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서양대나무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서양대나무쥐는 머리부터 몸까지 최대 25cm, 꼬리 길이 32cm, 몸무게 약 475g의 설치류이다. 남아메리카 토착종으로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 분포하며, 습윤한 숲과 대나무 숲에서 서식한다. 야행성이며, 수상 생활을 하고 풀, 잎, 새싹, 과일 등을 먹는다. 가시쥐과에 속하며, 닥틸로미네스 분류군에 포함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5년 기재된 포유류 - 남방털코웜뱃
    남방털코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웜뱃으로, 튼튼한 체구와 털로 덮인 코를 가지며, 반건조 및 건조한 초원과 삼림 지대에서 풀과 사초를 먹고 굴을 파서 집단 거주지를 형성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1845년 기재된 포유류 - 조프루아타마린
    조프루아타마린은 중앙아메리카와 콜롬비아 열대림에 사는 작은 비단원숭이류로, 검은색과 노란색 털, 붉은 머리털을 가지며, 다양한 식단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위기 근접종으로 보호받는다.
  • 가시쥐과 - 뉴트리아
    남아메리카 원산의 대형 설치류인 뉴트리아는 모피 획득을 위해 전 세계에 도입되었으나 현재는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농작물 피해를 일으키는 외래종이다.
  • 가시쥐과 - 붉은관나무쥐
    붉은관나무쥐는 콜롬비아 시에라네바다 데 산타마르타 지역의 고지대에서 서식하며 짙은 적갈색 털을 가진 야행성 설치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심각한 위기 등급으로 분류되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대서양대나무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서양대나무쥐속 (Kannabateomys)
학명_속명Jentink, 1891
대서양대나무쥐 (K. amblyonyx)
학명_종명Wagner, 1845
대서양대나무쥐
보존 상태관심 필요 (LC)
IUCN 3.1 참고IUCN Red List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호저아목
가시쥐과
아종
종류K. a. amblyonyx Wagner, 1845
K. a. pallidior Thomas, 1903

2. 특징

대서양대나무쥐는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최대 25cm이고 꼬리 길이는 32cm이다. 몸무게는 약 475g이다. 털은 대부분의 설치류처럼 아구티 갈색부터 회색을 띠며, 옆구리는 밤색으로 색조가 변한다. 볼과 하체는 불그스레한 갈색과 함께 흰 색조를 띤다. 꼬리가 시작되는 6cm 정도는 털이 잘 나 있지만 나머지 부분은 숱이 적게 나 있다. 꼬리 끝은 독특한 장식술 형태의 털이 나 있다.[20] 다 자라면 긴 꼬리를 갖게 되며 다른 종과 혼동되지 않는다.[3]

3. 명칭

속명 ''Kannabateomys''는 세 개의 고대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 κάννα|칸나grc는 "갈대, 지팡이"를, βατέω|바테오grc는 "타다, 올라타다"를, μῦς|뮈스grc는 "생쥐, 쥐"를 의미한다.[4][5][6]

종명 ''amblyonyx''는 두 개의 고대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 ἀμβλύς|암블리스grc는 "무딘, 날카롭지 않은"을, ὄνυξ|오닉스grc는 "발톱, 손톱"을 의미한다.[4][5]

4. 분포 및 서식지

브라질 남동부, 파라과이 동부,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분포한다.[21] 일반적인 서식지는 물 근처의 습윤 숲과 울창한 대나무 숲 하층이다. 특히 덤불을 형성하는 대형 대나무의 일종인 구아두아 앙구스티폴리아(''Guadua angustifolia'') 숲에서 서식한다.[21]

5. 생태

대서양대나무쥐는 야행성 동물이고,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로, 특히 물 근처의 나무와 대나무 주변을 기어 오른다. 활동 영역은 약 1000m2이다. 위험을 느끼면 큰 소리를 낸다.[20][3] 풀과 잎, 새싹, 과일과 덩이줄기 등을 먹는 것으로 추정된다.[22][8]

6. 계통 분류

다음은 가시쥐과(아메리카가시쥐과)의 계통 분류이다.[23]


