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올림픽 참가를 시작으로 국제 대회에 데뷔했다. 아시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본선에 11회 진출했으며, 1986년부터 2022년까지 10회 연속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는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2024년 현재, 홍명보 감독이 이끌고 있으며, 유니폼은 붉은색을 기본으로 하며 '붉은 악마'라는 팬클럽을 보유하고 있다. 최다 출전 선수는 차범근, 최다 득점 선수 역시 차범근이다. 주요 라이벌로는 일본, 이란, 오스트레일리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일본인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아시안 게임 우승 및 올림픽 4강 진출, AFC U-23 아시안컵 우승 등 국제 대회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 - 중화 타이베이 축구 국가대표팀
    중화 타이베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화민국을 대표하며, 1960년 AFC 아시안컵 3위를 기록했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AFC를 탈퇴했다가 재가입하여 현재 AFC와 EAFF에 소속되어 활동한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은 미래의 한국 축구를 이끌어갈 청소년 대표팀으로, FIFA U-17 월드컵 8강 진출 3회, AFC U-17 아시안컵 우승 2회, 난징 청소년 올림픽 은메달 획득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B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B팀은 A팀의 일정과 겹치거나 2원화 상비군 체제 운영을 위해, 또는 국제 대회 참가를 위해 수시로 구성되었으며, AFC 아시안컵 3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참가 등의 활동을 하다가 1993년 이후 연령별 대표팀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팀으로, 2004년 IIHF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하여 8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명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별칭태극전사
아시아의 호랑이
레즈 ()
협회대한축구협회(KFA)
대륙아시아 축구 연맹(AFC)
지역 연맹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FIFA 코드KOR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대한민국 국기
국기
지도 정보
선수 정보
감독홍명보
주장손흥민
최다 출전 선수홍명보 (136회)
차범근 (136회)
최다 득점 선수차범근 (58골)
팀 통계
FIFA 랭킹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men 23위 (2024년 7월 18일 기준)
최고 FIFA 랭킹17위
최고 FIFA 랭킹 날짜1998년 12월
최저 FIFA 랭킹69위
최저 FIFA 랭킹 날짜2014년 11월-2015년 1월
Elo 랭킹https://www.eloratings.net/ 34위 (2024년 8월 26일 기준)
최고 Elo 랭킹15위
최고 Elo 랭킹 날짜1980년 9월, 2020년 6월
최저 Elo 랭킹80위
최저 Elo 랭킹 날짜1967년 8월
경기 정보
첫 국제 경기5 - 3 ((영국 런던; 1948년 8월 2일, 1948년 하계 올림픽))
최다 점수차 승리16 - 0 ((대한민국 인천; 2003년 9월 29일,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최다 점수차 패배0 - 12 ((영국 런던; 1948년 8월 5일, 1948년 하계 올림픽))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11회
첫 월드컵 출전1954년
월드컵 최고 성적4위 (2002년)
아시안컵
아시안컵 출전 횟수15회
첫 아시안컵 출전1956년
아시안컵 최고 성적우승 (1956년, 1960년)
EAFF E-1 챔피언십
EAFF 챔피언십 출전 횟수9회
첫 EAFF 챔피언십 출전2003년
EAFF 챔피언십 최고 성적우승 (2003년, 2008년, 2015년, 2017년, 2019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1회
첫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2001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조별리그 (2001년)
메달 정보
금메달1956 홍콩
1960 대한민국
은메달1972 태국
1980 쿠웨이트
1988 카타르
2015 오스트레일리아
동메달1964 이스라엘
2000 레바논
2007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11 카타르
금메달1970 방콕
1978 방콕
1986 서울
은메달1954 마닐라
1958 도쿄
1962 자카르타
동메달1990 베이징
금메달2003 일본
2008 중국
2015 중국
2017 일본
2019 대한민국
은메달2010 일본
2022 일본
동메달2013 대한민국

2. 역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올림픽을 통해 국제 무대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1954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일본을 꺾고 사상 첫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4] 본선에서는 헝가리와 터키에 크게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32년 후, 1986 FIFA 월드컵 본선에 다시 진출한 대한민국은 아르헨티나이탈리아에 패했지만, 불가리아와 비기며 월드컵 사상 첫 승점을 획득했다.[5]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는 벨기에, 스페인, 우루과이에 모두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4] 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는 스페인, 볼리비아와 비겼으나, 독일에 2-3으로 아쉽게 패하며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15]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는 멕시코에 1-3 역전패, 네덜란드에 0-5 대패를 당하며 16강 진출이 좌절되었고,[16] 차범근 감독이 경질되었다.[16] 벨기에와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16]

2002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일본이 공동 개최했으며, 거스 히딩크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대표팀은 조별 리그에서 폴란드 (2-0 승), 미국 (1-1 무), 포르투갈 (1-0 승)을 상대로 2승 1무를 기록,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이탈리아안정환의 골든골로 꺾고, 8강에서는 스페인을 승부차기 끝에 꺾으며 아시아 최초로 월드컵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비록 독일과의 준결승과 터키와의 3·4위전에서 패배했지만, 최종 4위라는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2006 FIFA 월드컵에서는 토고를 2-1로 꺾고 원정 월드컵 첫 승을 거두었으며, 프랑스와 1-1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스위스에 0-2로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 FIFA 월드컵에서는 허정무 감독의 지휘 아래 그리스를 2-0으로 이기고, 아르헨티나에 1-4로 패했지만, 나이지리아와 2-2로 비기며 원정 첫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16강에서는 루이스 수아레스에게 두 골을 허용하며 우루과이에 1-2로 패했다.

2014 FIFA 월드컵에서는 러시아와 1-1 무승부, 알제리에 2-4 패배, 벨기에에 0-1 패배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8 FIFA 월드컵에서는 스웨덴에 0-1, 멕시코에 1-2로 패했으나, 김영권손흥민의 골로 독일을 2-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지만, 조 3위로 조별 리그를 넘지 못했다.

2022 FIFA 월드컵에서는 우루과이와 0-0 무승부, 가나에 2-3 패배를 기록했으나,[50][51][52] 포르투갈과의 최종전에서 김영권의 동점골과 황희찬의 역전골로 2-1 승리를 거두며 12년 만에 16강에 진출했다.[53][54] 16강전에서는 브라질에 1-4로 패했다.

현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이끌고 있으며, 주요 선수로는 손흥민, 김민재, 이강인 등이 있다.

