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현동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현동은 1975년 동구 신암동 일부 지역을 북구로 편입하여 신설된 대구광역시 북구의 행정동이다. 국립대학인 경북대학교의 양현을 기원하는 의미로 '크게 배우는 자가 많으면 현인이 많다'는 뜻에서 대현이라 이름 붙여졌다. 주요 기관으로는 북구 선거관리위원회, 대현소방파출소, 북부경찰서 대현치안센터, 경북대학교, 대구신암초등학교, iM뱅크 대현동지점, 북대구농협 대현지점 등이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북구의 행정동 - 노원동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은 조선시대 대노원이 있던 곳으로, 원대동 일부 편입 후 노곡동의 '노'자와 원대동의 '원'자를 따서 명명되었으며, 과거 농촌 지역에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대구 제3산업단지 배후 주거 지역으로 재래시장, 금융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북구의 행정동 - 무태조야동
무태조야동은 대구광역시 북구에 위치하며 과거 여러 동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2000년대 초 아파트 단지 건설과 2020년 연경지구 아파트 단지 입주를 통해 주거 지역으로 발전했고 여러 초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 대구 북구의 법정동 - 침산동 (대구)
침산동은 대구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동이자 법정동이며, 1965년에 분동된 후 관공서, 교육 시설 및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대구 북구의 법정동 - 복현동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복현동은 복현암이라는 바위 또는 경주 이씨 무실공의 숭모에서 동명이 유래되었으며, 교육 기관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한 지역이다. - 2011년 설치 - 평택해양경찰서
평택해양경찰서는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으로 여러 부서와 파출소, 출장소를 관할하며 해상 치안 유지, 해양 사고 구조 및 예방, 해양 환경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2011년 설치 - 천안서북소방서
천안서북소방서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의 소방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소방행정과, 방호예방과, 현장대응과의 세 부서와 9개의 119안전센터, 1개의 119구조구급센터를 관할하며 화재 예방, 현장 대응, 행정 업무 등 다양한 소방 활동을 수행한다.
대현동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대현동 |
한자 표기 | 大賢洞 |
로마자 표기 | Daehyeon-dong |
행정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북구 |
행정복지센터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남로 25 |
행정복지센터 홈페이지 | 대현동 행정복지센터 |
통계 정보 | |
면적 | 1.22km² |
세대수 | 7,881세대 (2011년 12월 31일 기준) |
인구 | 17,658명 (2022년 3월 기준) |
통 | 34통 |
반 | 202반 |
2. 유래
1975년 10월 1일 동구 신암동 일부(3동, 6동)가 북구로 편입되면서 '대현동'이 신설되었다. '대현(大賢)'이라는 이름은 국립 경북대학교의 '현(賢)' 자를 따서 지어졌으며, "크게 배우는 자가 많으면 현인이 많은 것(大學者多則賢人多耳)"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대현동에는 관공서, 교육기관, 금융기관 등 주요 기관이 있다. 관공서로는 북구 선거관리위원회, 대현소방파출소, 북부경찰서 대현치안센터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경북대학교, 대구신암초등학교가 있고, 금융기관으로는 iM뱅크 대현동지점, 북대구농협 대현지점, 대현새마을금고, NH농협은행 대구영업부가 있다.
3. 역사
날짜 행정 구역 변동 내역 1914년 4월 1일 달성군 수성면 신암동[2] 1938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신암동[3] 1938년 11월 2일 경상북도 대구부 신암동(동부출장소 관할)[4]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신암동(동부출장소 관할)[5]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신암동[6] 1970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신암3동, 신암6동[7] 1975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대현1동, 대현2동 1979년 5월 1일 대현2동을 대현2동, 대현3동으로 분동[8]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북구 대현1동, 대현2동, 대현3동[9]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1동, 대현2동, 대현3동[10] 1998년 10월 12일 대현2동, 대현3동을 대현2동으로 합동[11] 2011년 7월 4일 대현1동, 대현2동을 대현동으로 합동[12]
4. 주요 기관
4. 1. 관공서
4. 2. 교육기관
4. 3. 금융기관
5. 교통 시설
6. 아파트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
대현 e편한세상 | 대림산업㈜ | 북구대현동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로10길 82 | 2008년 9월 |
대현 뜨란채 | 화성산업㈜, ㈜우방 | 대한주택공사 |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남로 28 | 2006년 5월 |
대현 한신휴플러스 | 한신공영 | 한국토지주택공사 |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남로 25 | 2010년 9월 |
대현 LH 센트럴파크 | 한화㈜ 건설부문 | 한국토지주택공사 |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남로6길 20 | 2016년 4월 |
참조
[1]
뉴스
How 'Multiculturalism' Became a Bad Word in South Korea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3-12-13
[2]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4]
법령
대구부 조례 제22호
1938-11-02
[5]
법률
법률 제32호
1949-07-04
[6]
법률
법률 제1174호
1962-11-21
[7]
조례
대구시 조례 제610호
1970-07-01
[8]
조례
대구시 조례 제1181호
1979-04-30
[9]
법률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10]
법률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12-22
[11]
조례
북구 조례 제427호
1998-10-12
[12]
조례
북구 조례 제978호
2011-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