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은 한 해 동안 활동한 문화, 연예, 예술인을 대상으로 시상하는 행사이다. 누리꾼 투표와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후보자를 선정하고, 심사위원회를 거쳐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영화, 드라마 등 예술 분야 5개의 대상과 20개 부문상, 각 분야 10개 부문상 등 총 70명에게 시상한다. 1999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23년까지 매년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뮤지컬상 - 한국뮤지컬대상
    한국뮤지컬대상은 1995년부터 시작되어 우수 뮤지컬 작품과 예술가를 발굴하고 한국 뮤지컬 발전에 기여해 온 대한민국 뮤지컬 시상식이다.
  • 대한민국의 뮤지컬상 - 더 뮤지컬 어워즈
    더 뮤지컬 어워즈는 2007년부터 개최되어 뮤지컬 분야의 뛰어난 작품, 배우, 스태프에게 상을 수여하며 한국 뮤지컬계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뮤지컬 시상식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상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상 - KBS 연기대상
    KBS 연기대상은 1987년 KBS 탤런트 연기대상으로 시작하여 매년 KBS에서 방송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연말 시상식으로,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신인상, 작가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지며 수상 결과를 둘러싼 논란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부산영화평론가협회는 2000년 부산국제영화제의 부대행사로 시작되어 우수한 한국 영화와 영화인에게 상을 수여하는 영화상으로, 시상식에서 2015년부터는 포럼 형식으로 진행되며 대상, 각본상, 기술상, 연기자상, 신인감독상, 신인연기자상, 심사위원특별상, 이필우기념상 등의 부문으로 시상한다.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상식 정보
주최한국연예정보신문
나라대한민국
첫 시상1992년 11월
첫 종방2019년 12월

2. 심사 및 시상

한 해 동안 활동한 문화·연예·예술인을 대상으로 누리꾼들의 투표와 문화·연예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후보자를 선정한다. 이후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집행위원회가 추천한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하여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영화, 드라마 등 예술 분야 5개의 대상, 20개 부문상 및 각 분야 10개 부문상 등 총 70명에게 시상이 이루어진다.[1]

3. 역대 수상자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은 1992년부터 시작된 시상식으로, 매년 영화, 드라마, 가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문화예술인들에게 상을 수여한다.

역대 주요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3. 1. 1990년대

1990년대에는 다음과 같은 수상자들이 있었다.


3. 1. 1. 1999년 제7회 수상자

3. 2. 2000년대

2000년대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3. 2. 1. 2000년 제8회 수상자

3. 2. 2. 2001년 제9회 수상자

신화, S.E.S.

3. 2. 3. 2002년 제10회 수상자

3. 2. 4. 2003년 제11회 수상자

3. 2. 5. 2004년 제12회 수상자

3. 2. 6. 2005년 제13회 수상자

3. 2. 7. 2006년 제14회 수상자

부문수상자
가수나연(TWICE)
지민
은하
아이돌링!!!
씨야


3. 2. 8. 2007년 제15회 수상자

3. 2. 9. 2008년 제16회 수상자

분야수상자
가요 부문김건모
영화 부문박해일


3. 2. 10. 2009년 제17회 수상자

3. 3. 2010년대

2010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연예인들이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을 수상했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는 매년 시상식이 진행되었으며, 엠블랙, 걸스데이, 소녀시대, 문채원, 소지섭, 김윤석, 송중기, 에이핑크, 김준현, 이종석, 크레용팝, 엄정화 등이 주요 수상자였다.[1]

2014년에는 JYJ가 한류대상을, EXO가 K팝대상을 수상했으며, 이국주가 개그대상을, 설경구가 영화배우대상을 받았다. 2015년에는 포미닛, 에이핑크, 허각 등이 K팝 가수상, 안재욱소냐가 뮤지컬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016년에는 진세연이 여자최우수연기상, 권수현이 영화 남자신인상을 수상했다. 2017년에는 박수홍, 서장훈, 김지민 등이 예능 부문, 이경영, 이정현 등이 영화 부문, 이필모, 이소연 등이 드라마 부문에서 수상했다. 윤종신, 볼빨간 사춘기, 구구단 등은 K팝 가수상, 더 이스트라이트, 버스터즈 등은 K팝 신인상을 받았다.

2018년에는 위키미키, 펜타곤, 라붐 등이 K팝 가수상, 이유리가 드라마 대상을 수상했다. 김준호는 예능 대상을, 이범수문소리는 영화 최우수연기상을 받았다.

2019년에는 이순재가 문화연예대상을, 김해숙이 드라마 대상을 수상했다. 봉오동 전투는 영화 대상을, 벌새는 영화 작품상을 받았다. 박성웅, 김향기는 영화 최우수연기상을, 연애의 맛은 예능 대상을 수상했다.