2. 1. 개요

팀 컬러는 빨간색이며, 애칭은 협회의 상징인 호랑이를 본떠 "'''아시아의 호랑이'''"(아시아의 호랑이|아시아의 호랑이한국어) 또는 한국 국기의 다른 이름인 태극기에서 유래한 "'''태극전사'''"(태극전사|태극전사한국어)이다. 또한 대표 서포터는 "'''Red Devils'''"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공식적으로 이 집단은 붉은악마로 명명되었다.

FIFA 월드컵 출전 11회는 아시아 지역에서 최다이다. 한국 대표팀 유니폼은 1996년부터 대형 스포츠 메이커 나이키가 제작하고 있다.

2. 2. 대한민국의 축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아시안컵에서 1956년(제1회 대회)과 1960년(제2회 대회)에 두 차례 우승했다. 1972년, 1980년, 1988년, 2015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한국 언론에서는 "아시아컵 징크스"라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아시안컵 우승에 대한 열망이 크다.[56]

2007년 아시안컵에서는 준결승에서 이라크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배했지만, 3·4위전에서 일본을 승부차기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2011년 아시안컵에서도 준결승에서 일본에게 승부차기로 패배했지만, 3·4위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을 꺾고 2회 연속 3위를 기록했으며, 이 대회에서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

2015년 아시안컵에서는 1988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9년 아시안컵에서는 8강에서 카타르에게 패배했다. 카타르는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 아시안컵에서는 준결승에서 요르단에게 0-2로 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57]

2. 3. 초기 역사 (1948년~1986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하여 국제 무대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후 1954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일본을 상대로 1승 1무를 기록하며 사상 첫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4] 그러나 스위스까지 이동하는 데만 1주일이 걸리는 등 열악한 환경 탓에, 당시 최강팀이었던 헝가리에 0-9, 터키에 0-7로 연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32년 만인 1986 FIFA 월드컵 본선에 다시 진출한 대한민국은 아르헨티나, 이탈리아에 패했지만, 불가리아와 비기며 월드컵 사상 첫 승점을 획득했다.[5]

2. 4. 1990년대 월드컵 도전과 좌절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은 벨기에, 스페인, 우루과이에게 연패하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14] 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는 스페인과 볼리비아를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 2무 1패로 선전했지만, 독일과의 경기에서 2-3으로 석패하며 다시 한번 조별리그의 벽을 넘지 못했다.[15]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는 첫 경기에서 멕시코에게 1-3 역전패를 당했고,[16] 두 번째 경기에서는 네덜란드에게 0-5로 대패하며 16강 진출이 좌절되었다.[16] 이후 차범근 감독이 경질되고,[16] 마지막 벨기에전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대회를 마쳤다.[16]

2. 5.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 신화

2002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일본이 공동 개최한 대회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거스 히딩크 감독은 네덜란드 출신으로,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을 이끌었다. 조별 리그 첫 경기 폴란드전에서 2-0으로 승리하며 월드컵 첫 승을 기록했다. 두 번째 경기 미국전에서는 전반전에 선제골을 허용했지만, 후반 78분에 안정환이 동점 골을 넣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 포르투갈전에서는 후반 70분에 박지성이 골을 넣어 1-0으로 승리,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이탈리아와 맞붙어 연장전 끝에 안정환의 골든골로 승리했다. 8강전에서는 스페인과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하여 아시아 최초로 월드컵 4강에 진출하는 역사를 썼다. 준결승에서는 독일에 패하고, 3·4위전에서 터키에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이탈리아전과 스페인전에서는 심판 판정 논란이 있었고, 특히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는 한국에 대한 음모론까지 제기되었다. 당시 주심은 나중에 TV 프로그램에서 판정에 문제가 있었음을 인정하기도 했다. FIFA는 이 사건을 조사하여 부정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가장 팬들을 즐겁게 한 팀에게 주어지는 엔터테이닝팀상을 수상했고, 홍명보유상철은 올스타팀에 선정되었다. 홍명보는 대회 최우수 선수를 결정하는 기자 투표에서 올리버 칸, 호나우두에 이어 3위를 차지하여 동메달을 수상했다.

2. 6. 2006년 이후 월드컵 (2006년~2022년)

2002 FIFA 월드컵에서 거스 히딩크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대표팀은 폴란드전 2-0 승리(월드컵 첫 승리), 미국전 1-1 무승부, 포르투갈전 1-0 승리로 조별 리그를 2승 1무, 1위로 통과했다. 16강전에서 이탈리아를 상대로 연장전 끝에 안정환의 골든골로 승리했고, 8강전에서는 스페인과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아시아 최초로 4강에 진출했다. 비록 준결승에서 독일에 패하고, 3·4위전에서도 터키에 패했지만, 역대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엔터테이닝팀상을 수상했고, 홍명보유상철은 올스타팀에 선정되었다. 홍명보는 대회 최우수 선수 투표에서 3위를 차지해 동메달을 수상했다.[46]

2006 FIFA 월드컵에서는 토고전에서 2-1 역전승을 거두며 원정 월드컵 첫 승을 기록했다. 프랑스전에서는 1-1 무승부를 거두었으나, 스위스에 0-2로 패하며 1승 1무 1패, 조 3위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 FIFA 월드컵에서는 허정무 감독의 지휘 아래 그리스전 2-0 완승을 거두었다. 아르헨티나에 1-4로 패했지만, 나이지리아와 2-2 무승부를 기록하며 1승 1무 1패, B조 2위로 원정 첫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16강전에서는 우루과이에 루이스 수아레스에게 두 골을 허용하며 1-2로 패했다.

2014 FIFA 월드컵에서는 러시아와 1-1 무승부를 기록하고, 알제리에 2-4로 패했다. 벨기에에도 0-1로 패하며 1무 2패의 성적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8 FIFA 월드컵에서는 스웨덴에 0-1, 멕시코에 1-2로 연패했다.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김영권손흥민의 골로 독일을 2-0으로 꺾었으나, F조 3위로 조별 리그 탈락을 피하지는 못했다.

2022 FIFA 월드컵에서는 우루과이와 0-0 무승부, 가나에 2-3 패배를 기록했다.[50][51][52] 포르투갈과의 최종전에서는 김영권의 동점골과 황희찬의 역전골로 2-1 승리를 거두며, H조 2위로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이후 12년만에 16강에 진출했다.[53][54] 16강전에서는 브라질에 1-4로 패했다. 대회 종료 후 파울루 벤투 감독의 사퇴가 발표되었다.[55]

2. 7. 현재

현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이끌고 있으며, 주요 선수로는 손흥민, 김민재, 이강인 등이 있다.

