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보물 (제1801호 ~ 제19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대한민국의 보물 제1801호부터 제1900호까지에 해당하는 목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보물 제1801호: 경주 불국사 사리탑 (慶州 佛國寺 舍利塔) (2013-11-06)
  • 보물 제1802호: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慶州 皇龍寺 九層木塔 金銅刹柱本記) (2013-11-06)
  • 보물 제1803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順天 松廣寺 華嚴經變相圖) (2013-11-06)
  • 보물 제1804호: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金泉 葛項寺址 東·西 三層石塔 出土 舍利莊嚴具) (2014-01-20)
  • 보물 제1805호: 이십삼사도 병풍 (二十三絲圖 屛風) (2014-01-20)
  • 보물 제1806호: 조응도 (鳥鷹圖) (2014-01-20)
  • 보물 제1807호: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 (金弘道 筆 馬上聽鶯圖) (2014-01-20)
  • 보물 제1808호: 전 심희수 필 초충도 (傳 沈喜壽 筆 草蟲圖) (2014-01-20)
  • 보물 제1809호: 예념미타도량참법 (禮念彌陀道場懺法) (2014-03-19)
  • 보물 제1810호: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2014-03-19)
  • 보물 제1811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2014-03-19)
  • 보물 제1812호: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2014-03-19)
  • 보물 제1813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橡紙銀泥妙法蓮華經) (2014-03-19)
  • 보물 제1814호: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1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四十一) (2014-03-19)
  • 보물 제1815호: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14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十四) (2014-03-19)
  • 보물 제1816호: 백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白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一) (2014-03-19)
  • 보물 제1817호: 백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8 (白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十八) (2014-03-19)
  • 보물 제1818호: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4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五十四) (2014-03-19)
  • 보물 제1819호: 안동 봉황사 대웅전 (安東 鳳凰寺 大雄殿) (2014-03-19)
  • 보물 제1820호: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탱 (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幀) (2014-05-08)
  • 보물 제1821호: 예천 용문사 영산회 괘불탱 (醴泉 龍門寺 靈山會 掛佛幀) (2014-05-08)
  • 보물 제1822호: 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永川 銀海寺 百興庵 極樂殿) (2014-07-01)
  • 보물 제1823호: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大邱 桐華寺 磨崖如來坐像) (2014-07-01)
  • 보물 제1824호: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大邱 桐華寺 毘盧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 (2014-07-01)
  • 보물 제1825호: 안동 의성김씨 종택 (안동 의성김씨 종택) (安東 義城金氏 宗宅) (2014-07-01)
  • 보물 제1826호: 안동 수곡고택 (安東 水谷故宅) (2014-07-01)
  • 보물 제1827호: 월인석보 권21 (月印釋譜 卷二十一) (2014-10-20)
  • 보물 제1828호: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鄭敾 筆 楓岳內山總覽圖) (2014-10-20)
  • 보물 제1829호: 이광사 필 서결 (李匡師 筆 書訣) (2014-10-20)
  • 보물 제1830호: 전 이광사 필 초서 천자문 (傳 李匡師 筆 草書 千字文) (2014-10-20)
  • 보물 제1831호: 전남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康津 月南寺址 眞覺國師碑) (2014-10-20)
  • 보물 제1832호: 강진 무위사 감역교지 (康津 無爲寺 減役敎旨) (2014-10-20)
  • 보물 제1833호: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 (靑磁 堆花點文 羅漢坐像) (2014-10-20)
  • 보물 제1834호: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求禮 華嚴寺 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 (2015-01-07)
  • 보물 제1835호: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求禮 華嚴寺 華嚴石經) (2015-01-07)
  • 보물 제1836호: 불설아미타경 (언해) (佛說阿彌陀經 (諺解)) (2015-01-07)
  • 보물 제1837호: 금강반야바라밀경 (언해) (金剛般若波羅蜜經 (諺解)) (2015-01-07)
  • 보물 제1838호: 진언권공 (언해) (眞言勸供 (諺解)) (2015-01-07)
  • 보물 제1839호: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6 (白紙墨書妙法蓮華經 卷六) (2015-01-07)
  • 보물 제1840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九∼十) (2015-01-07)
  • 보물 제1841호: 성리대전서절요 (性理大全書節要) (2015-01-07)
  • 보물 제1842호: 고금운회거요 (古今韻會擧要) (2015-01-07)
  • 보물 제1843호: 육경합부 (六經合部) (2015-01-07)
  • 보물 제1844호: 신간유편역거삼장문선대책 권5~6 (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對策 卷五~六) (2015-01-07)
  • 보물 제1845호: 이응태 묘 출토 족의 (李應台 墓 出土 足衣) (2015-02-11)
  • 보물 제1846호: 예천 보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醴泉 普門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2015-04-22)
  • 보물 제1847호: 대구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大邱 龍淵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및 腹藏遺物) (2015-04-22)