3. 3. 1. 2010년 제18회 수상자

3. 3. 2. 2011년 제19회 수상자

3. 3. 3. 2012년 제20회 수상자

3. 3. 4. 2013년 제21회 수상자

이종석, 크레용팝, 엄정화[1]

3. 3. 5. 2014년 제22회 수상자

분야수상자
한류대상JYJ
K팝대상EXO
개그대상이국주
영화배우대상설경구
가수대상조항조
성인가수대상금잔디
K팝10대가수상휘성, 에일리, 손승연, 써니힐, 유키스, 소년공화국, 빅스, 장미여관, 산이, 빅스타
최우수연기상공유, 문정희, 정만식, 박보영
MC대상전현무
CF스타상김보성


3. 3. 6. 2015년 제23회 수상자

분야수상자
K팝 가수상포미닛, 에일리, 에이핑크, 허각, 제시, 빅플로, 러블리즈
뮤지컬 최우수상안재욱, 소냐
최우수 연기상김재원, 김현주, 양동근, 공효진
우수 연기상류승수, 최윤영, 신성록, 정은지
드라마 조연상손종학
MC 우수상김태호
최우수 개그상조윤호, 김영희
우수 개그상이상호, 이상민, 정주리


3. 3. 7. 2016년 제24회 수상자

분야수상자
여자최우수연기상진세연
드라마특별상이한위
연기신인상유풀잎
영화 남우신인상권수현
영화 남우조연상지대한
뮤지컬여자최우수상홍지민
예능스타상김지선, 강예빈
개그여자우수상오나미
K팝가수상헤이즈
K팝신인상우리아
해외스타상Totyanna Rae
모델우수상최연수


3. 3. 8. 2017년 제25회 수상자

부문수상자
예능 부문박수홍, 서장훈, 김지민, 김신영, 정성호, 김소희, 장도윤
영화 부문이경영, 이정현, 김정균, 오나라, 신성훈, 홍정호, 고원
드라마 부문이필모, 이소연, 강경준, 장신영, 최성재, 한보름, 김병준
K팝 가수상윤종신, 볼빨간 사춘기, 구구단수란에이프릴모모랜드한동근슬리피B.A.P, NCT127, 아스트로, JBJ보이프렌드, 리브하이
K팝 신인상더 이스트라이트, 버스터즈, BLANC7, P.O.P, D.I.P
해외가수상우노 후미코


3. 3. 9. 2018년 제26회 수상자

분야수상자
K팝 가수상위키미키, 펜타곤, 라붐, 에이프릴, 골든차일드, , 장덕철, 버스터즈
K팝 신인상립버블, 헤이걸스, 티나
K팝 해외인기상D.I.P
드라마 대상이유리
드라마 최우수연기상조현재, 임수향
드라마 우수연기상한상진, 이정은
드라마 조연상김남희
드라마 신인상이준영, 문수빈, 양혜지
예능 대상김준호
예능 최우수상박성광, 홍윤화
예능 우수상권혁수, 함소원
예능 신인상대도서관, 윰댕
영화 최우수연기상이범수, 문소리
영화 우수연기상허성태, 하주희
영화 최우수조연상기주봉
영화 조연상오대환, 오윤홍
영화 신인상유태오, 한소영
유튜브 대상밍꼬발랄, 흔한남매, 보겸
컨템포러리 아티스트상Kimberly Tak


3. 3. 10. 2019년 제27회 수상자

분야수상자
문화연예대상이순재
드라마 대상김해숙
드라마 최우수연기상이상엽, 윤소이
드라마 우수연기상심형탁, 김혜윤
드라마 신인상장해송, 이송이
영화 대상봉오동 전투
영화 작품상벌새
영화 감독상원신연
영화 최우수연기상박성웅, 김향기
영화 우수연기상오대환, 황석정
영화 조연상장지건
영화 신인상김성철
예능 대상연애의 맛
예능 최우수상문세윤, 홍현희
예능 신인상김용명, 쯔양
K팝 가수상김나영, 라붐, 펀치, 공원소녀, 레이디스코드, IZ, 더보이즈, 먼데이키즈, 온앤오프
아이들 신인상손지오, 이태건, 최수현
K팝 신인상디크런치, W24, 드림아이원
트로트 신인상노지훈


3. 4. 2020년대

2020년대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인물들에게 수여되었다.

2020년에는 혜은이조항조가 성인가요 부문 대상을, 폴킴, 노을, 아스트로 등은 K-POP상을 수상했다. 안성기가 총 대상을, 이지아가 드라마 대상을 받았다.

2021년에는 조항조가 다시 성인가요 대상을 받았고, 박상철영탁도 이 부문 대상을 받았다. K-POP 부문에서는 EPEX, 크러쉬, CIX 등이 K-POP 가수상으로 선정되었다.

2023년에는 설운도가 성인가요 대상을, 박상철이 성인가요 최우수상을 받았다. 김준수, 로이킴, 이채연 등은 K-POP 가수상에 이름을 올렸다. 드라마 부문에서는 류수영라미란이 남녀 최우수연기상을, 영화 부문에서는 '다음 소희'가 작품상을, 정주리 감독이 감독상을 받았다.

