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군구는 1949년 제2차 국공 내전 이후 중국 인민해방군의 조직 개편으로 설립된 군사 조직이다. 1949년부터 1955년까지 1급 군구로 시작하여, 1955년 대군구와 성급 군구 체제로 간소화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16년 1월 16일 폐지되고, 5개 전구 체제로 전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구 - 란저우 군구
    란저우 군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의 7대 군구 중 하나였으며, 란저우시에 사령부를 두고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시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을 관할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구 - 베이징 군구
    베이징 군구는 수도 방위를 담당하며 허베이성, 베이징시,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톈진시를 관할했던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구였으나, 시진핑 정부의 군사 개혁에 따라 북부전구와 중부전구로 분리되었다.
  • 1940년 도입 - 미국의 영주권
    미국의 영주권은 미국에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법적 신분으로, 1933년 이민귀화국 설립 이후 제도 강화 및 절차 복잡화 과정을 거쳤으며, 가족 초청, 고용, 투자, 특별 이민 등 다양한 취득 경로가 존재하고, 이민 청원, 이민 비자 이용 가능성 확인, 이민 비자 심사의 세 단계를 거쳐 취득할 수 있으며, 영주권자는 미국 시민과 유사한 권리와 책임을 가진다.
  • 1940년 도입 - 컬러 텔레비전
    컬러 텔레비전은 흑백 텔레비전 기술에서 발전하여 화면에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NTSC, PAL, SECAM 등의 방송 표준을 통해 전 세계에 보급되었다.
  • 2016년 폐지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2016년 폐지 - 원미구
    원미구는 1993년 설치되어 2016년 폐지되었다가 2024년 재설치된 경기도 부천시의 옛 행정 구역으로,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9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도서관, 경찰서, 문화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대군구

2. 역사

제2차 국공내전이 끝난 1949년, 중국 인민해방군은 조직 개편을 통해 군구를 설립했다. 1945년부터 1955년까지 초기 군구는 1급, 2급, 3급으로 나뉘었으며, 이 중 1급 군구가 대군구에 해당했다. 1955년 조직 개편으로 1, 2, 3급 군구 구분은 폐지되고 대군구와 성급 군구 편제로 간소화되었다.[1]

2016년 1월 16일, 대군구가 폐지되고 2월 1일에 5개 전구가 도입되었다.[1]

2. 1. 1949년~1955년: 6대군구

제2차 국공내전이 끝난 1949년, 중국 인민해방군은 조직 개편을 통해 군구를 설립했다. 1945년부터 1955년까지 초기 군구는 1급, 2급, 3급으로 나뉘었으며, 이 중 1급 군구가 대군구에 해당했다. 1955년 조직 개편으로 1, 2, 3급 군구 구분은 폐지되고 대군구와 성급 군구 편제로 간소화되었다.[1]

2. 1. 1. 1급 군구

东北军区|둥베이 군구|둥베이 군구중국어는 1948년 1월 1일에 설립되었다. 华北军区|화베이 군구|화베이 군구중국어는 1948년 5월 9일에 설립되었다. 华东军区|화둥 군구|화둥 군구중국어는 1947년 1월 21일에 설립되었다. 华中军区|화종 군구|화종 군구중국어는 1949년 5월에 설립되었고, 1950년 1월에 종난 군구로 이름이 바뀌었다. 西北军区|시베이 군구|시베이 군구중국어는 1949년 2월 1일에 설립되었다. 西南军区|시난 군구|시난 군구중국어는 1950년 2월 9일에 설립되었다.

2. 1. 2. 2급 군구

명칭설립일비고
貴州军区|구이저우 군구|구이저우 군구중국어옛 제3병단
广東军区|광둥 군구|광둥 군구중국어
广西军区|광시 군구|광시 군구중국어
内蒙古军区|네이멍구 군구|내몽고 군구중국어
山西军区|산시 군구|산시 군구중국어1949년 8월
山東军区|산둥 군구|산둥 군구중국어1949년 2월1955년, 산둥성 군구로 개편됨.
新疆军区|신장 군구|신장 군구중국어
綏遠军区|수이위안 군구|수몽 군구중국어1966년, 내몽고 군구에 병합됨.
浙江军区|저장 군구|저장 군구중국어
河南军区|허난 군구|허난 군구중국어
江西军区|장시 군구|장시 군구중국어
川東军区|촨둥 군구|촨둥 군구중국어
雲南军区|윈난 군구|윈난 군구중국어
甘肅军区|간쑤 군구|간쑤 군구중국어옛 제2병단
陕西军区|산시 군구|산시 군구중국어옛 제19병단
西藏军区|시짱 군구|티베트 군구중국어1951년 12월
福建军区|푸젠 군구|푸젠 군구중국어
湖北军区|후베이 군구|후베이 군구중국어
湖南军区|후난 군구|후난 군구중국어


