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8702편 활주로 이탈 사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항공 8702편 활주로 이탈 사고는 1998년 8월 5일, 김포국제공항 착륙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제주국제공항을 출발하여 김포로 향하던 보잉 747-4B5(HL7496)가 활주로를 이탈하여 격납고와 경비행기를 파손하고 동체와 오른쪽 날개가 파손되었다. 이 사고로 25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항공기는 퇴역 처리되었다. 사고 원인은 기장의 역추진 장치 오작동, 측풍 상황에서의 대처 미흡, 부기장의 부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포국제공항 -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는 1986년 9월 14일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발생했으며, 팔레스타인 출신 아부 니달이 북한의 사주를 받아 저지른 테러로 밝혀졌다. - 김포국제공항 - 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대한민국의 공항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공기업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관리하는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모든 공항을 관리 및 운영한다. - 1998년 8월 -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
1998년 8월 7일 케냐 나이로비와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의 미국 대사관에서 거의 동시에 발생한 자살 폭탄 테러로, 알카에다의 소행으로 추정되며 수백 명의 사망자와 수천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여 국제 테러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고 미국의 대테러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 1998년 8월 - 1998년 UEFA 인터토토컵
1998년 UEFA 인터토토컵은 유럽 축구 연맹 주관으로 유럽 각국 리그 참가팀들이 UEFA컵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 대회로, 발렌시아 CF, SV 베르더 브레멘, 볼로냐 FC 1909가 우승하여 UEFA컵 진출 자격을 얻었다. - 활주로 이탈 사고 - 1996년 에어아프리카 충돌 사고
1996년 에어아프리카 충돌 사고는 콩고 민주 공화국 엔돌로 공항에서 발생한 항공 사고로, 과적과 과다 연료 적재로 이륙 중 활주로를 이탈한 안토노프 An-32B 항공기가 시장에 추락하여 225명에서 348명에 이르는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복잡한 임대 계약, 정치적 불안정, 부실한 안전 관리 시스템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 활주로 이탈 사고 - 제주항공 2216편 추락 사고
제주항공 2216편 추락 사고는 2024년 12월 29일 태국 방콕에서 출발하여 무안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737-8AS 항공기가 랜딩기어 고장으로 추정되는 기체 결함으로 활주로를 이탈하면서 발생,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한 사고이다.
대한항공 8702편 활주로 이탈 사고 | |
---|---|
사고 개요 | |
사고 명칭 | 대한항공 8702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발생 유형 | 활주로 이탈 |
발생 원인 | 기상 악화, 조종사 과실 |
발생 날짜 | 1998년 8월 5일 |
발생 장소 | 김포국제공항, 서울, 대한민국 |
항공편 정보 | |
항공사 | 대한항공 |
항공편 | KE8702 |
ICAO 부호 | KAL8702 |
호출 부호 | KOREAN AIR 8702 |
기체 등록번호 | HL7496 |
기종 | 보잉 747-4B5 |
출발지 | 나리타 국제공항, 도쿄, 일본 |
목적지 | 김포국제공항, 서울, 대한민국 |
탑승 정보 | |
승객 | 379명 |
승무원 | 16명 |
총 탑승 인원 | 395명 |
사망자 | 0명 |
부상자 | 25명 |
생존자 | 395명 (전원 생존) |
관련 이미지 | |
![]() |
2. 사고 내용
1998년 8월 5일, 대한항공 8702편(보잉 747-4B5/Boeing 747-4B5영어, HL7496)은 현지시각 16시 50분 일본 나리타 국제공항을 출발해 19시 20분에 대한민국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으나, 당시 서울 상공의 기상악화로 인해 제주국제공항에 착륙했다. 21시 07분, 8702편은 다시 제주국제공항을 출발해 김포국제공항으로 향했다. 하지만 착륙 후 활주로에서 이탈해 격납고와 경비행기를 파손시켰으며, 그 충격으로 인하여 항공기 오른쪽 날개와 동체가 파손되었다.
한편 파손된 오른쪽 날개에 장착되어 있던 엔진에 불이 붙어 화재로 이어졌지만 소방 당국의 신속한 진화 작업으로 탑승객과 승무원 395명 전원이 생존했다.[2] 하지만 생존자 중 25명이 다쳤다.
2. 1. 사고 원인
대한항공 8702편은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서울, 김포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정기 항공편이었다. 악천후로 인해 승무원들은 제주 국제공항으로 회항했다. 착륙 후 항공기는 메인 터미널로 견인되었고 승객들은 임시로 터미널에서 내렸다. 2시간 후 승객들은 서울로 돌아가는 1시간 비행을 위해 항공기에 다시 탑승했다.[1]항공기는 21시 07분에 제주를 출발하여 서울로 향했다. 이륙 허가를 받은 항공기는 활주로 14R에 착륙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며, 풍속이 220도에서 22노트로 불어 측풍이 불었다. 착륙 시, 기장은 1번 엔진이 역추력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역추진 장치를 잘못 사용했다.[1] 기장이 측풍 상황에 혼란을 겪었고 부기장은 착륙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사실과 결합하여, 747기는 활주로 끝에서 멈추지 못했다. 항공기는 오른쪽으로 벗어나 시속 50노트로 도랑에 미끄러졌고 동체가 갈라졌다.[1]
3. 사고 후
3. 1. 항공기 퇴역 처리
사고기 보잉 747-4B5(HL7496)는 1996년 6월 18일에 제작되어 같은 해 6월 27일에 대한항공에 인도된, 비교적 새로운 기체였다.[3] 라인 번호 1083 및 제작 번호(MSN) 26400을 가진 이 기체는 인도된 21번째 747-400 기종이었으며, 사고 당시 총 27대의 기체 중 하나였다. 하지만 사고로 인해 수리가 불가능한 손상을 입어 퇴역 처리되었으며,[3] 이는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손실된 보잉 747-400 기종이다.[4]3. 2. 피해
이 사고로 인하여 2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5] 항공기가 대파되고, 격납고 및 경비행기가 파손되었으며, 공항 시설 일부가 손상되었다. 또한 폐유 유출로 인해 김포 국제공항 일대 논밭이 오염되었다.[5]3. 3. 사고 조사 및 후속 조치
4. 기타
4. 1. 관련 사고
대한항공 8702편 활주로 이탈 사고는 조종사 과실과 악천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사례로,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과 같이 큰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항공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4. 2. 사회적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Boeing 747-4B5 HL7496 Seoul-Kimpo International Airport (SEL)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1998-08-05
[2]
뉴스
KAL機(기)에 벼락
[3]
문서
퇴역 후 해당 기체의 부품을 대폭 활용하여 자사 신입 조종사 및 객실승무원 훈련원을 제작하는데 사용하기도 했다.
[4]
문서
첫 번째 747-400 손실은 [[중화항공]] 소속 항공기(등록번호 B-165)로, [[중화항공 605편 추락 사고|홍콩 카이탁 공항에서 활주로 이탈로 손실]]되었다. 747 전체로 볼 경우 이번 사건은 30번째 손실이다.
[5]
뉴스
김포공항 폐유 유출
http://newslibrary.n[...]
한겨레(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94-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