3. 유니폼과 엠블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통적인 색상은 붉은색으로, 팬들은 "붉은악마"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원정 유니폼 색상은 흰색과 파란색 사이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1994년 홈 유니폼은 흰색으로 바뀌었으나, 1995년 10월에 다시 붉은색이 홈 유니폼 색상으로 돌아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63]

대한민국은 2001년까지 국기를 유니폼 배지로 사용했다.[6] 2001년 5월, 대한축구협회는 호랑이 모양의 새로운 엠블럼을 발표했고, 2002년 유니폼부터 부착했다.[63] 2020년 2월 5일, KFA는 새롭고 더 단순한 디자인의 호랑이를 직사각형 프레임 안에 유지한 로고를 발표했다.[7] 새 로고에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색상인 빨강, 파랑, 흰색이 유지되었다.[7]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태극전사'(태극전사|한국어)와 '아시아의 호랑이'(아시아의 호랑이|한국어)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다.[4][5]

용품 공급업체기간비고
아디다스, 아식스, 코오롱스포츠, 프로스펙스, 위켄드1977년–1986년대한민국은 아디다스와 최초의 공식 용품 후원 계약을 체결했지만, 당시에는 독점적인 용품 후원사가 없었다.[8][9]
삼성물산(라피도)(위켄드)1987년–1995년1987년 위켄드(1988년 1월 라피도로 개명)와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9][10]
나이키1996년–현재1995년 말 계약을 체결[11]했으며, 1996년 1월 1일부터 후원하고 있다.



키트 공급업체기간계약 날짜계약 기간총액연간참조
나이키1996년–현재1996년–1997년300만달러150만달러
1997년 12월 16일1998년–2002년3800만달러760만달러[12]
2003년 1월 9일2003년–2007년5000만달러1000만달러[13]
2007년 10월 23일2008년–2011년4900만달러1230만달러[14]
2012년 1월 13일2012년–2019년1.2억달러1500만달러[15]
2020년–2031년2.04억달러1700만달러[16]



1996년부터 나이키(Nike)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제작하고 있다.

4. 경기장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4월 21일 동대문운동장에서 첫 홈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1956년 AFC 아시안컵 예선으로, 필리핀과의 경기였다.[17] 현재는 여러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있으며, 이 경기장들은 K리그 클럽들도 사용한다.

5.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최근 경기 결과 및 예정된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26][27][28][29]

개최국 / 년도결과경기 수득점실점
2003우승321041
20054위302112
2008우승312054
2010준우승320184
20133위302112
2015우승312031
2017우승321073
2019우승330040
2022준우승320163
합계출전 9회
우승 5회
27131043920


5. 1. 2024년 경기 결과



2024년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치른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시간 (UTC+9)대회상대팀결과득점 선수경기장관중 수비고
1월 6일21:00친선 경기 이라크1 – 0 (승)이재성뉴욕 대학 경기장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100명[59]
1월 15일20:302023년 AFC 아시안컵 E조 바레인3 – 1 (승)황인범, 이강인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카타르 알라이얀)8,388명[60]
1월 20일20:302023년 AFC 아시안컵 E조 요르단2 – 2 (무)손흥민 , 알아라브 (자책골)알투마마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36,627명[61]
1월 25일20:302023년 AFC 아시안컵 E조 말레이시아3 – 3 (무)정우영 , 이강인 , 손흥민알자누브 스타디움 (카타르 알와크라)30,117명[62]
1월 30일01:002023년 AFC 아시안컵 16강전 사우디아라비아1 – 1 (승)
(PSO 4-2)
조규성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카타르 알라이얀)42,389명[63]
2월 2일00:302023년 AFC 아시안컵 8강전 오스트레일리아2 – 1 (승)황희찬 , 손흥민알자누브 스타디움 (카타르 알와크라)39,632명
2월 6일00:002023년 AFC 아시안컵 4강전 요르단0 – 2 (패)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 (카타르 알라이얀)42,850명
3월 21일20:00202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 태국1 – 1 (무)손흥민서울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서울특별시)64,912명
3월 26일21:30202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 태국3 – 0 (승)이재성 , 손흥민 , 박진섭라차망칼라 스타디움 (태국 방콕)45,458명
6월 6일21:00202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 싱가포르7 – 0 (승)이강인 , 주민규 , 손흥민 , 배준호 , 황희찬싱가포르 국립경기장 (싱가포르 칼랑)49,097명
6월 11일20:00202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 중국1 – 0 (승)이강인서울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서울)64,935명
9월 5일20:00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팔레스타인0 – 0 (무)서울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서울)59,579명
9월 10일22:00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오만3 – 1 (승)황희찬 , 손흥민 , 주민규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오만 무스카트)27,144명
10월 10일21:00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요르단2 – 0 (승)이재성 , 오현규암만 국제경기장 (요르단 암만)14,655명
10월 15일20:00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이라크3 – 2 (승)오세훈 , 오현규 , 이재성용인미르스타디움 (대한민국 용인)35,198명
11월 14일21:00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쿠웨이트3 – 1 (승)오세훈 , 손흥민 , 배준호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22,791명
11월 19일21:00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팔레스타인1 – 1 (무)손흥민암만 국제경기장 (요르단 암만)2,405명[64]


  • 대한민국이 승리한 경기는 초록색(●), 무승부 경기는 노란색(●), 패배한 경기는 빨간색(●)으로 표시되었다.
  • 2024년 11월 19일까지 치러진 경기를 포함한다.

5. 2. 2025년 경기 일정 (예정)

2025년 경기 일정 (예정)
날짜시간 (UTC)라운드상대팀장소결과 (예정)
3월 20일미정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عمان|오만ar미정미정
3월 25일미정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الأردن|요르단ar미정미정
6월 5일미정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العراق|이라크ar미정미정
6월 10일미정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الكويت|쿠웨이트ar미정미정


6. 코칭스태프

김동진
김진규골키퍼 코치 양영민피트니스 코치 이재홍
정현규



7. 선수단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태극전사'''(태극전사한국어) 또는 "'''아시아의 호랑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붉은색 유니폼을 착용한다. 대표팀의 서포터는 붉은악마로 알려져 있다.[65] FIFA 월드컵에 아시아 최다인 11회 출전했으며, 1996년부터 나이키가 대표팀 유니폼을 제작하고 있다.

