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석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리석도마뱀붙이는 1845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에 의해 처음 기술된 호주 남부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류이다. 학명은 여러 번 바뀌었으며, 현재는 Christinus 속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최대 50mm까지 자라며 꼬리에 지방을 저장하며, 위협을 받으면 꼬리를 자를 수 있다. 대리석도마뱀붙이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야행성 충식동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습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5년 기재된 파충류 - 자메이카이구아나
자메이카이구아나는 자메이카에 서식하는 대형 도마뱀으로, 외래종 유입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가 재발견되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 현재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845년 기재된 파충류 - 숲도마뱀붙이
숲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에 서식하며 숲, 관목 지대, 나무에서 발견되는 잡식성 태생 도마뱀붙이로, 밝은 W자 모양의 반점이 있는 갈색-회색의 특징을 가지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위험'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파충류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파충류 - 돼지코거북
돼지코거북은 측경아목 바다거북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돼지코와 지느러미 모양의 발을 가지며, 오세아니아에 분포하고 잡식성을 띠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멸종위기에 놓여 국제 거래가 규제된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대리석도마뱀붙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hristinus marmoratus |
명명자 | 그레이, 1845 |
이명 | Phyllodactylus marmoratus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도마뱀붙이과 |
속 | 대리석도마뱀붙이속 |
종 | 대리석도마뱀붙이 |
서식지 | |
분포 | 호주 |
서식 지역 | 호주 고유종 |
2. 분류
이 종은 1845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에 의해 처음 공식적으로 기술되었다.[18][19][2][3] 그는 이 도마뱀붙이를 ''Diplodactylus'' 속에 분류하여 ''Diplodactylus marmoratu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그레이의 기재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앞바다의 애브롤호스 제도(:en:Houtman Abrolhos)에서 수집되어 "길버트 씨"가 영국박물관에 기증한, 증류주에 보존된 네 개의 표본을 기반으로 했다. 그레이는 다른 기증자로부터 받은 탈색된 표본 하나를 조사하여, 같은 출판물에서 이를 다른 종(''Goniodactylus australis'')으로 잘못 기술하기도 했다.
대리석도마뱀붙이는 호주에서 가장 남쪽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류이다.[11][27] 뉴사우스웨일스주 북동부에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남서부를 거쳐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서부까지 분포하며,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해안가의 여러 섬에서도 발견된다.[11][27] 이들은 개방된 덤불지대, 경엽수림, 강가의 숲, 도시 지역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아간다.[1][11][12][13][17][27][28][29]
[1]
서적
Reptiles and Frogs in the Bush: Southwestern Australia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Press
1885년, 조지 앨버트 불렌저는 ''D. marmoratus''를 ''Phyllodactylus'' 속으로 옮겼다.[20][4] 그 후 1984년에 웰스(Wells)와 웰링턴(Wellington)이 현재의 속인 ''Christinus'' 속으로 재분류하였다.[21][5]
1977년 킹(King)의 연구는 대리석도마뱀붙이(''C. marmoratus'')가 서식 지역에 따라 핵형에서 상당한 지리적 변이를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22][6] 2000년 도넬리안(Donnellan) 등의 추가 연구를 통해, 이 종은 서방대리석도마뱀붙이(''C. marmoratus marmoratus'')와 남방대리석도마뱀붙이(''C. marmoratus dactylus'')라는 두 아종으로 나뉜다는 것이 밝혀졌다.[23][7]
3. 서술
성체는 주둥이부터 항문까지의 평균 길이가 50mm에 달하며, 무게는 약 2.5g이다.[8] 대리석도마뱀붙이는 꼬리에 지방을 저장하며,[9] 위협을 받으면 꼬리를 스스로 끊어(자절) 포식자로부터 도망치는 데 도움을 받는다. 꼬리가 완전히 재생되는 데는 약 8개월이 걸린다. 완전히 재생된 꼬리는 원래 꼬리와 비교했을 때 등쪽 피부의 색깔과 무늬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으며, 원래 꼬리가 근육 조직이 훨씬 더 발달되어 있다.[10] 어린 개체는 꼬리에 지방을 저장하지 않으며, 성체보다 더 쉽게 꼬리를 자른다.[9]
4. 분포와 서식지
5. 생태와 습성
대리석도마뱀붙이는 야행성이며 곤충을 먹는다.[28] 더운 여름에는 보통 깊은 틈새나 굴에서 낮 시간을 보내고, 추운 계절에는 바위 밑에 모여 지낸다.[28] 강기슭에 사는 개체들은 낮 동안 큰 유칼립투스 나무의 두꺼운 나무껍질 아래에서 쉬는 경향이 있다.[30]
대리석도마뱀붙이는 보통 최대 10마리까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대부분의 무리에는 수컷 한 마리가 포함된다.[24] 대부분의 도마뱀붙이류가 영역 행동을 보이는 것을 고려할 때,[31] 대리석도마뱀붙이가 흔하게 무리를 이루는 것은 특이한 점이다. (카니(Kearney) 등은 발견한 개체 중 4분의 1이 무리를 이루고 있었다고 보고했다.)[24] 이러한 군집 행동은 짝짓기 기회를 늘리거나, 공동 경계를 통해 포식자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거나,[32] 단순히 좋은 서식지를 함께 이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24]
앵글레타(Angiletta)와 워너(Werner)의 1998년 연구에 따르면, 대리석도마뱀붙이가 선호하는 체온은 27.7°C로, 낮이나 밤의 평균 체온보다 훨씬 높다. 이후 카니(Kearney)와 프레다벡(Predavec)의 2000년 연구에서는 이들이 자세 조절을 통해 체온조절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바위 표면에 몸을 붙이거나 떼는 방식으로 체온을 조절한다. 또한, 바위의 온도를 확인하려는 듯 주둥이를 바위에 대보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28]
대리석도마뱀붙이는 소리를 잘 내지 않지만, 공격을 받으면 끽끽거리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참조
[2]
문서
Catalogue of the specimens of lizard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Trustees of die British Museum/Edward Newman, London
1845
[3]
웹사이트
Christinus marmoratus Gray, 1845
http://reptile-datab[...]
