 그 도시의 왕자는 사냥을 하다가 털옷을 입은 공주를 숲에서 발견하고 거위 치는 사람으로 데려간다. 얼마 후, 왕자는 성대한 무도회를 열었고, 공주는 금으로 된 드레스를 입고 참석한다. 그녀는 왕자를 매료시키지만 무도회에서 벗어나 낮은 신분으로 돌아가고 왕자를 지연시키기 위해 약간의 두캇을 던진다. 왕자는 그녀를 찾는 데 관심을 갖게 되어 두 번의 무도회를 더 연다. 세 번째 무도회 후 공주는 신발 한 짝을 잃고 왕자는 모든 처녀에게 신어보게 하지만 주인을 찾을 수 없다. 마침내, 공주는 털옷 아래에 금으로 된 드레스를 입고 왕자에게 물을 길어주러 갔고, 왕자는 그녀를 알아본다.[11]

폰 한은 스미르나에서 채집된 그리스 이야기를 요약했다. 왕은 아내가 죽은 후 죽은 왕비의 반지에 맞는 여자와 결혼하겠다고 약속한다. 반지는 그의 딸에게 맞았고, 그는 딸과 결혼하려고 한다. 아버지를 막기 위해 딸은 미렌이라는 존재의 조언을 받아 은색 드레스, 금색 드레스, 진주 드레스, 이렇게 세 개의 솔기 없는 드레스를 요청한다. 악마는 늙은이로 변장하여 공주를 끔찍하게 만들면서 왕에게 드레스를 준다. 미렌은 공주를 다른 마을 외곽에 있는 동굴로 안내하고, 6개월 동안 공주에게 음식과 물을 제공한다. 어느 날, 왕자가 사냥을 하다가 동굴 앞에서 쉬면서 음식을 준비한다. 냄새에 이끌려 공주가 동굴에서 나오고, 왕자는 그녀를 발견하여 자신의 성으로 데려간다. 털이 많은 모습 때문에 마리아리(Μαλλιαρή|, "털이 많은"grc)라고 불리는 공주는 그녀의 일을 하면서 고개를 끄덕이기만 한다. 그러자 왕자는 매일 밤 세 번의 무도회를 열었고, 공주는 털이 많은 모습을 벗고 매일 밤 각 드레스를 입는다. 왕자는 그리움으로 병이 들고 그의 어머니는 그를 위해 음식을 준비해달라고 요청한다. 공주는 그를 위해 빵을 굽고 반지를 숨긴 다음, 시계, 마지막으로 진주 목걸이를 숨긴다.[12]

4. 1. 2. 동슬라브족

이야기 유형 ATU 510B는 동슬라브족의 민담에도 나타난다. 학자 레프 바라그(러시아어: Лев Григорьевич Бараг)가 1979년에 업데이트한 동슬라브 민담 목록(СУС|translit=SUSru)에 따르면, 이 유형은 SUS 510B, "Свиной чехол|translit=Svinoy chekhol|lit=돼지 가죽ru"으로 알려져 있다.[13] 이 민담에서 주인공은 아버지와의 근친상간 위협을 피하기 위해 세 벌의 드레스(별, 달, 태양 무늬)를 요구한다. 이후 돼지 가죽을 쓰고 다른 곳에서 일자리를 찾는다. 왕자는 그녀가 참석하는 세 번의 무도회를 열고, 그녀를 따라간다.[13]

4. 1. 3. 슬로바키아

아우구스트 호리슬라브 슈쿨테티와 파볼 돕신스키가 슬로바키아에서 수집한 "Myšacia bundička"("생쥐 코트")라는 제목의 이야기가 있다. 이 이야기에서 부유한 남자는 아름다운 아내가 병으로 죽기 전에 자신만큼 아름다운 여자와 결혼하겠다는 약속을 받는다. 아내가 죽은 후, 남자는 딸과 결혼하려 하지만, 딸은 별, 달, 태양과 같은 드레스와 생쥐 가죽 코트를 요구하며 이를 피하려 한다. 딸은 생쥐 가죽 코트를 입고 떠나고, 사냥 중이던 왕이 그녀를 발견하여 하녀로 삼는다. 왕은 세 번의 무도회를 열고, 소녀는 아버지에게 받은 드레스를 입고 참석하여 왕을 매료시킨다. 왕은 병이 들고, 소녀는 그를 위해 음식을 준비하며 반지를 떨어뜨린다. 왕은 반지를 발견하고 소녀의 정체를 알아챈 후 그녀와 결혼한다.[14]

4. 1. 4. 남슬라브어군

프리드리히 살로몬 크라우스가 수집한 남슬라브어 민담 중 하나인 『자신의 딸과 결혼하려 했던 황제에 관하여』(독일어: ''Vom Kaiser, der seine eigne Tochter heirathen wollte'')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황제는 이마에 별이 있는 여자와 결혼하고, 그 사이에서 같은 반점을 가진 딸을 얻는다. 황후는 임종 직전 남편에게 자신과 같은 표식을 가진 여자와만 결혼하라는 유언을 남긴다. 황후가 세상을 떠난 후, 황제는 결국 자신의 딸과 결혼하기로 결심한다.