7.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 4일 대한축구협회에서 발표한 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선수 명단이다. 11월 14일 쿠웨이트, 11월 19일 팔레스타인과의 경기에 출전했다.[65]

출전 횟수와 득점 수는 2024년 11월 19일 팔레스타인과의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장 수클럽
GK조현우1991년 9월 25일390울산 HD
GK이창근1993년 8월 30일10대전 하나 시티즌
GK김경민1991년 11월 1일00광주 FC
DF김민재1996년 11월 15일694바이에른 뮌헨
DF권경원1992년 1월 31일322코르 파칸
DF김문환1995년 8월 1일280대전 하나 시티즌
DF정승현1994년 4월 3일261알와슬
DF설영우1998년 12월 5일220츠르베나 즈베즈다
DF조유민1996년 11월 17일110샤르자
DF이명재1993년 11월 4일70울산 HD
DF이기혁2000년 7월 7일10강원 FC
DF이태석2002년 7월 28일10포항 스틸러스
MF손흥민 (주장)1992년 7월 8일13151토트넘 홋스퍼
MF이재성1992년 8월 10일9413마인츠 05
MF황인범1996년 9월 20일666페예노르트
MF이강인2001년 2월 19일3510파리 생제르맹
MF정우영1999년 9월 20일224우니온 베를린
MF박용우1993년 9월 10일200알아인
MF백승호1997년 3월 17일203버밍엄 시티
MF홍현석1999년 6월 16일140마인츠 05
MF배준호2003년 8월 21일62스토크 시티
MF이현주2003년 2월 7일10하노버 96
MF김봉수1999년 12월 26일00김천 상무
FW오현규2001년 4월 12일152헹크
FW주민규1990년 4월 13일82울산 HD
FW오세훈1999년 1월 15일62마치다 젤비아


7. 2. 최근 차출된 선수 명단

2024년 11월 4일 대한축구협회에서 발표된 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선수 명단과 최근 12개월 이내에 국가대표팀에 소집된 적이 있는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65]

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선수 명단[65]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장 수클럽클럽 국가
GK조현우1991년 9월 25일390울산 HD
GK이창근1993년 8월 30일10대전 하나 시티즌
GK김경민1991년 11월 1일00광주 FC
DF김민재1996년 11월 15일694바이에른 뮌헨
DF권경원1992년 1월 31일322코르 파칸
DF김문환1995년 8월 1일280대전 하나 시티즌
DF정승현1994년 4월 3일261알와슬
DF설영우1998년 12월 5일220츠르베나 즈베즈다
DF조유민1996년 11월 17일110샤르자
DF이명재1993년 11월 4일70울산 HD
DF이기혁2000년 7월 7일10강원 FC
DF이태석2002년 7월 28일10포항 스틸러스
MF손흥민 (주장)1992년 7월 8일13151토트넘 홋스퍼
MF이재성1992년 8월 10일9413마인츠 05
MF황인범1996년 9월 20일666페예노르트
MF이강인2001년 2월 19일3510파리 생제르맹
MF정우영1999년 9월 20일224우니온 베를린
MF박용우1993년 9월 10일200알아인
MF백승호1997년 3월 17일203버밍엄 시티
MF홍현석1999년 6월 16일140마인츠 05
MF배준호2003년 8월 21일62스토크 시티
MF이현주2003년 2월 7일10하노버 96
MF김봉수1999년 12월 26일00김천 상무
FW오현규2001년 4월 12일152헹크
FW주민규1990년 4월 13일82울산 HD
FW오세훈1999년 1월 15일62마치다 젤비아



최근 12개월 이내에 국가대표팀에 소집된 선수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장 수클럽클럽 국가최근 소집
GK김승규1990년 9월 30일810알샤바브2024년 10월 15일
GK김준홍2003년 6월 3일00전북 현대 모터스2024년 10월 15일
GK송범근1997년 10월 15일10전북 현대 모터스2024년 9월 10일
GK황인재1994년 4월 22일00포항 스틸러스2024년 6월 11일
DF황문기1996년 12월 8일20평창 유나이티드2024년 11월 14일 부상
DF김주성2000년 12월 12일20FC 서울2024년 10월 15일
DF박민규1995년 8월 10일00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2024년 10월 15일
DF이한범2002년 6월 17일00미트윌란2024년 10월 15일
DF김영권1990년 2월 27일1127울산 HD2024년 9월 10일
DF황재원2002년 8월 16일30대구 FC2024년 9월 10일
DF최우진2004년 7월 18일00인천 유나이티드2024년 9월 10일
DF김진수1992년 6월 13일742전북 현대 모터스2024년 6월 11일
DF박승욱1997년 5월 7일20김천 상무2024년 6월 11일
DF최준1999년 4월 17일00FC 서울2024년 6월 11일
DF하창래1994년 10월 16일00나고야 그램퍼스2024년 6월 11일
DF김태환1989년 7월 24일310전북 현대 모터스2023년 AFC 아시안컵
DF이기제1991년 7월 9일140수원 삼성 블루윙즈2023년 AFC 아시안컵
DF김지수2004년 12월 24일00브렌트퍼드2023년 AFC 아시안컵
MF문선민1992년 6월 9일172전북 현대 모터스2024년 10월 15일
MF이승우1998년 1월 6일120전북 현대 모터스2024년 10월 15일
MF이동경1997년 9월 20일91김천 상무2024년 10월 15일
MF권혁규2001년 3월 13일00하이버니언2024년 10월 15일
MF황희찬1996년 1월 26일6915울버햄프턴 원더러스2024년 10월 10일 부상
MF엄지성2002년 5월 9일31스완지 시티2024년 10월 10일 부상
MF정우영1989년 12월 14일763울산 HD2024년 9월 10일
MF정호연2000년 9월 28일10광주 FC2024년 9월 10일
MF양민혁2006년 4월 16일00강원 FC2024년 9월 10일
MF엄원상1999년 1월 6일80울산 HD2024년 6월 11일
MF송민규1999년 9월 12일141전북 현대 모터스2024년 3월 26일
MF박진섭1995년 10월 23일61전북 현대 모터스2024년 3월 26일
MF이순민1994년 5월 22일40대전 하나 시티즌2023년 AFC 아시안컵
MF양현준2002년 5월 25일30셀틱2023년 AFC 아시안컵
FW조규성1998년 1월 25일399미트윌란2024년 3월 26일



'''범례'''

7. 3. KFA 명예의 전당

다음은 대한축구협회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거나,[36] 여러 설문조사에서 역대 한국 최고의 11인으로 선정된 선수들이다.[37][38]

포지션선수활동 기간
골키퍼홍덕영1948–1954
골키퍼이세연1966–1973
골키퍼이운재1994–2010
수비수김정남1964–1973
수비수김호1966–1972
수비수홍명보1990–2002
수비수이영표1999–2011
미드필더김용식1948–1950
미드필더허정무1974–1986
미드필더이영무1975–1981
미드필더조광래1977–1986
미드필더박창선1979–1986
미드필더박지성2000–2011
공격수이회택1966–1977
공격수차범근1972–1986
공격수최순호1980–1991
공격수김주성1985–1996


7. 4. 국제 대회 선수 명단

; '''굵은 글씨'''는 현역 선수

8. 개인 기록

차범근은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58골)이다.