  • 보물 제1848호: 대구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大邱 龍淵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腹藏典籍) (2015-04-22)
  • 보물 제1849호: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永川 銀海寺 念佛往生捷徑圖) (2015-04-22)
  • 보물 제1850호: 예천 용문사 천불탱 (醴泉 龍門寺 千佛幀) (2015-04-22)
  • 보물 제1851호: 김홍도 필 과로도기도 (金弘道 筆 跨驢渡沂圖) (2015-04-22)
  • 보물 제1852호: 전 김홍도 필 해탐보응도 (傳 金弘道 筆 蟹貪報應圖) (2015-04-22)
  • 보물 제1853호: 파주 보광사 목조보살입상 (坡州 普光寺 木造菩薩立像) (2015-07-01)
  • 보물 제1854호: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尙州 南長寺 普光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腹藏典籍) (2015-07-01)
  • 보물 제1855호: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전적 (尙州 南長寺 觀音禪院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典籍) (2015-07-01)
  • 보물 제1856호: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유물 (尙州 南長寺 觀音禪院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遺物) (2015-07-01)
  • 보물 제1857호: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및 관계문서 (聞慶 大乘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및 關係文書) (2015-07-01)
  • 보물 제1858호: 안성 봉업사 석조여래입상 (安城 奉業寺 石造如來立像) (2015-07-01)
  • 보물 제1859호: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金弘道 筆 三公不換圖) (2015-07-01)
  • 보물 제1860호: 김홍도 필 과지각도 (金弘道 筆 果指閣圖) (2015-07-01)
  • 보물 제1861호: 경선사명 청동북 (景禪寺銘 金鼓) (2015-09-02)
  • 보물 제1862호: 의성 고운사 연수전 (義城 孤雲寺 延壽殿) (2015-09-02)
  • 보물 제1863호: 의성 고운사 가운루 (義城 孤雲寺 駕雲樓) (2015-09-02)
  • 보물 제1864호: 경주향교 소장 제사 (慶州鄕校 所藏 祭器) (2015-09-02)
  • 보물 제1865호: 영조 기로연·수작연도병 (英祖 耆老宴·受爵宴圖屛) (2015-11-04)
  • 보물 제1866호: 이숙기 초상 (李淑琦 肖像) (2015-11-04)
  • 보물 제1867호: 경상북도 금릉 은기리 마애여래좌상 (慶尙北道 金陵 銀基里 磨崖如來坐像) (2015-11-04)
  • 보물 제1868호: 안동 봉정사 괘불 (安東 鳳停寺 掛佛) (2016-02-22)
  • 보물 제1869호: 안동 만대헌 (安東 晩對軒) (2016-02-22)
  • 보물 제1870호: 나전경함 (螺鈿經函) (2016-02-22)
  • 보물 제1871호: 청도 운문사 청동북 (淸道 雲門寺 金鼓) (2016-02-22)
  • 보물 제1872호: 불조삼경 (佛祖三經) (2016-02-22)
  • 보물 제1873호: 묘법연화경삼매참법 (妙法蓮華經三昧懺法) (2016-02-22)
  • 보물 제1874호: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 (妙法蓮華經 觀世音菩薩普門品) (2016-02-22)
  • 보물 제1875호: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2-22)
  • 보물 제1876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2016-02-22)
  • 보물 제1877호: 몽산화상법어략록 (蒙山和尙法語略錄) (2016-02-22)
  • 보물 제1878호: 육조대사법보단경 (六祖大師法寶壇經) (2016-02-22)
  • 보물 제1879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2016-02-22)
  • 보물 제1880호: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 (2016-02-22)
  • 보물 제1881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陜川 海印寺 乾漆希朗大師坐像) (2016-02-22)
  • 보물 제1882호: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2 (大方廣佛華嚴經疏 卷四十二) (2016-02-22)
  • 보물 제1883호: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 (李寅文 筆 江山無盡圖) (2016-07-01)
  • 보물 제1884호: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 및 죽찰 (靑磁 陰刻蓮花折枝文 梅甁 및 竹札) (2016-07-01)
  • 보물 제1885호: 조영석 필 고승도석도 (趙榮祏 筆 古聖道釋圖) (2016-07-01)
  • 보물 제1886호: 최북 필 조어도 (崔北 筆 釣魚圖) (2016-07-01)
  • 보물 제1887호: 이정 필 노엽달마도 (李霆 筆 蘆葉達磨圖) (2016-07-01)
  • 보물 제1888호: 김홍도 필 추성부도 (金弘道 筆 秋聲賦圖) (2016-07-01)
  • 보물 제1889호: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白磁 靑畫‘弘治二年’銘 松竹文 立壺) (2016-07-01)
  • 보물 제1890호: 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 (2016-07-01)
  • 보물 제1891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佛說大報父母恩重經 (諺解)) (2016-11-16)
  • 보물 제1892호: 선종영가집 (언해) (禪宗永嘉集 (諺解)) (2016-11-16)
  • 보물 제1893호: 능엄경 (언해) (楞嚴經 (諺解)) (2016-11-16)
  • 보물 제1894호: 제진언집 (언해) (諸眞言集 (諺解)) (2016-11-16)
  • 보물 제1895호: 예념미타도량참법 (언해) (禮念彌陀道場懺法 (諺解)) (2016-11-16)
  • 보물 제1896호: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2016-11-16)
  • 보물 제1897호: 분청사기 상감‘경태5년명’ 이선제 묘지 (粉靑沙器 象嵌‘景泰5年銘’ 李先齊 墓誌) (2016-11-16)
  • 보물 제1898호: 백자 청화매조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畫梅鳥竹文 有蓋壺) (2016-11-16)
  • 보물 제1899호: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尙州 南長寺 普光殿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2016-11-16)
  • 보물 제1900호: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尙州 南長寺 甘露王圖) (2016-11-16)


이 목록은 2016년 11월 16일까지 지정된 보물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801호 ~ 제1900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