J. Craig Venter Institute
2009-01-26
[4]
문서
Catalogue of the Lizards in the British Museum (Nat. Hist.) I. Geckonidae, Eublepharidae, Uroplatidae, Pygopodidae, Agamidae
London
1885
[5]
간행물
A classification of the Amphibia and Reptilia of Australia
1985
[6]
간행물
Chromosomal and morphometric variation in the gekko Diplodactylus vittatus (Gray)
1977
[7]
간행물
Genetic and morphological variation in Australian Christinus (Squamata : Gekkonidae): preliminary overview with recognition of a cryptic species on the Nullarbor Plain
2000
[8]
간행물
Why do geckos group? An analysis of "social" aggregations in two species of Australian Lizards
2001
[9]
간행물
The importance of caudal lipid in the gecko Phyllodactylus marmoratus
1984
[10]
서적
Autotomy and regeneration in reptiles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85
[11]
간행물
Karyotypic variation in the Australian Gekko Phyllodactylus marmoratus (Gray) (Gekkonidae: Reptilia)
1976
[12]
간행물
Do nocturnal ectotherms thermoregulate? A study of the temperate gecko Christinus marmoratus
2000
[13]
간행물
Tail size and effectiveness of autotomy in a lizard
1986
[14]
간행물
The Marbled Gecko in Urban Parklands: Do Retreat Sites Limit Population Size During Winter?
[15]
간행물
Acoustic and visual display behaviour of gekkonid lizards
1977
[16]
간행물
Conspecific attraction and aggregation in territorial species
1988
[17]
서적
Reptiles and Frogs in the Bush: Southwestern Australia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Press
[18]
문서
Catalogue of the specimens of lizard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Trustees of die British Museum/Edward Newman, London
1845
[19]
웹인용
Christinus marmoratus Gray, 1845
http://reptile-datab[...]
J. Craig Venter Institute
2009-01-26
[20]
문서
Catalogue of the Lizards in the British Museum (Nat. Hist.) I. Geckonidae, Eublepharidae, Uroplatidae, Pygopodidae, Agamidae
London
1885
[21]
간행물
A classification of the Amphibia and Reptilia of Australia
1985
[22]
간행물
Chromosomal and morphometric variation in the gekko Diplodactylus vittatus (Gray)
1977
[23]
간행물
Genetic and morphological variation in Australian Christinus (Squamata : Gekkonidae): preliminary overview with recognition of a cryptic species on the Nullarbor Plain
2000
[24]
간행물
Why do geckos group? An analysis of “social” aggregations in two species of Australian Lizards
2001
[25]
간행물
The importance of caudal lipid in the gecko Phyllodactylus marmoratus
1984
[26]
서적
Autotomy and regeneration in reptiles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85
[27]
간행물
Karyotypic variation in the Australian Gekko Phyllodactylus marmoratus (Gray) (Gekkonidae: Reptilia)
1976
[28]
간행물
Do nocturnal ectotherms thermoregulate? A study of the temperate gecko Christinus marmoratus
2000
[29]
간행물
Tail size and effectiveness of autotomy in a lizard
1986
[30]
간행물
The Marbled Gecko In Urban Parklands: Do Retreat Sites Limit Population Size During Winter?
[31]
간행물
Acoustic and visual display behaviour of gekkonid lizards
1977
[32]
간행물
Conspecific attraction and aggregation in territorial species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