홍명보는 136경기 출전으로 대한민국 최다 출전 선수 공동 1위이다.


2024년 11월 20일 기준 RSSSF대한축구협회 기록실, 국제 축구 연맹 기록을 참조하여 작성되었다.[69][70][71]

현재 대표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들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국제 축구 연맹은 대한축구협회와 달리 국가대표팀 1군이 출전했던 올림픽 축구 예선전, 국제 축구 연맹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일부 친선 경기를 공식 A매치로 인정하지 않아 기관에 따라 선수들의 출전 및 득점 공식 기록이 차이가 있어 해당 기록들을 병행 기재했다.

국제 축구 연맹은 국제 A매치에 100경기 이상 출전하지 않은 선수들의 국가대표 출전 및 득점 기록을 일반적으로 공개하지 않아 해당 선수들의 출전 및 득점 기록은 RSSSF를 참조했다.

경기당 평균 득점 지표는 소수점 세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대한축구협회 기준 기록

#이름활동 기간경기득점
1차범근1972–198613658
홍명보1990–200213610
3이운재1994–20101330
4손흥민2010–현재13151
5이영표1999–20111275
6김호곤1971–19791245
유상철1994–200512418
8조영증1975–19861131
9김영권2010–현재1127
10기성용2008–201911010



; 국제 축구 연맹 기준 기록

#이름활동 기간경기득점
1홍명보1990–200213610
2이운재1994–20101320
3손흥민2010–현재13151
4차범근1972–198613056
5이영표1999–20111275
6유상철1994–200512418
7김호곤1971–19791174
8김영권2010–현재1127
9기성용2008–201911010
10김태영1992–20041043
이동국1998–201710433



; 최다 출장 선수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득점활동 기간
1차범근136581972-1986
홍명보136101990–2002
3이운재13301994–2010
4손흥민131512010–현재
5이영표12751999–2011
6김호곤12451971–1979
유상철124181994-2005
8조영증11311975–1986
9김영권11272010–현재
10기성용110102008–2019



; 최다 득점 선수

순위선수득점출전득점율활동 기간
1차범근581360.431972–1986
2손흥민511310.392010–현재
3황선홍501030.491988–2002
4박이천36890.401969–1974
5김재한33570.581972–1979
이동국331050.311998–2017
7최순호301030.291980–1991
8김도훈29720.401994–2003
허정무29840.351974–1986
10최용수27670.401995–2003
이태호27720.381980–1991
김진국27940.291972–1978


9. 국제대회 기록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FIFA 월드컵1954년 FIFA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이후, 2022년 FIFA 월드컵까지 총 11회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는 4강,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원정 첫 16강 진출을 달성했다.

대회결과경기득점실점
1954조별리그2002016
1986 ~ 1998조별리그120481127
20024강732286
2006조별리그311134
201016강411268
2014 ~ 2018조별리그611469
202216강411258
합계11회38710213978


올림픽1948년 런던 올림픽에 첫 출전하여 8강에 진출하였고, 1964년 도쿄 올림픽과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1992년 대회부터는 23세 이하 대표팀이 출전하고 있다.

대회결과경기득점실점
19488강2101515
1964조별 리그3003120
1988조별 리그302112
합계3회8125737


AFC 아시안컵AFC 아시안컵에서는 1956년196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이후 여러 차례 결승에 진출했음에도 우승하지 못하고 준우승에 머물렀다.[56]
아시안 게임아시안 게임에서는 1954년, 1958년, 1962년 대회에서 은메달, 1970년, 1978년, 1986년 대회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 대회에서는 동메달, 1994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02년부터는 23세 이하 대표팀이 참가한다.

년도라운드경기득점실점
1954 ~ 1962은메달149233923
1970 ~ 1986금메달2414553819
1990동메달6501181
19944위6303177
19988강6402126
합계12회613681712863


EAFF E-1 풋볼 챔피언십EAFF E-1 풋볼 챔피언십(구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3년, 2008년, 2015년, 2017년, 2019년 대회에서 우승하여 최다 우승국이다. 2005년 대회에서는 4위, 2010년과 2022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년도라운드경기득점실점
2003우승321041
20054위302112
2008우승312054
2010준우승320184
20133위302112
2015우승312031
2017우승321073
2019우승330040
2022준우승320163
합계9회27131043920


CONCACAF 골드컵CONCACAF 골드컵에는 초청팀 자격으로 2000년과 2002년 대회에 참가했다. 2000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2002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년도결과경기득점실점
2000조별 리그202022
20024위502337
합계2회704359


9. 1. FIFA 월드컵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일본을 1승 1무로 꺾고 사상 첫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스위스까지 이동하는 데만 1주일이 걸리는 등 열악한 조건 속에, 당시 최강팀 헝가리에 0-9, 터키에 0-7로 대패하며 탈락했다.[50]

32년 만에 1986년 FIFA 월드컵에 다시 출전, 아르헨티나, 이탈리아에 패했지만 불가리아와 비기며 첫 승점을 획득했다. 이후 1990 FIFA 월드컵 3전 전패, 1994 FIFA 월드컵 2무 1패, 1998 FIFA 월드컵 1무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는 거스 히딩크 감독의 지휘 아래 폴란드를 2-0으로 꺾고 월드컵 첫 승을 거두었다. 미국과 1-1 무승부, 포르투갈을 1-0으로 꺾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이탈리아, 8강에서 스페인을 꺾고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으나, 독일과 터키에 연이어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006 FIFA 월드컵에서는 토고를 2-1로 꺾고 원정 첫 승을 거뒀으나, 프랑스와 1-1 무승부, 스위스에 0-2로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 FIFA 월드컵에서는 그리스를 2-0으로 꺾고, 나이지리아와 2-2로 비기며 사상 첫 원정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16강에서 우루과이에 1-2로 패했다.

2014 FIFA 월드컵에서는 러시아와 1-1 무승부, 알제리에 2-4 패, 벨기에에 0-1 패배로 1무 2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8 FIFA 월드컵에서는 스웨덴에 0-1, 멕시코에 1-2로 패했으나, 마지막 경기에서 독일을 2-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2022 FIFA 월드컵에서는 우루과이와 0-0 무승부, 가나에 2-3 패배 후, 포르투갈을 2-1로 꺾고 극적으로 16강에 진출했다.[53][54] 그러나 16강에서 브라질에 1-4로 패했다.[55]

개최국 / 년도성적경기득점실점
1954조별리그 탈락2002016
1986조별리그 탈락301247
1990300316
1994302145
1998301229
20024강732286
2006조별리그 탈락311134
201016강411268
2014조별리그 탈락301236
2018310233
202216강411258
합계출전 11회38710213978


9. 2. 올림픽

하계 올림픽 축구는 1992년부터 23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토너먼트가 되었다.

