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大邱 桐華寺 泗溟堂 惟政 眞影)은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로, 사명당 유정(1544~1610)을 그린 작품입니다. 2006년 12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0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형태 및 특징:


  • 비단에 채색한 그림으로, 전체 크기는 세로 145.2㎝, 가로 106㎝이며, 화면 크기는 세로 122.9㎝, 가로 78.8㎝입니다.
  • 사명당 유정은 등받이가 높은 의자에 앉아 오른쪽을 바라보는 좌안칠분면(左顔七分面)의 모습입니다.
  • 신발을 벗고 의자에 발을 올려 결가부좌한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 오른손은 펴서 불자(拂子)의 자루를 잡고 있고, 왼손은 불자의 채를 잡고 있어 안정감을 줍니다.
  • 얼굴은 담백한 색조 위에 윤곽선으로 표현하는 백묘법(白描法)으로 그려졌습니다.
  • 긴 타원형 얼굴에 온화한 모습이지만, 날카로운 눈매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장으로서의 기백을 보여줍니다.
  • 긴 수염은 가사의 고름까지 내려와 겸양의 기품과 위엄을 동시에 느끼게 합니다.
  • 흰색 장삼과 화려한 무늬의 붉은색 가사가 대조를 이루어 승려로서의 품위와 의병대장으로서의 강렬함을 동시에 나타냅니다.
  • 왼쪽 상단에는 '사명당대장(泗溟堂大將)'이라는 묵서가 있습니다.
  • 왼쪽 하단에는 "가경원년병진(嘉慶元年丙辰)"이라는 간기가 있어 1796년에 조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의의:

  • 국내에 전해오는 10여 점의 사명당 유정 진영 가운데 가장 뛰어난 필치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 1796년에 약간의 보채(補彩)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원래의 화풍은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의 고식(古式)을 보여주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추가 정보:

  • 동화사 성보박물관에는 사명당 유정 진영 외에도 다양한 불교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습니다.
  • 동화사는 2007년에 성보박물관을 개관하여 불교 문화재를 보존하고 전시하고 있습니다.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
이름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
원어 이름大邱 桐華寺 泗溟堂 惟政 眞影
지정 번호보물 제1505호
지정일2006년 12월 29일
소재지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동화사 (도학동)
소유자동화사
수량1점
시대조선시대
문화재청 ID12,15050000,22
구 문화재 정보 (문화재자료 시절)
명칭사명당대장진영
원어 명칭泗溟堂大將眞影
지정 구분문화재자료
지정 번호26
지정일1990년 12월 15일
해제일2006년 12월 29일
문화재청 ID31,0026000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