이 외에도 의정, 지방자치단체, 기업,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부문에서 공로를 인정받은 인물들이 수상했다. 2023년에는 공익 공로상 부문이 신설되어 김동규, 김수한 변호사가 수상했다.[4]

3. 4. 1. 2020년 제28회 수상자


  • 총 대상 : 송해
  • 드라마 최우수 연기상 : 윤상현, 오윤아
  • 드라마 우수 연기상 : 정석용, 이학주, 박소진(걸스데이)
  • 영화 최우수 연기상 : 이희준
  • 영화 신인상 : 이봉근, 최정운
  • 영화 작품상 : 윤단비 감독 <남매의 여름밤>
  • 영화 감독상 : 홍원찬 감독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 예능 대상 : 최수종, 하희라
  • 예능 남자 스타상 : 황광희
  • 예능 여자 스타상 : 이미주 (러블리즈)
  • 성인가요 대상 : 혜은이
  • K-POP상 : 폴킴, 노을, 아스트로, 송하예, 에이프릴, 위키미키, 로켓펀치
  • 문화연예대상: 홍은희, 전혜빈
  • 유튜브 대상: 호팝, THE SOY, 윰댕
  • K-pop(K팝 대상): 트와이스, 여자친구, 블랙핑크


성인가요 10대 가수상
이동준박구윤서지오우연이금잔디안소정



성인가요 스타상
김수찬나태주이일민


3. 4. 2. 2021년 제29회 수상자

분야수상자
총 대상안성기
드라마 대상이지아
드라마 최우수 연기상안보현, 오나라
드라마 우수 연기상허성태, 진지희
영화 최우수 연기상변요한, 염혜란
영화 신인 감독상이지원 (아이들은 즐겁다)
예능 스타상김해준, 이은지
예능 신인상김민기
성인가요 대상조항조
K-POP 스타상적재, STAYC(스테이씨), 박재정, 라붐, 케이시, 싸이퍼, 위클리
K-POP 신인상EPEX


3. 4. 3. 2022년 제30회 수상자

2022년 11월에 열린 제30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3]

부문수상자작품
드라마 부문남자 최우수 연기상박호산MBC '멧돼지 사냥'
여자 최우수 연기상엄지원tvN '작은 아씨들'
남자 우수 연기상최영준tvN '우리들의 블루스'
여자 우수 연기상보나tvN '스물다섯 스물하나'
영화 부문감독상최국희'인생은 아름다워'
남자 최우수 연기상진구'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여자 최우수 연기상이주영'브로커'
남자 우수 연기상이준혁'한산-용의 출현'
여자 우수 연기상심달기'말아'
단편 영화 감독상신성훈, 박영혜'짜장면 고맙습니다'
단편 영화 조연상현영'짜장면 고맙습니다'
연극 부문최우수상이태훈'졸업'
우수상류진현'페미닌아트'
신인상박소정'진짜나쁜소녀'
성인가요 부문대상박상철'바보 같지만'
대상영탁'찐이야'
작곡상이시하, 노왕금
10대 가수상서지오'앉지요'
10대 가수상이동준'미안해요'
10대 가수상안소정'슬픈눈물'
10대 가수상박구윤'별과 당신'
우수상나태주'인생열차'
우수상유화'째깍째깍'
신인상하이량'꺼져'
신인상한봄'사랑하기좋은날'
K-POP 부문K-POP 가수상EPEX'고백 Bomb'
K-POP 가수상크러쉬'Rush Hour(Feat. j-hope of BTS)'
K-POP 가수상CIX'캔디'
K-POP 가수상테이'Monologue'
K-POP 가수상로켓펀치'Fiore'
K-POP 가수상경서'나의 X에게'
K-POP 가수상위클리'Airplane Mode(Prod. 이대휘)'
K-POP 가수상WSG워너비 소연'눈을 감으면'
EMN K-POP상아더원'Omw (On My Way)'
예능 부문정준하MBC '놀면 뭐하니'
여자 스타상허니제이MBC '나혼자 산다'


3. 4. 4. 2023년 제31회 수상자

2023년 제31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수상자[4]
분야수상자
의정 대상
지방자치단체 부문
기업 부문
문화 예술 부문
성인가요 부문
K-POP 부문
드라마 부문
영화 부문
연극 및 뮤지컬 부문


참조

[1] 웹인용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 시상식 정보 > 개요 http://awards.emn.kr[...] 2013-04-10
[2] 웹인용 신문사소개 http://www.enthot.co[...] 2013-03-30
[3] 웹인용 제3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개최...한파도 뚫은 열기 http://www.nbnnews.c[...] 2022-12-01
[4] 웹인용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대회장 방재홍 “창의·독창성 가득한 K문화 세계인이 주목” http://www.enewstoda[...] 2023-12-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