하계 올림픽 기록rowspan="17" |예선 기록[40]
년도라운드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대표팀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
1900년 ~ 1908년대한제국 소속대한제국 소속
1912년 ~ 1936년일부 일본 소속일부 일본 소속
1948년8강2101515명단직행 진출
1952년불참불참
1956년예선 탈락210122
1960년4강20244
1964년조별 리그3003120명단421174
1968년예선 탈락5410175
1972년4강301162
1976년6위321105
1980년6위402166
1984년11위5331911
1988년조별 리그302112명단개최국 자격으로 출전
1992년 ~ 현재23세 이하 대표팀으로 출전23세 이하 대표팀으로 출전
합계8강1725773742247119139



개최국 / 년도성적경기득점실점
19488강2101515
1952불참
1956예선 탈락
1960
1964조별 리그 탈락3003120
1968예선 탈락
1972
1976
1980
1984
1988조별 리그 탈락302112
합계3/118125737


9. 3.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은 1956년 제1회 대회와 1960년 제2회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후 1972년, 1980년, 1988년, 2015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한국 언론에서는 "아시아컵 징크스"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아시안컵에 대한 부담감을 드러내기도 한다.[56]

AFC 아시안컵 2007 준결승에서는 이라크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고, 3·4위전에서 일본을 승부차기로 꺾고 3위를 기록했다.

AFC 아시안컵 2011 준결승에서는 일본에 승부차기로 패했으나, 3·4위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을 이기고 2회 연속 3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페어플레이상을 받았다.

AFC 아시안컵 2015에서는 1988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AFC 아시안컵 2019 8강에서는 카타르에 패했다. 카타르는 이 대회 우승국이다.

AFC 아시안컵 2023 준결승에서는 요르단에 0-2로 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57]

9. 4.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축구는 2002년부터 23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가 되었다.'''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라운드경기 수승리무승부 (승부차기 포함)패배득점실점대표팀
1951불참
1954은메달41211512대표팀
1958은메달5401156대표팀
1962은메달540195대표팀
border
1966
1라운드200204대표팀
대표팀
19742라운드5113410대표팀
대표팀
1982조별리그310243대표팀
1986금메달6420143대표팀
1990동메달6501181대표팀
19944위6303177대표팀
대표팀
2002 현재23세 이하 대표팀으로 참가
합계금메달 3회, 은메달 3회, 동메달 1회12863


9. 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가맹국 중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자동으로 결승리그에 진출한다. 대한민국은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2022년 대회까지 총 6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다이너스티컵 / EAFF E-1 챔피언십 기록
연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90년결승전우승43105110
1992년결승전준우승4130536
1995년결승전준우승4130656
1998년결승리그3위3201436
2003년결승리그우승3210417
2005년결승리그4위3021122
2008년결승리그우승3120545
2010년결승리그준우승3201846
2013년결승리그3위3021122
2015년결승리그우승3120315
2017년결승리그우승3210737
2019년결승리그우승3300409
2022년결승리그준우승3201636
2024년0000000
합계13회 진출(13/13)우승(6회)3920175593277



EAFF 챔피언십 기록
년도라운드득점실점
2003년우승21041
2005년4위02112
2008년우승12054
2010년준우승20184
2013년3위02112
2015년우승12031
2017년우승21073
2019년우승30040
2022년준우승20163
합계131043920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대한민국은 첫 경기에서 중국과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전반 9분 웨이 시하오(韋世豪)에게 선제골을 내줬지만, 김신욱이재성의 골로 역전했다. 그러나 후반 76분 위다바오(于大宝)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 두 번째 북한과의 경기에서는 64분 상대 자책골로 1-0 승리를 거뒀다. 최종전에서 일본을 만나 전반 3분 페널티킥으로 실점했지만, 김신욱의 2골, 정우영의 프리킥 골, 염기훈의 추가골로 4-1 대승을 거두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는 첫 경기에서 홍콩황인범, 나상호의 골로 2-0으로 꺾었다. 두 번째 중국과의 경기에서는 김민재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뒀다. 최종전에서 일본황인범의 결승골로 1-0으로 꺾고 3연패를 달성했으며, 대회 최초로 개최국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는 첫 경기에서 중국을 상대로 상대 자책골과 권창훈, 조규성의 골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이어진 홍콩과의 경기에서도 3-0 승리를 거두었으나, 최종전에서 일본에게 0-3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빨간색 枠은 자국 개최

9. 6. CONCACAF 골드컵

대한민국은 북중미 대회인 CONCACAF 골드컵에 특별 초청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1996년부터 2005년 사이의 일부 대회에 참가했으며, 2000년 대회에서는 조별리그 9위, 2002년 대회에서는 준결승 4위를 기록했다.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2000년조별리그9위2020222
2002년준결승4위5023372
합계2회 진출(초청)4위(1회)7043594



대회라운드경기 수득점실점명단
2000년 CONCACAF 골드컵조별 리그202022명단
2002년 CONCACAF 골드컵4위502337명단


10. 국가별 역대 전적

2024년 11월 19일 기준[41]
국가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률(%)
110082+6100
210144050
110010+1100
300328-60
2991193029+131
1712414012+2871
2200130+13100
100101-10
401326-40
312010+133
210133050
8107620-1413
110030+3100
201112-10
110010+1100
7601224+1886
5320103+760
521254+140
311121+133
38231325626+3061
2114165019+3167
8431149+550
104331312+140
7223711-429
10100000
5122514-920
201113-20
210132+150
186751821-333
10101100
10101100
330050+5100
301239-60
10102200
420275+250
73041014-443
431061+575
110090+9100
311143+133
110041+3100
330090+9100
2922526921+4876
2002010-100
220061+5100
1914234812+3674
3630428419+6583
331010133634+230
24101223016+1442
115421712+545
210144050
110020+2100
422073+450
8142231612476+4852
843196+350
211041+350
2513483321+1252
110010+1100
5500280+28100
220020+2100
161231285+2375
110040+4100
3300112+9100
47261388145+3655
211020+250
110031+2100
211032+150
144281829-1129
220050+5100
110060+6100
201135-20
2715754215+2756
7700530+53100
200207-70
7610101+986
532096+360
17791146+841
211043+150
100112-10
411256-125
6501135+883
2200130+13100
20201100
10102200
724187+129
301205-50
8800370+37100
210143+150
220031+2100
116231913+655
100112-10
301247-30
195952018+226
110041+3100
411234-125
311133033
[42]110020+2100
2823329719+7882
10100000
110030+3100
6024516-110
3300190+19100
110080+8100
5023318-150
210123-150
10631125+760
110041+3100
4731889637+5966
110021+1100
10101100
311141+333
7124413-914
5401164+1280
220030+3100
2113533814+2462
11533108+245
10127715-810
1611413414+2069
110031+2100
2517626621+4568
10100000
110060+6100
7034413-90
4202108+250
합계9885342432111782909+87354.05


