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필경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당진 필경사당진 필경사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상록수길 97 (부곡리 251-12)에 위치한 일제강점기 건축물이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0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필경사(筆耕舍)'는 "붓으로 밭을 일군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개요필경사는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소설가인 심훈(1901~1936)이 1934년 직접 설계하여 지은 집이다. 심훈은 이곳에서 1935년 농촌계몽소설의 대표작인 《상록수》를 집필했다. 심훈의 작품은 민족주의와 저항의식을 기본 정신으로 하고 있으며, 그는 사실주의에 근거한 농민문학의 장르를 여는 데 크게 공헌했다.
건축 특징필경사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초가집으로, 외관상 전통적인 '一'자형 초가집 모양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는 1930년대 도시 주택의 기능에 맞추어 생활에 편리하도록 설계되었다.
- 현관: 주택 전면 우측에서 두 번째 칸에 현관을 두었다.
- 집필실: 현관을 들어서면 우측에 전후 2칸을 터서 큰 방을 만들어 집필실로 사용했다.
- 마루방: 현관 좌측에는 가로로 2칸 반을 터서 마루방을 두었다.
- 안방 및 부엌: 마루방 뒤편 한쪽은 안방이고, 다른 한쪽은 현관 뒤쪽 한 칸과 합쳐 부엌으로 사용했다. 2칸의 부엌 중 한 칸 위에는 다락을 두어 안방에서 출입할 수 있게 했다.
- 지붕: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역사심훈은 1932년 서울 생활을 정리하고 아버지의 거처가 있는 당진 부곡리로 내려와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34년 자신의 집을 직접 설계하여 짓고 '필경사'라 이름 붙였다. 필경사는 심훈이 1930년 '그날이 오면'이라는 시집을 내려다 일제의 검열에 걸려 못 내게 되자, 그 시집 원고 중 '필경'이라는 시의 제목에서 따온 이름이다.
필경사는 심훈이 사망한 이듬해부터 인근에 살던 김태룡 장로 가족이 살았고, 한국전쟁 후에는 피난민 황보은도가 거주했다. 1951년 심훈의 조카 권유희의 노력으로 다시 심훈의 가족에게 돌아왔다. 심훈의 장조카 심재영 옹이 관리하다가 당진군에 기증했다.
주변 환경필경사는 동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집 앞으로 넓은 들이 펼쳐져 있고 동북쪽으로는 서해가 인접해 있다. 필경사 마당 앞에는 심훈의 묘소와 상록수문화관, 심훈기념관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필경사 뒤로는 대나무 숲이 우거져 있다.
의의당진 필경사는 심훈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는 중요한 장소이며, 그의 삶과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공간이다. 또한, 일제강점기 시대의 건축 양식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도 지니고 있다.
현재필경사는 당진시에서 상록수문화관, 심훈기념관과 함께 보존·관리하고 있다. 심훈의 문학 정신을 기리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필경사 내에는 심훈이 읽던 책과 등불, 아궁이, 화장실 등이 재현되어 있으며, 필경사 주변에는 소설 '상록수'에 등장하는 전나무, 향나무, 사철나무, 소나무 등의 수목이 심어져 있다.
당진 필경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당진필경사 |
한자 이름 | 唐津筆耕舍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상록수길 97 (부곡리)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107 |
지정일 | 1997년 12월 23일 |
시대 | 일제강점기 |
수량 | 1동 |
문화재청 | 23,01070000,34 |
필경사 정보 | |
이름 | 필경사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312 |
지정일 | 1989년 4월 20일 |
해제일 | 1997년 12월 23일 |
문화재청 | 31,03120000,3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