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대한민국의 사적은 문화재청장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하는 기념물 중 중요한 것을 말합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1호 경주 포석정지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500호가 넘는 사적이 지정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해제되기도 했습니다.

다음은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부터 제100호까지의 목록입니다. (2024년 7월 31일 기준)
제1호 ~ 제10호


  • 제1호: 경주 포석정지 (慶州 鮑石亭址) - 경북 경주시 (1963년 1월 21일 지정)
  • 제2호: 김해 봉황동 유적 (金海 鳳凰洞 遺蹟) - 경남 김해시 (1963년 1월 21일 지정)
  • 제3호: 수원 화성 (水原 華城) - 경기 수원시 (1963년 1월 21일 지정)
  • 제4호: 부여 가림성 (扶餘 加林城) - 충남 부여군 (1963년 1월 21일 지정)
  • 제5호: 부여 부소산성 (扶餘 扶蘇山城) - 충남 부여군 (1963년 1월 21일 지정)
  • 제6호: 경주 황룡사지 (慶州 皇龍寺址) - 경북 경주시 (1963년 1월 21일 지정)
  • 제7호: 경주 망덕사지 (慶州 望德寺址) - 경북 경주시 (1963년 1월 21일 지정)
  • 제8호: 경주 사천왕사지 (慶州 四天王寺址) - 경북 경주시 (1963년 1월 21일 지정)
  • 제9호: 울산학성 (蔚山鶴城) - 경남 울산시 (1963년 1월 21일 지정, 1997년 1월 1일 해제, 울산 문화재자료 제7호로 재지정)
  • 제10호: 서울 한양도성 (서울 漢陽都城) - 서울 종로구 외 (1963년 1월 21일 지정, 2011년 7월 28일 명칭변경)

제11호 ~ 제20호

  • 제11호: 서울 풍납동 토성 - 서울 송파구
  • 제12호: 공주 공산성 - 충청남도 공주시
  • 제13호: 공주 송산리 고분군 - 충청남도 공주시
  • 제14호: 부여 능산리 고분군 - 충청남도 부여군
  • 제15호: 경주 첨성대 - 경상북도 경주시
  • 제16호: 경주 춘양교지와 월정교지 - 경상북도 경주시
  • 제17호: 부산 동래 패총 - 부산광역시 동래구
  • 제18호: 경주 불국사 - 경상북도 경주시
  • 제19호: 김해 수로왕릉 - 경상남도 김해시
  • 제20호: 의창 다호리 고분군 - 경상남도 창원시

제21호 ~ 제30호

  • 제21호: 경주 감은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 제22호: 광양 마로산성 - 전라남도 광양시
  • 제23호: 경주 무열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 제24호: 경주 김유신묘 - 경상북도 경주시
  • 제25호: 창녕 교동 고분군 - 경상남도 창녕군
  • 제26호: 대구 불로동 고분군 - 대구광역시 동구
  • 제27호: 합천 옥전 고분군 - 경상남도 합천군
  • 제28호: 밀양 무안리 고분군 - 경상남도 밀양시
  • 제29호: 고령 지산동 고분군 - 경상북도 고령군
  • 제30호: 경주 구정동 방형분 - 경상북도 경주시

제31호 ~ 제40호

  • 제31호: 서울 방이동 고분군 - 서울특별시 송파구
  • 제32호: 양산 북정리 고분군 - 경상남도 양산시
  • 제33호: 거창 둔마리 고분군 - 경상남도 거창군
  • 제34호: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 전라북도 남원시
  • 제35호: 창녕 송현동 고분군 - 경상남도 창녕군
  • 제36호: 경주 용강동 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 제37호: 경주 황오동 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 제38호: 경주 황남동 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 제39호: 경주 조양동 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 제40호: 경주 노서동 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제41호 ~ 제50호

  • 제41호: 김해 대성동 고분군 - 경상남도 김해시
  • 제42호: 영광 월산리 고분군 - 전라남도 영광군
  • 제43호: 담양 고읍리 고분군 - 전라남도 담양군
  • 제44호: 강진 용운리 고분군 - 전라남도 강진군
  • 제4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 - 경상남도 함안군
  • 제46호: 경주 보문동 부부총 - 경상북도 경주시
  • 제47호: 부여 정림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 제48호: 익산 미륵사지 - 전라북도 익산시
  • 제49호: 서울 석촌동 고분군 - 서울특별시 송파구
  • 제50호: 경주 노동동 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제51호 ~ 제60호

  • 제51호: 창녕 계성 고분군 (昌寧 桂城 古墳群) - 경남 창녕군 (1963년 1월 21일)
  • 제52호: 함평 신덕 고분군 (咸平 新德 古墳群) - 전남 함평군 (1963년 1월 21일)
  • 제53호: 연천 전곡리 유적 (漣川 全谷里 遺蹟) - 경기 연천군 (1963년 1월 21일)
  • 제54호: 진주 남강 옥봉 유적 (晉州 南江 玉峰 遺蹟) - 경남 진주시 (1963년 1월 21일)
  • 제55호: 진주 중천리 용산 유적 (晉州 中泉里 龍山 遺蹟) - 경남 진주시 (1963년 1월 21일)
  • 제56호: 의령 중동리 유적 (宜寧 中洞里 遺蹟) - 경남 의령군 (1963년 1월 21일)
  • 제57호: 김해 부원동 유적 (金海 府院洞 遺蹟) - 경남 김해시 (1963년 1월 21일)
  • 제58호: 해남 군곡리 패총 (海南 郡谷里 貝塚) - 전남 해남군 (1963년 1월 21일)
  • 제59호: 사천 늑도 유적 (泗川 勒島 遺蹟) - 경남 사천시 (1963년 1월 21일)
  • 제60호: 서산 부장리 유적 (瑞山 扶長里 遺蹟) - 충남 서산시 (1963년 1월 21일)