이 상황을 피하고자 공주는 노파의 조언을 듣고 아버지에게 세 벌의 특별한 드레스와 쥐 가죽 코트를 요구한다. 세 벌의 드레스는 각각 비단, 은, 금으로 만들어졌으며 호두 껍질 안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작아야 했다. 공주는 이 드레스들과 쥐 가죽 코트를 가지고 궁궐을 탈출, 다른 왕국으로 피신한다. 그곳에서 왕자가 사냥 도중 공주를 발견하고 하녀로 삼는다.

왕자는 귀족들을 초대해 무도회를 열고, 공주는 쥐 가죽 코트 속에 숨겨둔 드레스를 차례로 입고 무도회에 참석한다. 첫 번째 무도회에서는 비단 드레스를, 두 번째 무도회에서는 은 드레스를, 세 번째 무도회에서는 금 드레스를 입는다. 세 번째 무도회가 끝날 무렵, 왕자는 공주의 손가락에 반지를 끼워준다.

이후 왕자는 병에 걸리는데, 공주는 요리사를 통해 우유에 반지를 넣어 자신의 신분을 간접적으로 알린다. 왕자는 공주와 결혼하고, 공주는 아버지와도 화해한다.[15]

4. 1. 5. 포르투갈

포르투갈 학자 이사벨 카르디고스와 파울루 조르제 코레이아에 따르면, 이야기 유형 ATU 510B는 포르투갈 민담 목록에도 "Peau d'Âne" 또는 A princesa na Pele de Burro|lit=당나귀 가죽 공주pt라는 제목으로 존재한다.[17][18]

4. 1. 6. 스페인

스페인에서는 막시미나 카스타뇨가 수집한 설화가 있다. 이 이야기에서 한 남자는 죽어가는 아내에게 자신과 닮은 여자와 결혼하겠다고 약속한다. 남자는 자신의 딸이 어머니와 닮았다는 이유로 딸과의 결혼을 결심한다. 이웃 노파의 조언으로 소녀는 아버지에게 세 벌의 드레스(별, 해, 달을 상징하는 드레스)를 요구하지만, 아버지가 드레스를 구해오자 펠리컨 옷을 입고 도망친다. 왕궁에서 칠면조지기로 일하던 소녀는 왕자가 주최한 세 번의 무도회에 드레스를 입고 참석하여 왕자를 매료시킨다. 마지막 밤에 왕자는 소녀에게 반지를 주고, 소녀는 왕자를 위해 커스터드를 만들 때 반지를 떨어뜨린다. 왕자는 반지를 발견하고 소녀와 결혼한다.[19]

4. 1. 7.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당나귀 가죽' 유형의 민담이 여러 학자에 의해 수집되었다. 주세페 피트레가 수집한 시칠리아 이야기 ''필루세다''에서는 왕비가 죽기 전 자신의 반지에 맞는 여자와 결혼하라는 유언을 남긴다. 왕은 딸이 그 반지에 맞는 것을 알고 결혼하려 하지만, 공주는 현명한 자의 조언에 따라 아버지에게 세 벌의 특별한 드레스를 요구한다. 왕은 악마를 불러 드레스를 만들게 하고, 공주는 말가죽을 쓰고 다른 왕국으로 도망친다. 그곳에서 왕자의 하녀가 된 공주는 세 번에 걸쳐 왕자를 위한 빵을 만들고 그 안에 아버지의 유품을 숨긴다. 왕자는 이를 통해 공주의 정체를 의심하게 되고, 결국 공주와 결혼하게 된다.[20]

4. 2. 아메리카

이 섹션에서는 아메리카 대륙, 특히 미국에서 전해지는 '당나귀 가죽' 유형의 민담을 다룬다. 레너드 W. 로버츠가 켄터키 주 비티빌, 켄터키에서 프랑스계 후손에게서 수집한 "당나귀 가죽 속 공주" 이야기가 그 예시이다.[25]

4. 2. 1. 미국

레너드 W. 로버츠가 켄터키 주 비티빌, 켄터키에서 프랑스계 후손인 이야기꾼에게서 수집한 "당나귀 가죽 속 공주"라는 제목의 이야기가 있다.[25] 이 이야기에서 왕은 딸을 못생긴 왕과 결혼시키려 하지만, 공주는 당나귀 가죽을 쓰고 살겠다며 거부한다. 왕은 이를 도발로 여겨 공주에게 당나귀 가죽을 주고 궁에서 쫓아낸다. 공주는 방황하다 늙은 여인의 오두막에서 일자리를 얻는다. 훗날 왕과 왕자가 늙은 여인의 오두막에서 식사하게 되고, 늙은 여인은 공주에게 저녁 식사를 준비하라고 명령한다. 공주는 수프에 다이아몬드 반지를 빠뜨리고, 왕자는 그 반지를 발견한다. 요정 대모가 나타나 공주를 아름다운 모습으로 변신시키고, 왕자는 공주에게 구애한다. 왕자는 반지의 주인을 찾아 전 세계를 돌아다녔지만 실패하고, 결국 당나귀 가죽을 입은 소녀에게 반지를 끼워주고 결혼한다.[25]