6. 1. 하위 분류


  • ''K. a. amblyonyx'' Wagner, 1845
  • ''K. a. pallidior'' Thomas, 1903


칸나바테오미스(Kannabateomys)는 수목 생활을 하는 에키미스과 설치류의 에키미니 분류군에 속한다. 가장 가까운 친척은 닥틸로미스(Dactylomys)와 올랄라미스(Olallamys)이다. 이 남아메리카 대나무쥐들은 독특한 특징을 공유하며 "닥틸로미네스"라는 비공식적인 분류군명으로 묶인다.[9] 닥틸로미네스는 디플로미스(Diplomys)와 산타마르타미스(Santamartamys)의 자매 속이다. 이 모든 분류군은 에키미스(Echimys), 필로미스(Phyllomys), 마칼라타(Makalata), 패토노미스(Pattonomys), 토로미스(Toromys) 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 속은 다시 론코트릭스(Lonchothrix)와 메소미스(Mesomys)를 포함하는 분류군 및 이소트릭스(Isothrix)와 계통 발생학적 친연성을 공유한다.[10]

7. 보전 상태

대서양대나무쥐는 흔한 종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에서 1km2당 겨우 4마리의 밀도를 갖는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19]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거의 관찰되지 않지만, 광범위한 분포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큰 전체 개체군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숲 개간 때문에 국지적으로 위협을 받고 있지만 다른 특정한 위협은 확인되지 않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보전 등급을 "관심대상종"으로 지정하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Kannabateomys amblyonyx''" 2016
[2] 간행물
[3] 서적 Mammals of the Neotropics, Volume 3: Ecuador, Bolivia, Brazi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서적 Abrégé du dictionnaire grec français Hachette 1981-01-01
[5] 웹사이트 Greek-french dictionary online http://www.tabulariu[...] 2017-12-07
[6] 서적 Details - Index generum mammalium: a list of the genera and families of mammals. - Biodiversity Heritage Library Washington, Govt. Print. Off.
[7] 문서 Londoño, X. 2000. ''Guadua''. In E. J. Judziewicz, R. J. Soreng, G. Davidse, P. M. Peterson, T. S. Filgueiras & F. O. Zuloaga (eds.) Catalogue of New World Grasses (Poaceae): I. Subfamilies Anomochlooideae, Bambusoideae, Ehrhartoideae, and Pharoideae, Contributions from the United States National Herbarium 39: 58–62.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8] 서적 Mammals of South America https://books.google[...] JHU Press
[9] 서적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Vol 6. Lagomorphs and Rodents I Lynx Edicions
[10] 학술 Mitogenomic Phylogeny, Diversification, and Biogeography of South American Spiny Rats 2017-03-01
[11] 학술 The Simultaneous Diversification of South American Echimyid Rodents (Hystricognathi) Based on Complete Cytochrome ''b'' Sequences
[12] 학술 Evolution of South American spiny rats (Rodentia, Echimyidae): the star-phylogeny hypothesis revisited
[13] 학술 Ecomorphological diversification among South American spiny rats (Rodentia; Echimyidae): a phylogenetic and chronological approach
[14] 학술 Diversification and biogeography of the Neotropical caviomorph lineage Octodontoidea (Rodentia: Hystricognathi)
[15] 학술 Diversification of South American spiny rats (Echimyidae): a multigene phylogenetic approach 2013-03-01
[16] 학술 Unexpecte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painted tree rat ''Callistomys pictus'' (Rodentia: Echimyidae) http://www.naturezao[...] 2014
[17] 학술 Rodents of the Caribbean: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hutias unravelled by next-generation museomics 2014-07-01
[18] 서적 Biology of caviomorph rodents: diversity and evolution SAREM Series A, Mammalogical Research — Sociedad Argentina para el Estudio de los Mamíferos
[19] 간행물 Kannabateomys amblyonyx
[20] 서적 Mammals of the Neotropics, Volume 3: Ecuador, Bolivia, Brazi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문서 Londoño, X. 2000. ''Guadua''. In E. J. Judziewicz, R. J. Soreng, G. Davidse, P. M. Peterson, T. S. Filgueiras & F. O. Zuloaga (eds.) Catalogue of New World Grasses (Poaceae): I. Subfamilies Anomochlooideae, Bambusoideae, Ehrhartoideae, and Pharoideae, Contributions from the United States National Herbarium 39: 58–62.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22] 서적 Mammals of South America https://books.google[...] JHU Press
[23] 문서 Evolution of the caviomorph rodents: a complete phylogeny and timetree of living genera https://www.research[...]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