제61호 ~ 제70호

  • 제61호: 서울 암사동 유적 (서울 岩寺洞 遺蹟) - 서울 강동구 (1963년 1월 21일)
  • 제62호: 울주 검단리 유적 (蔚州 檢丹里 遺蹟) - 울산 울주군 (1963년 1월 21일)
  • 제63호: 나주 반남면 고분군 (羅州 潘南面 古墳群) - 전남 나주시 (1963년 1월 21일)
  • 제64호: 함안 도항리 고분군 (咸安 道項里 古墳群) - 경남 함안군 (1963년 1월 21일)
  • 제65호: 부산 조도 패총 (釜山 朝島 貝塚) - 부산 영도구 (1963년 1월 21일)
  • 제66호: 부산 범방 패총 (釜山 凡方 貝塚) - 부산 강서구 (1963년 1월 21일)
  • 제67호: 통영 연대도 패총 (統營 煙臺島 貝塚) - 경남 통영시 (1963년 1월 21일)
  • 제68호: 거제 장목면 구영리 유적 (巨濟 長木面 舊永里 遺蹟) - 경남 거제시 (1963년 1월 21일)
  • 제69호: 웅천 패총 (熊川 貝塚) - 경남 창원시 (1963년 1월 21일)
  • 제70호: 안면도 패총 (安眠島 貝塚) - 충남 태안군 (1963년 1월 21일)

제71호 ~ 제80호

  • 제71호: 보령 교성리 패총 (保寧 橋城里 貝塚) - 충남 보령시 (1963년 1월 21일)
  • 제72호: 시흥 오이도 유적 (始興 烏耳島 遺蹟) - 경기 시흥시 (1963년 1월 21일)
  • 제73호: 강화 삼거리 고인돌군 (江華 三巨里 고인돌群) - 인천 강화군 (1964년 7월 28일)
  • 제74호: 강화 부근리 고인돌군 (江華 富近里 고인돌群) - 인천 강화군 (1964년 7월 28일)
  • 제75호: 강화 교산리 고인돌군 (江華 橋山里 고인돌群) - 인천 강화군 (1964년 7월 28일)
  • 제76호: 화순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 (和順 孝山里와 大薪里 支石墓群) - 전남 화순군 (1964년 7월 28일)
  • 제77호: 고창 고인돌군 (高敞 고인돌群) - 전북 고창군 (1964년 7월 28일)
  • 제78호: 강화 오상리 고인돌군 (江華 吾上里 고인돌群) - 인천 강화군 (1964년 7월 28일)
  • 제79호: 강화 대산리 고인돌군 (江華 大山里 고인돌群) - 인천 강화군 (1964년 7월 28일)
  • 제80호: 논산 궐평리 및 평정리 고인돌군 (論山 闕坪里 및 坪村里 고인돌群) - 충남 논산시 (1964년 7월 28일)

제81호 ~ 제90호

  • 제81호: 강화 사기리 고인돌군 (江華 沙器里 고인돌群) - 인천 강화군 (1964년 7월 28일)
  • 제82호: 무주 지전 및 삼산리 고인돌군 (茂朱 芝田 및 三山里 고인돌群) - 전북 무주군 (1964년 7월 28일)
  • 제83호: 영암 월출산 고인돌군 (靈巖 月出山 고인돌群) - 전남 영암군 (1964년 7월 28일)
  • 제84호: 금산 백령성 (錦山 白嶺城) - 충남 금산군 (1963년 1월 21일)
  • 제85호: 보은 삼년산성 (報恩 三年山城) - 충북 보은군 (1963년 1월 21일)
  • 제86호: 경주 남산성 (慶州 南山城) - 경북 경주시 (1963년 1월 21일)
  • 제87호: 부안 백산성 (扶安 白山城) - 전북 부안군 (1963년 1월 21일)
  • 제88호: 서울 아차산성 (서울 峨嵯山城) - 서울 광진구 (1963년 1월 21일)
  • 제89호: 상주 상주읍성 (尙州 尙州邑城) - 경북 상주시 (1963년 1월 21일)
  • 제90호: 증평 이성산성 (曾坪 二城山城) - 충북 증평군 (1963년 1월 21일)

제91호 ~ 제100호

  • 제91호: 경주 남고루 (慶州 南古壘) - 경북 경주시 (1963년 1월 21일)
  • 제92호: 문경 관산성 및 주흘산성 (聞慶 冠山城 및 主屹山城) - 경북 문경시 (1963년 1월 21일)
  • 제93호: 고부 두승산성 (古阜 斗升山城) - 전북 정읍시 (1963년 1월 21일)
  • 제94호: 성주 성산성 (星州 星山城) - 경북 성주군 (1963년 1월 21일)
  • 제95호: 서천 건지산성 (舒川 乾芝山城) - 충남 서천군 (1963년 1월 21일)
  • 제96호: 부여 석성산성 (扶餘 石城山城) - 충남 부여군 (1963년 1월 21일)
  • 제97호: 부여 청마산성 (扶餘 靑馬山城) - 충남 부여군 (1963년 1월 21일)
  • 제98호: 강화 적석사 낙조대 (江華 積石寺 落照臺) - 인천 강화군 (1963년 1월 21일)
  • 제99호: 파주 이이 유적 (坡州 李珥 遺蹟) - 경기 파주시 (1963년 1월 21일)
  • 제100호: 양산 법기리 요지 (梁山 法基里 窯址) - 경남 양산시 (1963년 1월 21일)


더 자세한 정보는 문화재청 홈페이지나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