2. 1. 3. 3급 군구

군구 명칭관할 지역비고
요둥 군구동부 랴오닝성/랴오닝 반도遼東军区|요둥 군구중국어
요시 군구서부 랴오닝성/랴오닝 반도遼西军区|요시 군구중국어
허베이 군구허베이성河北军区|허베이 군구중국어
핑위안 군구平原军区|핑위안 군구중국어
차하얼 군구察哈尔军区|차하얼 군구중국어
자오둥 군구자오둥 반도胶東军区|자오둥 군구중국어
보하이 군구渤海军区|보하이 군구중국어
루종난 군구魯中南军区|루종난 군구중국어
장베이 군구북부 장쑤성蘇北军区|장베이 군구중국어
장난 군구남부 장쑤성蘇南军区|장난 군구중국어
완난 군구皖南军区|완난 군구중국어
완베이 군구皖北军区|완베이 군구중국어
간시난 군구贛西南军区|간시난 군구중국어
샹시 군구湘西军区|샹시 군구중국어
하이난 군구海南军区|하이난 군구중국어
촨난 군구남부 쓰촨성川南军区|촨난 군구중국어
촨시 군구서부 쓰촨성川西军区|촨시 군구중국어
촨베이 군구북부 쓰촨성川北军区|촨베이 군구중국어
시캉 군구西康军区|시캉 군구중국어
시난 군구남부 산시성陕南军区|시난 군구중국어
카슈가르 군구신장 위구르 자치구喀什军区|카슈가르 군구중국어
디화 군구迪化军区|디화 군구중국어
이리 군구이리 카자흐 자치주伊犁军区|이리 군구중국어
닝샤 군구닝샤 후이족 자치구寧夏军区|닝샤 군구중국어
칭하이 군구青海军区|칭하이 군구중국어


2. 2. 1955년~1967년: 13대군구

제2차 국공내전이 끝난 뒤, 1955년 조직 개편으로 1, 2, 3급 군구 구분을 폐지하고 대군구와 성급 군구 편제로 간소화되었다. 다음은 1955년부터 1967년까지 존속했던 13개 대군구 목록이다.

명칭설립일비고
瀋陽军区|선양 군구|선양 군구중국어1955년 3월 22일
北京军区|베이징 군구|베이징 군구중국어1955년 4월 14일화베이 군구를 개편
濟南军区|지난 군구|지난 군구중국어1955년 5월 1일
南京军区|난징 군구|난징 군구중국어1955년 4월 1일
廣州军区|광저우 군구|광저우 군구중국어1955년 4월 15일
武漢军区|우한 군구|우한 군구중국어1955년 3월 7일후베이 군구를 겸함
成都军区|청두 군구|청두 군구중국어1955년 4월 14일쓰촨 군구를 겸함
昆明军区|쿤밍 군구|쿤밍 군구중국어1955년 4월 1일윈난 군구를 겸함
蘭州军区|란저우 군구|란저우 군구중국어1955년 5월 1일
新疆军区|신장 군구|신장 군구중국어1955년 5월 1일
内蒙古军区|내몽고 군구|내몽고 군구중국어1955년 4월 20일1967년 5월 성급군구로 격하, 베이징 군구에 편입
西藏军区|티베트 군구|티베트 군구중국어1955년 5월 1일1968년 12월 성급군구로 격하, 청두 군구에 편입
福州军区|푸저우 군구|푸저우 군구중국어1956년 7월 1일푸젠 군구에서 개명


2. 3. 1968년~1985년: 11대군구

제2차 국공내전이 끝난 후, 1949년에 중국 인민해방군의 조직 개편으로 군구가 설립되었다. 1945년부터 1955년까지 초기 군구는 1, 2, 3급 군구로 나뉘었고, 1급 군구가 대군구에 해당하였다. 1955년 조직 개편으로 1, 2, 3급 군구 구분은 폐지되고 대군구와 성급 군구 편제로 간소화되었다.

1968년에서 1985년 사이에 존재했던 11대 군구는 다음과 같다.

  • 瀋陽军区|선양 군구|선양 군구중국어
  • 北京军区|베이징 군구|베이징 군구중국어
  • 濟南军区|지난 군구|지난 군구중국어
  • 南京军区|난징 군구|난징 군구중국어
  • 廣州军区|광저우 군구|광저우 군구중국어
  • 武漢军区|우한 군구|우한 군구중국어
  • 成都军区|청두 군구|청두 군구중국어
  • 昆明军区|쿤밍 군구|쿤밍 군구중국어
  • 蘭州军区|란저우 군구|란저우 군구중국어
  • 新疆军区|신장 군구|신장 군구중국어
  • 福州军区|푸저우 군구|푸저우 군구중국어

2. 4. 1985년~2016년: 7대군구

제2차 국공내전이 끝난 후 1949년에 중국 인민해방군의 조직 개편으로 군구가 설립되었다. 1945년부터 1955년까지 초기 군구는 1급, 2급, 3급 군구로 나뉘었고, 이 중 1급 군구가 대군구에 해당하였다. 1955년 조직 개편으로 1급, 2급, 3급 군구 구분이 폐지되고 대군구와 성급 군구 편제로 간소화되었다.[1]

3. 2016년 군구 폐지 및 전구(戰區) 체제 전환

제2차 국공내전이 끝난 뒤, 1949년에 중국 인민해방군의 조직 개편으로 군구가 설립되었다. 1945년부터 1955년까지 초기 군구는 1, 2, 3급 군구로 나뉘었고, 이 중 1급 군구가 대군구에 해당하였다. 1955년 조직 개편으로 1, 2, 3급 군구 구분은 폐지되고 대군구와 성급 군구 편제로 간소화되었다.

2016년 1월 16일, 대군구가 폐지되고 2월 1일에 5개 전구가 도입되었다.[1] 성급 군구는 각각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전구로 편입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