11. 라이벌

대한민국의 가장 큰 라이벌은 일본이다. 이 라이벌리는 축구를 넘어 양국 간의 경쟁적인 관계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과거 일부 경기에서는 논란이 있었다.[18][19] 대한민국은 역대 전적에서 42승 23무 16패로 앞서 있다.[20]

이란과의 라이벌리도 형성되었다.[21] 두 나라는 1958년부터 공식적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2022년 3월까지 총 33경기를 치렀는데, 여기에는 월드컵 예선 11경기가 포함된다. 대한민국과 이란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대표팀 중 하나였다. 아시안컵 결승전에서 단 한 번 1972년에 맞붙었지만, 1996년부터 2011년까지 5번 연속으로 8강전에서 맞붙었으며, 각 팀이 2승 2패 1무를 기록했다. 이란은 역대 전적에서 13승 10무 10패로 앞서 있다.[20]

또 다른 주요 라이벌은 오스트레일리아이다. 29번의 맞대결에서 각 팀은 9승을 거두었고 11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20] 두 나라는 아시안컵에서도 4번 만났으며,[22] 2015년 결승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연장전 끝에 2-1로 승리하여 사상 첫 아시안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23]

대한민국은 중국을 상대로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중국은 2010년에 승리하기 전까지 32년 동안 공식 경기에서 대한민국을 이기지 못했다.[24] 또한 북한과도 강한 라이벌 관계를 갖고 있지만, 외교적, 안보적 이유로 경기는 빈번하지 않다.

12. 서포터스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공식 팬클럽인 레드 데빌스는 1995년에 창단되었다. 이들은 열정적인 응원으로 유명하며, 보통 12번째 선수로 불린다. 가장 흔한 응원가는 "대~한민국" (대~한민국|Dae~ Han-Min-Guk한국어)이며, 이어서 다섯 번의 박수가 이어진다.[25]

FIFA 팬 페스트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2002 월드컵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팀 컬러는 빨간색이며, 대표 서포터는 "Red Devils"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공식적으로 이 집단은 붉은악마(붉은악마|Bulgeun Angma한국어)로 명명되었다.

13. 은퇴식

2002년 11월부터 70경기 이상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를 치른 선수들에게 은퇴식을 거행하고 있다.[1] 박지성은 2014년 7월 K리그 올스타전에서 은퇴경기를 했다.[1] 황선홍은 폴란드전 인터뷰에서 "이번 경기를 마지막 경기로 삼겠다"라고 밝혔으며,[1] 이후 홍명보와 은퇴식을 가졌다.[1]

거행일이름포지션등번호경기활동 기간장소
2002년 11월 20일황선홍공격수181031988–2002서울월드컵경기장
홍명보수비수201361990–2002
2003년 4월 16일하석주미드필더-941991–2001서울월드컵경기장
2005년 11월 12일김태영수비수1051992–2004
2006년 3월 1일김도훈공격수721994–2003
2006년 5월 26일유상철미드필더61241994–2005
2007년 8월 22일서정원공격수-881990–2001
2010년 8월 11일이운재골키퍼11331994–2010수원월드컵경기장
2012년 2월 29일안정환공격수9711997–2010
2013년 11월 15일이영표수비수121271999–2011서울월드컵경기장
2014년 7월 25일박지성미드필더71002000–2011
2015년 3월 31일차두리수비수22762001–2015
2015년 10월 13일설기현공격수-822000–2009
2016년 3월 24일이천수공격수-782000–2008안산와~스타디움
2019년 3월 22일김정우미드필더-762003-2012울산문수축구경기장


14. 스폰서



스폰서
나이키
하나은행
KT
신세계 이마트
파워에이드
교보생명보험
현대자동차
쿠팡플레이
아시아나항공
코카-콜라
EA SPORTS FC 온라인
기네스