4. 3. 각색 작품 목록

제목제작자연도비고
오페라라울 라빠라1899
영화알베르 꺄뺄라니1904, 1908흑백 무성 단편 영화
당나귀 공주자크 데미1970영화
하늘의 옷(Das Himmelskleid)에르만노 볼프-페라리1927오페라
당나귀 가죽(Peau d'âne)자크 드미1970프랑스 영화, 장 마레, 카트린 드뇌브 출연
Donkey Skin앤젤라 카터1976샤를 페로의 옛날 이야기 번역
당나귀 가죽(The Donkey's Hide)1982소련 영화
슬픔(Sapsorrow)짐 헨슨1988TV 시리즈 이야기꾼 에피소드
사슴 가죽(Deerskin)로빈 맥킨리1993소설
Donkeyskin테리 윈들링1995단편 소설
Donkeyskin미도리 스나이더1995
The Tale of the Skin엠마 도노휴1997단편 소설
Pelzmantel: A Medieval TaleK. A. 레이티2003소설
부자연스러운 문제(Unnatural Issue)메르세데스 래키2011소설
The Color Master에이미 벤더2013포스트모던 동화, 드레스 메이커들의 고군분투 묘사
Riverbed디어드리 설리번2017단편 소설
Donkeyskin 또는 Faith텔테일 게임즈게임 시리즈 더 울프 어몽 어스 캐릭터
모피를 가진 아가씨그림 동화, 변형


5. 한국어 번역

이와나미 문고에서 1982년에 출간된 『완역 페로 동화집』에 니이쿠라 아키코가 번역하여 수록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Donkeyskin http://www.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2011-06-07
[2] 웹사이트 Donkeyskin https://www.surlalun[...] SurLaLune Fairy Tales 2020-05-18
[3] 논문 Before Contes du temps passe (1697): Charles Perrault's Griselidis, Souhaits and Peau
[4] 서적 The types of the folktale: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61
[5] 서적 The Types of International Folktales: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Based on the System of Antti Aarne and Stith Thompson Suomalainen Tiedeakatemia,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2004
[6] 서적 The Folkta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7] 서적 Assepoester Sun 1997
[8] 논문 Before Contes du temps passé (1697): Charles Perrault's 'Griselidis' (1691), 'Souhaits Ridicules' (1693) and 'Peau d'asne' (1694) https://www.academia[...]
[9] 서적 The Folkta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10] 서적 Assepoester Sun 1997
[11] 서적 Griechische und Albanesische Märchen Georg Müller 1918
[12] 서적 Griechische und Albanesische Märchen Georg Müller 1918
[13] 서적 Сравнительный указатель сюжетов. Восточнославянская сказка НАУКА 1979
[14] 서적 Slovenske povesti [Slovakische Erzählungen] https://books.google[...] Kek 1858
[15] 서적 Sagen und märchen der Südslaven https://books.google[...] Wilhelm Friedrich 1884
[16] 논문 Каталог на българските фолклорни приказки (Предварителни материали) https://www.ceeol.co[...] Институт за етнология и фолклористика с Етнографски музей при БАН 1984
[17] 웹사이트 Contos Maravilhosos: Adversários Sobrenaturais (300–99) https://home.iscte-i[...]
[18] 서적 CONTOS TRADICIONAIS PORTUGUESES (com as versões análogas dos países lusófonos) https://run.unl.pt/b[...] IELT (Instituto de Estudos de Literatura e Tradição), Faculdade de Ciências Sociais e Humanas, Universidade NOVA de Lisboa 2021
[19] 서적 Enchanted Maidens: Gender Relations in Spanish Folktales of Courtship and Marri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
[20] 서적 Pilusedda (Pilusedd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21] 서적 Monumenta Estoniae antiquae V. Eesti muinasjutud. I: 2 Eesti Kirjandusmuuseumi Teaduskirjastus 2014
[22] 서적 Lietuvių pasakojamosios tautosakos motyvų katalogas Lietuvių tautosakos archyvo leidinys 1936
[23] 서적 Litauische Märchen, Sprichworte, Rätsel und Lieder Böhlau 1857
[24] 서적 Latviešu pasaku tipu rādītājs Zinātne 1977
[25] 서적 South from Hell-fer-Sartin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1988
[26] 웹사이트 Donkeyskin http://www.endicott-[...]
[27] 웹사이트 Donkeyskin http://www.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2018-07-28
[28] 웹사이트 Donkeyskin http://www.surlalune[...] SurLaLune Fairy Tales 2018-07-28
[29] 논문 Before Contes du temps passe (1697): Charles Perrault's Griselidis, Souhaits and Pea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