1996년부터 나이키가 대표팀 유니폼을 제작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Korea Republic https://www.fifa.com[...] 2022-02-01
[2] 웹사이트 World Cup 2018: Why you should follow South Korea https://www.rte.ie/s[...] RTÉ 2018-06-06
[3] 웹사이트 Red Devils https://terms.nave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9-10-06
[4] 웹사이트 Undermanned S. Korea overmatched against Japan in football friendly loss https://en.yna.co.kr[...] 2021-03-26
[5] 웹사이트 한일전, 손흥민 있었다면 달랐을까… 벤투 "해서는 안될말" https://www.chosun.c[...] 2021-03-26
[6] 웹사이트 "호랑이 한국축구 새얼굴" .. 축구協 엠블럼 공식발표 https://sports.news.[...] The Korea Economic Daily 2001-05-02
[7] 웹사이트 KFA, 신규 엠블럼 공개...19년만에 새 얼굴로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20-02-05
[8] 뉴스 대표선수도 국제경기서 버젓이 서독 아디다스, 일본 미즈노등 외제 스포츠용품 국내시장 석권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inmun 1981-02-27
[9] 뉴스 축구대표팀 유니폼 변천..기능에 친환경까지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10-02-26
[10] 뉴스 월드컵 상혼 장외서 뜨거운 "광고전쟁"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inmun|Kyunghyang Newspaper 1990-06-20
[11] 뉴스 축구협회 월드컵유니폼 교체 '후원금 최소 100억'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inmun|Kyunghyang Newspaper 1997-12-11
[12] 웹사이트 나이키"한국축구 380억 지원" https://newslibrary.[...] The Hankyoreh 1997-12-17
[13] 웹사이트 한국축구, 나이키와 500억 후원계약 https://sports.news.[...] Yonhap News Agency 2003-01-09
[14] 웹사이트 나이키, 축구대표팀 유니폼 후원 490억원에 4년 연장 https://sports.news.[...] Newsis 2007-10-23
[15] 웹사이트 축구대표 가슴 로고 값은 1200억원 http://news.jtbc.joi[...] JoongAng Ilbo 2012-01-16
[16] 웹사이트 KFA, 나이키와 역대 최대규모-최장기간 파트너 계약 체결 http://www.kfa.or.kr[...]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20-01-20
[17] 웹사이트 Match results – 1956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20-07-09
[18] 웹사이트 Red Devils' anti-Japan banner at soccer match stirs debate https://www.koreaher[...] 2022-07-27
[19] 웹사이트 South Korean footballer's monkey impression angers Japan https://www.theguard[...] 2022-07-27
[20] 웹사이트 All-time record per countries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21] 뉴스 Asia's finale sees three spots up for grabs https://www.fifa.com[...] FIFA 2013-06-17
[22] 웹사이트 Korea Republic national football team: record v Australia https://www.11v11.co[...]
[23] 웹사이트 A long standing rivalry: Caltex Socceroos' history against Korea Republic https://www.socceroo[...] Football Federation Australia 2018-08-21
[24] 웹사이트 China beats South Korea 3–0 at East Asian Champs https://www.chinadai[...] 2010-02-10
[25] 웹사이트 Korea's World Cup chant owned by Shin Hae-chul, singer's agency claims http://www.koreahera[...] 2014-06-17
[26] 웹사이트 Korea Republic – Korea Republic – Results and fixtures – Soccerway https://int.soccerwa[...] Soccerway
[27] 웹사이트 South Korea – Fixtures & Results 2022 https://www.worldfoo[...]
[28] 웹사이트 Korea Republic Results https://www.skysport[...] Sky Sports
[29] 웹사이트 South Korea – Results/Matches https://www.soccerba[...]
[30] 웹사이트 월드컵 한국 최고 감독은 히딩크, 비운은 차범근 http://www.seniortod[...] 2018-05-29
[31] 웹사이트 Guus Hiddink to S. Korean football: Don't change https://www.koreaher[...] 2022-06-03
[32] 웹사이트 Appointment of foreign coaching staff for the national football team https://www.kfa.or.k[...] KFA 2024-08-21
[33]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national team's domestic coaches - Appointment of Park Kun-ha, Kim Dong-jin, and Kim Jin-kyu https://www.kfa.or.k[...] KFA 2024-08-16
[34] 웹사이트 Men's national team A announces call-up list for September World Cup 3rd qualifying round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35] 웹사이트 Squad List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36] 웹사이트 축구 명예의 전당'에서 한국 축구의 전통 세워나간다.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06-11-23
[37] 웹사이트 차범근·김주성… `역대 최고 대표 공격수` https://news.joins.c[...] JoongAng Ilbo 2002-04-24
[38] 웹사이트 차범근.홍명보.박지성, 역대 최고 베스트 11 https://sports.news.[...] Yonhap News Agency 2010-03-24
[39] 웹사이트 South Kore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40] 웹사이트 Football Tournament of the Olympic Games – Overview https://www.rsssf.or[...] 2020-02-12
[41] 웹사이트 Head-to-head record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42] 웹사이트 Match results – 2005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43] 웹사이트 President's Cup (South Korea) https://www.rsssf.or[...]
[44] 웹사이트 Merdeka Tournament (Malaysia) https://www.rsssf.or[...]
[45] 웹사이트 King's Cup (Bangkok, Thailand) https://www.rsssf.or[...]
[46] 웹사이트 Jakarta Anniversary Tournament (Indonesia) https://www.rsssf.or[...]
[47] 웹사이트 Dynasty Cup https://www.rsssf.or[...]
[48] 웹사이트 LG Cup Four Nations Tournaments https://www.rsssf.or[...]
[49] 웹사이트 Bum-Kun Cha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www.rsssf.com[...]
[50] 웹사이트 2度ポストに救われた韓国代表、W杯ドロー発進。ウルグアイ代表と0-0で勝ち点1奪取 https://www.goal.com[...] 2022-11-24
[51] 웹사이트 【動画】ガーナ、クドゥスの2ゴールで打ち合い制し今大会初勝利!韓国は2点差追いつくも及ばず… https://www.goal.com[...] 2022-11-29
[52] 웹사이트 韓国コーチ、敗れたガーナ戦後に「結果は完全にアンフェア。ドローですらフェアな結果ではない」 https://www.goal.com[...] 2022-11-29
[53] 웹사이트 韓国代表、後半ATの劇的弾でポルトガルに大金星! 勝ち点&得失点で並んだウルグアイを総得点数で上回る、3大会ぶり決勝Tへ https://www.goal.com[...] 2022-12-03
[54] 웹사이트 W杯決勝T進出に喜びの涙を流したソン・フンミン「この瞬間を長い間待っていた」 https://www.goal.com[...] 2022-12-03
[55] 웹사이트 韓国指揮官ベントがブラジル戦後に退任発表「彼らの監督であったことに誇りを感じている」 https://www.goal.com[...] 2022-12-06
[56] 뉴스 アジア制覇狙う韓国、「夢見心地」の日本を迎え撃つ http://sportsnavi.ya[...] 2010-10-12
[57] 웹사이트 韓国、アジア杯4強で敗れる!! 圧巻の大声援受けたヨルダンが史上初の決勝進出 https://web.gekisaka[...] 2024-02-07
[58] 웹사이트 역대 대표팀 감독 https://www.kfa.or.k[...] 大韓サッカー協会
[59] 웹사이트 차범근의 국가대표팀 출전 기록을 130경기로 집계 국제 축구 연맹
[60] 웹사이트 차범근의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을 56골로 집계 국제 축구 연맹
[61] 웹인용 World Cup 2018: Why you should follow South Korea https://www.rte.ie/s[...] 2018-06-11
[62] 웹인용 붉은악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63] 웹사이트 호랑이 한국축구 새얼굴" .. 축구協 엠블럼 공식발표 https://sports.news.[...]
[64] 일반 팔레스타인의 모든 홈경기 중립 경기 진행
[65] 웹인용 남자 A대표팀, 11월 월드컵 3차 예선 소집명단 발표 https://www.kfa.or.k[...] 2024-11-04
[66] 웹인용 축구 명예의 전당'에서 한국 축구의 전통 세워나간다. https://www.kfa.or.k[...] 2006-11-23
[67] 웹인용 차범근·김주성… `역대 최고 대표 공격수` https://news.joins.c[...] 2002-04-24
[68] 웹인용 차범근.홍명보.박지성, 역대 최고 베스트 11 https://sports.news.[...] 2010-03-24
[69] 웹인용 South Kore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70] 웹인용 대한축구협회 각종 기록 https://kfa.or.kr/ar[...]
[71] 웹인용 FIFA Century Club https://digitalhub.f[...] 2024-04-19
[72] 일반
[73] 일반
[74] 일반
[75] 일반
[76] 웹사이트 Match results – 2005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20-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